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국어(國語)6

[국어(國語) 주어 상(周語 上) 003] 소공이 <백성이> 헐뜯는 것을 막으려는 여왕에게 간언했다 / 소공간려왕미방(召公諫厲王弭謗) / 厲王虐, 國人謗王. 邵公告曰: 「民不堪命矣!」 려왕이(厲王) 가혹한 정치를 하자(虐), 나라 사람들이(國人) 왕을 비방했다(謗王). 소공이(邵公) 고하여 말했다(告曰): 「백성이(民) 명을(命) 감당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不堪矣)!」 王怒, 得衛巫, 使監謗者, 以告, 則殺之. 國人莫敢言, 道路以目. 왕이 노하여(王怒), 위나라 무당을(衛巫) 얻어 와서(得), 비방하는 사람을(謗者) 감시하도록 시키고(使監), 보고하면(以告, 則) 그를 죽였다(殺之). 나라 사람들이(國人) 감히(敢) 말하는(言) 사람이 없고(莫), 도로에서(道路) 눈짓으로(以目) 표현했다. 王喜, 告邵公曰: 「吾能弭謗矣, 乃不敢言.」 왕이 기뻐하며(王喜), 소공에게(邵公) 일러 말했다(告曰): 「내가(吾) 비방하는 것을(謗) 막으니(能弭矣.. 2023. 3. 15.
[국어(國語) 주어 상(周語 上) 002] 밀(密)나라 강공(康公)의 어머니가 작은 인물이 사물을 구비하면 반드시 망한다고 말하다 / 밀강공모논소추비물종필망(密康公母論小醜備物終必亡) 恭王游于涇上, 密康公從, 有三女奔之. 공왕이(恭王) 경수 가에서(于涇上) 유람할(游) 때, 밀나라(密) 강공이(康公) 따랐는데(從), 세 여인이(三女) 그와(之) 예를 갖추지 않고 야합함(奔)이 있었다(有). 其母曰: 그(其) 어머니가 말했다(母曰): 「必致之于王. 夫獸三爲群, 人三爲衆, 女三爲粲. 「반드시(必) 왕에게(于王) 그들을 바쳐라(致之). 무릇(夫) 짐승이 셋이면(獸三) 무리가 되고(爲群), 사람이 셋이면(人三) 무리가 되니(爲衆), 여자가 셋이면(女三) 아름답게 된다(爲粲). 王田不取群, 公行下衆, 王御不參一族. 왕이(王) 사냥하면(田) 무리를(群) 다 취하지 않고(不取), 공이 행동하면(公行) 여러 사람에게(衆) 하문하고(下), 왕이(王) 거느릴 땐(御) 한 가족에서(一族) 취하지 않는다(.. 2023. 3. 14.
[국어(國語) 주어 상(周語 上) 001] 채공이 목공에게 견융 정벌에 대해 간언하다 / 채공간목왕정견융(祭公諫穆王征犬戎) 穆王將征犬戎, 祭公謀父諫曰: 목공이(穆王) 장차(將) 견융을(犬戎) 정벌하려고 하자(征), 채공인(祭公) 모보가(謀父) 간하여 말했다(諫曰): 不可. 先王耀德不觀兵. 夫兵戢而時動, 動則威, 觀則玩, 玩則無震. 안됩니다(不可). 선왕의(先王) 덕이(耀德) 밝게 빛나고(耀) 병사 일으키는 것을(兵) 보지 않았습니다(不觀). 무릇(夫) 병기를(兵) 거두었다가(戢而) 때에 맞게(時) 움직이고(動), 움직이면(動則) 위력이 있으니(威), 보이면(觀則) 얕보고(玩), 얕보면(玩則) 두려워함이 없습니다(無震). 是故周文公之《頌》曰: 이 때문에(是故) 주 문공이(周文公之) 송에서 말했습니다(《頌》曰): 『載戢干戈, 載櫜弓矢. 我求懿德, 肆于時夏, 允王保之.』 『載戢干戈, 載櫜弓矢. 我求懿德, 肆于時夏, 允王保之.』 先.. 2023. 3. 14.
[국어(國語)] 국어보음서록(國語補音叙錄) 按 班固蓺(藝)文志에 種別六經하니 其春秋家에 有國語二十一篇하고 注에 左丘明著라하다 至漢司馬子長하야 撰史記할새 遂據國語‧世本‧戰國策하야 以成其書하니라 當漢世하야 左傳祕而未行하고 又不立於學官이라 故此書亦弗顯이요 唯上賢達識之士 好而尊之하고 俗儒弗識也러니 逮東漢하야 左傳漸布하니 名儒始悟向來公‧穀膚近之說하고 而多歸左氏하니라 及杜元凱硏精訓詁하야 木鐸天下하니 古今眞謬之學이 一旦冰釋이요 雖國語라도 亦從而大行하니 蓋其書並出左丘明이라 自魏晉以後로 書錄所題에 皆曰春秋外傳國語라하니 是則左傳爲內요 國語爲外라 二書相副하야 以成大業하니 凡事詳於內者는 略於外하고 備於外者는 簡於內하니라 先儒孔晁亦以爲然하고 自鄭衆‧賈逵‧王肅‧虞翻‧唐固‧韋昭之徒로 並治其章句하고 申之注釋하야 爲六經流亞하니 非復諸子之倫이요 自餘名儒碩士 好是學者를 不可勝紀로.. 2023. 3.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