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문 사전389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13] 교(交)의 용법 / 모두, 함께, 번갈아, 서로 교(交) 《說文解字》에서 “交, 交脛也."라고 하였는데, 段玉裁 注에서 "남녀가 정다운 것을 交라고 하는데, 引伸되어 넓은 의미의 '사교'를 뜻한다. 두 가지가 상합함을 '交'라 하는데, 모두 이 의미에서 引伸되어 假借된 것이다.”라고 하였다. ① 주어가 가리키는 사람 혹은 사물이 모두 어떤 동작이나 행위를 하거나 또는 이를 이어받음을 나타낸다. “모두"로 해석한다. ☞ 《尙書, 禹貢》: 庶土交正, 底愼財賦(토지가 모두 바로 정해졌으니, 봉록과 賦稅를 신중히 제정하면 된다). ② 몇 개의 주체에 의해 동작이나 행위가 동시에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함께", "동시에" 등으로 해석한다. ☞ 《商君書, 算地》: 夫治國者, 能盡地力而致民死者, 名與利交至 (무릇 나라를 다스리는 자가 地力을 다하고 백성들로 하.. 2023. 2. 1.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12] 과(果) / 마침내, 도대체, 확실히, 참으로 과(果) 《設文解字》에서 "果, 也."라고 하였으므로 본뜻은 "나무의 과실"이다. 虛詞로 쓰일 때는 본뜻과 무관하며, 假借이다. ① 동작이나 행위가 결국 출현했음을 나타낸다. "마침내", "결국" 등으로 해석한다. ☞ 《左傳, 僖公二十八年》: 晋侯在外十九年矣, 而果得國侯 (晋侯가 외국으로 도망 다닌 지 19년이 되어서야 마침내 晋나라를 얻었다). ☞ 《戰國策, 秦策三》: 故文王果功於呂尙, 卒檀天下而身立爲帝王 (그러므로 문왕은 결국 呂尙의 도움으로 공을 이루어 마침내 천하를 지배하여 제왕이 되었다). ② 동사 술어 앞에 쓰여 일의 결과가 예측했던 것에 부합함을 나타낸다. “과연", "진실로" 등으로 해석한다. ☞ 《韓非子, 說難》: 宋有富人, 天雨墻壞, 其子曰 "不築, 必將有盜. "其隣人之父亦云, 暮而果大.. 2023. 1. 31.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10] 고(故)의 용법 / 왜, 일부러, 그러므로 고(故) 《爾雅, 釋詰》에서 "古, 故也."라고 했고, 《禮記., 玉藻》의 “君無故不殺牛, 大夫無故不殺羊, 士無故不殺犬豕(임금은 제사가 없으면 소를 잡지 않고, 大夫는 제사가 없으면 양을 잡지 않으며, 선비는 제사가 없으면 개나 돼지를 잡지 않는다)."에 대한 鄭玄注에서 "故는 祭祀이다.”라고 했다. 이로 보면 "故"의 원류는 "古"자로서 최초에는 제사나 선조의 고유 명칭이었을 것이다.甲骨文에는 "故"가 없으며, "古"는 祭名이다. "先古"에서 그 의미가 확장되어 "예전에"라는 뜻으로 쓰였으며, 西周 초기에 이미 원인과 유래를 나타내게 되었다. 1. 원인을 묻는다. "胡"와 통하며, 부사어로 쓰인다. "왜", "어째서", "어찌" 등으로 해석한다. ☞ 《管子·佟靡》: 公將有行, 故不送公(군왕이 행차하려고.. 2023. 1. 30.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9] 고(固)의 용법 / 단호히, 진실로, 본래 고(固) 《設文解字》에서 "固, 四塞也."라고 하였으므로 본뜻은 "사방이 막히다"이다. 引伸되어 "견고하다"는 뜻으로 쓰이는데, 예를 들면 《玉篇》에서 "固, 堅固也."라고 하였다. 다시 引伸되어 "견지하다", "확 실히" 등의 의미로 쓰였다. 부사로도 쓰인다. ① 동작이나 행위를 할 때, 태도가 단호함을 나타낸다. "단호히" 등으로 해석한다. ☞ 《史記, 齊太公世家》: 管仲固諫. 不聽 (관중이 결연하게 간하였으나 듣지 않았다). ☞ 《史記, 越王句踐世家》: 朱公長男固請欲行 (朱公의 장남은 단호히 자신이 떠나기를 청하였다). ② 동작, 행위, 상황 등에 대한 강조를 나타낸다. "확실히", "진실로"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梁惠王上》: 百姓皆以王爲愛也, 臣固知王之不忍也 (백성들은 모두 대왕께서 인색하.. 2023. 1.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