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果)
《設文解字》에서 "果, 也."라고 하였으므로 본뜻은 "나무의 과실"이다. 虛詞로 쓰일 때는 본뜻과 무관하며, 假借이다.
① 동작이나 행위가 결국 출현했음을 나타낸다. "마침내", "결국" 등으로 해석한다.
☞ 《左傳, 僖公二十八年》: 晋侯在外十九年矣, 而果得國侯
(晋侯가 외국으로 도망 다닌 지 19년이 되어서야 마침내 晋나라를 얻었다).
☞ 《戰國策, 秦策三》: 故文王果功於呂尙, 卒檀天下而身立爲帝王
(그러므로 문왕은 결국 呂尙의 도움으로 공을 이루어 마침내 천하를 지배하여 제왕이 되었다).
② 동사 술어 앞에 쓰여 일의 결과가 예측했던 것에 부합함을 나타낸다. “과연", "진실로" 등으로 해석한다.
☞ 《韓非子, 說難》: 宋有富人, 天雨墻壞, 其子曰 "不築, 必將有盜. "其隣人之父亦云, 暮而果大亡其財
(송나라에 큰 부자가 살았는데 큰비가 내려 담장이 허물어졌다. 그 아들이 말하기를 "무너진 담을 다시 쌓지 않으면 반드시 도둑이 들 것입니다."라고 하였고, 이웃의 늙은이도 또한 같은 말로 충고하였다. 밤이 되니 과연 도둑이 들어 많은 재물을 잃었다).
③ 술어 앞에 쓰여 일에 대한 진상을 밝히는 것을 나타낸다. "확실히", "도대체" 등으로 해석한다.
☞ 《戰國策, 楚策一》: 吾聞北方之畏昭奚恤也, 果誠何如
(나는 북방 각 나라 가昭恤을 두려워한다고 들었는데 도대체 무엇 때문인가?)
☞ 《孟子, 離婁下》: 王使人瞷夫子, 果有以異於人乎
(왕이 사람을 시켜 선생님을 엿보게 하였는데, 선생님께서는 정말로 보통 사람과 다른 점이 있으십니까?)
④ 어떤 상황이나 성질에 대한 강조 및 긍정을 나타낸다. "과연", "확실히" 등으로 해석한다.
☞ 《史記, 趙世家》: 簡子於是知毋恤果賢, 乃廢太子伯魯, 而以母恤爲太子
(簡子는 이에 毋恤이 과연 현명하다는 것을 알고 태자 伯魯를 폐위시키고 母恤을 태자로 삼았다.)
⑤ 어떤 가설에 대한 강조나 긍정을 나타낸다. "진실로", "참으로" 등으로 해석한다.
☞ 《左傳, 宣公十二年》: 果遇必敗(진실로 적을 만나면 반드시 패할 것이다).
아래는 연세대학교에서 출간한 [허사 대사전]에서 뽑아 정리한 내용이다.
'한문 사전 > 허사(虛辭)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14] 구(苟)의 용법 / ~하면, 잠시, 그런대로, 만약 (0) | 2023.02.01 |
---|---|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13] 교(交)의 용법 / 모두, 함께, 번갈아, 서로 (0) | 2023.02.01 |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10] 고(故)의 용법 / 왜, 일부러, 그러므로 (0) | 2023.01.30 |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9] 고(固)의 용법 / 단호히, 진실로, 본래 (0) | 2023.01.30 |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8] 겸(兼)의 용법 / 모두, 함께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