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다산 정약용의 공부/맹자요의(孟子要義)16

[맹자요의(孟子要義) 양혜왕 하(梁惠王 下) 2-16] 노평공이 맹자를 만나려 하는데 총애하는 신하 장창이 막았다 / 노평공폐인장창장(魯平公嬖人臧倉章) 내가 노평공을 만나지 못한 것은 천명이다. 어찌 장씨의 자식이 나를 막을 수 있겠는가? 魯平公將出. 嬖人臧倉者請曰: “他日君出, 則必命有司所之. 今乘輿已駕矣, 有司未知所之. 敢請.” 公曰: “將見孟子.” 曰: “何哉? 君所爲輕身以先於匹夫者, 以爲賢乎? 禮義由賢者出. 而孟子之後喪踰前喪. 君無見焉!” 公曰: “諾.” 樂正子入見, 曰: “君奚爲不見孟軻也?” 曰: “或告寡人曰, ‘孟子之後喪踰前喪’, 是以不往見也.” 曰: “何哉君所謂踰者? 前以士, 後以大夫; 前以三鼎, 而後以五鼎與?” 曰: “否. 謂棺槨衣衾之美也.” 曰: “非所謂踰也, 貧富不同也.” 樂正子見孟子, 曰: “克告於君, 君爲來見也. 嬖人有臧倉者沮君, 君是以不果來也.” 曰: “否. 謂棺槨衣衾之美也.” 曰: “非所謂踰也, 貧富不同也.” 樂正子見孟子, 曰:.. 2023. 11. 4.
[맹자요의(孟子要義) 양혜왕 하(梁惠王 下) 2-14] 제나라가 설 땅에 성을 쌓으려 하니 등문공이 두려워했다 / 제인장축설장(齊人將築薛章) 성공은 하늘에 달렸습니다. 임금께서 저들을 어찌할 수 없으니 힘써 선을 행할 뿐입니다. 滕文公問曰: “齊人將築薛, 吾甚恐. 如之何則可?” 孟子對曰: “昔者大王居邠, 狄人侵之, 去之岐山之下居焉. 非擇而取之, 不得已也. 苟爲善, 後世子孫必有王者矣. 君子創業垂統, 爲可繼也. 若夫成功, 則天也. 君如彼何哉? 彊爲善而已矣.” 등문공이 물어 말하길(滕文公問曰): “제나라가(齊人) 장차(將) 설나라에(薛) (성을) 쌓으려 하니(築), 내가(吾) 매우 두렵습니다(甚恐). 어찌하면(如之何則) 좋을까요(可)?” 맹자가 대답하여 말하길(孟子對曰): “옛날(昔者) 태왕이(大王) 빈 땅에 머물 때(居邠), 적인이(狄人) 침입하자(侵之), 그곳을 떠나(去之) 기산 아래에 가서(岐山之下) 살았습니다(居焉). 가려서 취한 것이(擇而.. 2023. 11. 3.
[맹자요의(孟子要義) 양혜왕 하(梁惠王 下) 2-10] 제나라가 연나라를 공격해서 이긴 것에 대하여 / 제인벌연승지장(齊人伐燕勝之章) 연나라 백성이 단사호장으로 왕의 군대를 맞이한 것은 물과 불을 피하는 마음과 같습니다 齊人伐燕, 勝之. 宣王問曰: “或謂寡人勿取, 或謂寡人取之. 以萬乘之國伐萬乘之國, 五旬而擧之, 人力不至於此. 不取, 必有天殃. 取之, 何如?” 孟子對曰: “取之而燕民悅, 則取之. 古之人有行之者, 武王是也. 取之而燕民不悅, 則勿取. 古之人有行之者, 文王是也. 以萬乘之國伐萬乘之國, 簞食壺漿, 以迎王師. 豈有他哉? 避水火也. 如水益深, 如火益熱, 亦運而已矣.” 齊人伐燕, 取之. 諸侯將謀救燕. 宣王曰: “諸侯多謀伐寡人者, 何以待之?” 孟子對曰: “臣聞七十里爲政於天下者, 湯是也. 未聞以千里畏人者也. 『書』曰: ‘湯一征, 自葛始. 天下信之. 東面而征, 西夷怨; 南面而征, 北狄怨. 曰, 奚爲後我?’ 民望之, 若大旱之望雲霓也. 歸市者不.. 2023. 11. 3.
[맹자요의(孟子要義) 양혜왕 하(梁惠王 下) 2-4] 제선왕이 명당을 없애는 것에 대해 묻는 장 / 제선왕훼명당장(齊宣王問毀明堂章) 임금께서 왕도정치를 하려고 마음 먹었다면 명당을 헐지 마십시오. 齊宣王問曰: “人皆謂我毁明堂. 毁諸? 已乎?” 孟子對曰: “夫明堂者, 王者之堂也. 王欲行王政, 則勿毁之矣.” 王曰: “王政可得聞與?” 對曰: “昔者文王之治岐也, 耕者九一, 仕者世祿, 關市譏而不征, 澤梁無禁, 罪人不孥. 老而無妻曰‘鰥’. 老而無夫曰‘寡’. 老而無子曰‘獨’. 幼而無父曰‘孤’. 此四者, 天下之窮民而無告者. 文王發政施仁, 必先斯四者. 『詩』云: ‘哿矣富人, 哀此煢獨.’” 王曰: “善哉言乎!” 曰: “王如善之, 則何爲不行?” 王曰: “寡人有疾, 寡人好貨.” 對曰: “昔者 公劉好貨. 『詩』云: ‘乃積乃倉, 乃裹餱糧, 于橐于囊. 思戢用光. 弓矢斯張, 干戈戚揚, 爰方啓行.’ 故居者有積倉, 行者有裹糧也, 然後可以爰方啓行. 王如好貨, 與百姓同.. 2023. 11.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