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문 문법/한문 문법 기본 상식 6457

[한문 문법 기본 상식 57] 두 개의 목적어를 가지는 술어 동사 쌍목적어는 하나의 동사 술어가 2개의 목적어를 갖는 것이다. 첫 번째 목적어는 간접목적어, 또는 近(술어로부터 가까이 있는) 목적어라 하고, 두 번째 목적어는 직접목적어, 또는 遠(술어에서 멀리 떨어진) 목적어라고도 한다. 직접목적어는 동작행위의 지배대상을 표시하는데, 일반적으로 사물을 가리키며, 간접목적어는 동작행위의 관련대상을 표시하는데, 일반적으로 사람을 가리킨다. 하나. 授與의 뜻을 가진 동사 ▷授之柄而處其下. ☞ 권력을 주고 그곳에 처하게 하다. (신하로 삼다.) 수여의 뜻을 가진 동사는 "賜", "予", "授", "籍", "賚", "歸”, “遺”, “貽”, “償” 등이 있다. 둘. 敎示의 뜻을 가진 동사 ▷ 后稷敎民稼穡, 樹藝五穀. ☞ 후직이 백성들에게 농사를 가르쳐서 오곡을 심고 가꾸게 하였.. 2023. 3. 7.
[한문 문법 기본 상식 56] 주어와 술어의 도치 한문에서 술어를 두드러지게 하거나 문장의 어기 표현을 강하게 하기 위해, 句式을 변환하여 술어를 주어 앞에 놓는다. 이런 경우는 감탄구나 의문구에 주로 나타나고, 간혹 요구하거나 바랄 때 쓰는 명령문에서도 보인다. 하나. 감탄의 중심을 부각시키고, 감탄의 어기를 강화하기 위해, 감탄구문에서 술어를 앞으로 도치시킨다. ▷ 甚矣, 汝之不惠! ☞ 심하구나. 너의 은혜롭지 못함이여! 둘. 의문 대상을 부각시키거나 의문 어기를 강화하기 위해, 의문구문에서 술어를 앞으로 도치시킨다. ▷ 子邪, 言伐莒者? ☞ 그대인가? 거나라를 치라 한 자가? 셋. 명령 내용을 부각시키고, 명령 어기를 강화하기 위하여, 명령구문에서 술어를 앞으로 도치시킨다. ▷ 格, 汝舜! ☞ (가까이) 오라. 그대 순이여! 2023. 3. 7.
[한문 문법 기본 상식 55] '지(之)', '시(是)'를 사용하여 목적어를 전치하는 이유 목적어를 강조하거나 구조와 운율 균형을 맞추기 위해 목적어를 동사 앞으로 끌어낸 다음 대명사 "之", "是"를 써서 複指하는 경우가 많다. 이때 "之", "是”는 목적어를 앞으로 끌어내는 표지나 구조조사로 볼 수 있다. ▷ 君亡之不恤, 而群臣是憂, 惠之至也. ☞ 임금님께서는 (국외) 망명해 계신 것을 근심하지 아니하고, 오히려 여러 신하들의 일을 근심하시니 이는 은혜가 지극함이다. ☞ "亡之不恤"은 순서대로 하면 “不恤亡”이고, “群臣是憂"는 순서대로 하면 "憂群臣"이다. 목적어를 앞으로 끌어내어 강조하는 방식은 의문문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宋何罪之有? ☞ 송나라에 무슨 죄가 있습니까? 목적어를 앞으로 끌어내는 구문에서 사용되는 "之"와 "是"는 여러 가지의 관용적 격식을 가지고 있다. 하나.. 2023. 3. 7.
[한문 문법 기본 상식 54] 한문의 목적어 전치 목적어 前置는 목적어가 동사나 전치사 앞에 놓이는 句法現象을 주로 가리킨다. 한문에서 목적어 위치는 기본적으로 동사나 전치사 뒤에 위치한다. 다만 아래 몇 가지 경우에는 자리바꿈 현상이 일어난다. 하나. 부정문에서 대명사가 목적어일 경우 목적어는 일반적으로 전치된다. ▷ 我無爾詐, 爾無我虞. [爾詐, 我虞] ☞ 우리(초)가 당신들(송)을 속이지 않을 것이니 당신들도 우리를 걱정 말라. ▷ 聞道百, 以爲莫己若者, 我之謂也. [己若] ☞ (세간의 속담에) 조금 도를 얻어 들고서, "세상에 나만한 사람이 없다."라고 하는데, 바로 나 같은 사람을 두고 한 말입니다. 그러나 목적어가 대명사가 아니거나 문장이 부정문이 아니면 전치할 수 없다. ▷ 莫用衆人之議也. [用-議] ☞ 세상 사람들의 의견을 쓰지 말라. ▷.. 2023. 3.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