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문 사전/허사(虛辭) 사전42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042] 등(等) 등(等) 《說文解字》에서 "等, 齊簡也."라고 하였는데, 段玉裁 注에서 "齊簡"이란 쌓여진 冊을 가지런하게 하다는 것으로서, 지금 사람들이 서적을 정리하는 것과 같다. 引伸되어 '齊'이다. 사물을 가지런히 하면 높고 낮음이 분명하므로 等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等"의 본뜻은 "죽간을 가지런히 하다"인데, 引伸되어 "착착 들어맞다, 등차(等差), 같다, 동년배" 등의 뜻으로 쓰였다. 1. ① 가까운 곳에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목적어로 쓰이며, “이러한, 이와 같은" 등으로 해석한다. ☞ 《史記 淮南衡山列傳》: 王日夜求壯士如周丘等, 數稱引吳楚反時計畫, 以約束(왕은 밤낮으로 周求 등과 같은 장 사를 구하였고, 때때로 吳.楚가 반란을 일으킬 때의 계획을 칭찬하거나 인용하여 이로써 후일을 약속하였다). ☞ .. 2023. 2. 25.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041] 득(得) / 득무(得毋) / 득무(得無) / 득이(得以) / 득이(得而) 득(得) 《說文解字》에서 "得, 行有所䙷也."라고 하였는데, 段玉裁 注에서 "행하여 취하는 바가 있는 것을 得'이라 한다."라고 하였다. 《左傳 定公九年》에서는 “凡獲器用曰得(무릇 쓰이는 기물을 입수하는 것을 '得'이라 한다)."이라고 하여, "得"이 최초로 구체적인 무력을 통해 얻는 바가 있는 것을 가리키며 동사로 쓰였다. 《論語》·《左傳》의 문장에서는 "得"이 동사와 함께 사용된 예가 보이는데, 여기서 "得" 은 점차 추상적인 의미로 사용되어, "가능하다". "할 수 있다"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조동사로 쓰인다. ① 동사나 짧은 구 앞에 쓰여, 동작이나 행위에 대한 가능성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로 해석한다. ☞ 《論語 微子》: 孔子下, 欲與之言. 趨而辟之, 不得與之言(공자가 수레에.. 2023. 2. 25.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040] 돈(頓) / 돌(突) / 동(同) / 동(動) 돈(頓) 《說文解字》에서 "頓, 下首也."라고 하였는데, 段玉裁 注에서 "머리를 조아리다'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引伸되어 "급작스럽다"는 뜻으로 쓰인다. 《助字辨略》에서 "頓"은 '갑자기'이다."라고 하였다. 동작이나 행위가 갑작스럽게 발생하거나 상황이 갑자기 변하는 것을 나타낸다. 부사어로 쓰이며, "갑자기, 곧" 등으로 해석한다. ☞ 《漢書 賈誼傳》: 夫天子之所嘗敬, 衆庶之所嘗寵, 死而死耳. 賤人安宜得如此而頓辱之哉(무릇 천자께서 일찍이 존경하였고, 백성들이 일찍이 총애한 사람이 죽었으나 죽었을 따름이다. 천한 사람들이 어찌 이와 같이 그를 즉시 모욕할 수 있는가)? ☞ 《列子 天瑞》: 一形不頓虧(한 유형의 물체는 갑자기 훼손되지 않는다). 돌(突) 《說文解字》에서 "突, 犬從穴中暫出也."라고 하여.. 2023. 2. 25.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039] 독(獨) / 독(篤) 독(獨) 《說文解字》에서 "獨, 犬相得而門也."라고 하였으므로 본뜻은 "개가 싸우다"이다. 虛詞로 쓰일 때는 引伸이다. 1. 문장 속에서 부사어로 쓰인다. ① 동작이나 행위가 단독으로 진행됨을 나타낸다. "홀로, 단독으로" 등으로 해석한다. ☞ 《楚辭 漁父》: 屈原曰 "舉世皆濁, 我獨淸; 衆人皆醉, 我獨醒, 是以見放."(屈原이 말하기를 “천하가 모두 혼탁하고 나만 맑으며, 모든 사람들이 다 취했 고 나만 깨어 있기 때문에 쫓겨났다."라고 하였다). ☞ 《孫子 軍爭篇》: 民旣專一, 則勇者不得獨進, 怯者不得獨退, 此用眾之法也(백성들에게 이미 통일된 지휘가 있다면 용감한 자라도 홀로 나아가지 않을 것이요. 겁이 많은 자라도 홀로 물러서지 않을 것이니, 이것이 병사들을 지휘하는 방법이다). ② 사람 혹은 동작이.. 2023. 2.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