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제자백가(諸子百家)/장자(莊子)15

[장자 내편 제물론 1-10] 도는 애초에 경계가 있지 않았다 / 부도미시유봉 언미시유상(夫道未始有封 言未始有常) 성인은 가슴에 품지만 보통사람은 따져서 보인다 夫道未始有封, 言未始有常, 爲是而有畛也, 請言其畛: 무릇(夫) 도는(道) 애초에(始) 경계가 있지 않고(未有封), 말은(言) 애초에(始) 늘 그러함이 있지 않은데(未有常), 이 때문에(爲是而) 경계가 있으니(有畛也), 청컨대(請) 그 구별을(其畛) 말하니(言): * 封(봉): 봉하다, 쌓다, 크다, 후하다, 붙다, 무덤, 경계, 부자. * 畛(진): 두둑, 지경, 본바탕, 아뢰다. * 爲是而有畛也: 이 때문에 사물에 구별이 있게 됨. 말 때문에 구별이 있게 되었다는 뜻으로 일정한 의미가 없는 말로 道를 표현하려 했기 때문에 사물에 구별‧대립‧차별 등이 있게 되었다는 뜻. 畛은 농토와 농토 사이를 구분하는 경계선. 여기서는 앞의 封과 같이 구별‧대립‧차별 등의.. 2023. 7. 9.
[장자 내편 제물론 1-8] 만들어짐과 무너짐은 있는가 없는가 / 과차유성여휴호재 과차무성여휴호재(果且有成與虧乎哉 果且無成與虧乎哉) 혼돈 속의 희미한 빛은 성인이 도모하는 것이다 果且有成與虧乎哉? 果且無成與虧乎哉? 과연(果) 또(且) 만들어짐과 무너짐이(成與虧) 있는가(有乎哉)? 과연 또(果且) 만들어짐과 무너짐이(成與虧) 없는가(無乎哉)? 有成與虧, 故昭氏之鼓琴也; 만들어짐과 무너짐이(成與虧) 있는 것은(有), 저(故) 소씨가(昭氏之) 거문고를(琴) 연주한 것이고(鼓也); * 有成與虧 故昭氏之鼓琴也: 昭氏가 거문고를 연주하여 한 곡을 이루는 것[成]은 무한한 다른 곡들을 잃게 되는 것[虧]과 같다는 뜻. 곧 成은 앞구절의 ‘愛之所以成’과 같고 虧는 ‘道之所以虧’에 해당한다. 赤塚忠은 故를 夫로 보아 어조사로 처리했으며, 王引之는 則으로 보았고, 章炳麟은 《墨子》의 〈天志〉편에 근거하여 此와 같다고 보았고, 故를 古로 보는 견해도 있.. 2023. 7. 8.
[장자(莊子) 내편(內篇) 제2편 제물론(齊物論) 1-7] 도가 무너지기 때문에 사랑이 생겼다 / 고지인 기지유소지의 오호지(古之人 其知有所至矣 惡乎至) 시비를 드러내는 것은 도가 무너졌기 때문이다 古之人, 其知有所至矣. 惡乎至? 옛사람은(古之人), 그(其) 지혜에(知) 지극한 것이(所至) 있었다(有矣). 어디까지(惡乎) 이르렀는가(至)? 有以爲未始有物者, 至矣盡矣, 不可以加矣. 처음부터(始) 사물이(物) 있지 않다고(未有) 생각한(以爲) 사람이(者) 있었으니(有), 지극하고(至矣) 극진해서(盡矣), 더할(加) 수 없었다(不可以矣). 其次以爲有物矣, 而未始有封也. 그(其) 다음으로는(次) 사물이 있지만(有物矣, 而) 애초에(始) 경계가(封) 있지 않다고(未有) 생각했다(以爲也). 其次以爲有封焉, 而未始有是非也. 그다음은(其次) 거기에 경계가(封焉) 있지만(有, 而) 애초에(始) 시비가(是非) 있지 않다고(未有) 생각했다(以爲也). 是非之彰也, 道之所以虧也.. 2023. 4. 12.
[장자(莊子) 내편(內篇) 제2편 제물론(齊物論) 1장-6] 아침에 셋을 주고 저녁에 넷을 주다 / 왈조삼이모사 중저개노 왈연즉조사이모삼 중저개열(曰朝三而莫四 衆狙皆怒 曰然則朝四而莫三 衆狙.. 말이 아닌 것으로 말이 아님을 밝힌다 以指喻指之非指, 不若以非指喻指之非指也; 以馬喻馬之非馬, 不若以非馬喻馬之非馬也. 손가락으로(以指) 손가락이(指之) 손가락이 아님을(非指) 밝히는 것은(喻), 손가락이 아닌 것으로(以非指) 손가락이(指之) 손가락이 아님을(非指) 밝히는(喻) 것만 못하고(不若也); 말로(以馬) 말이(馬之) 말이 아님을(非馬) 밝히는 것은(喻), 말이 아닌 것으로(以非馬) 말이(馬之) 말이 아님을(非馬) 밝히는(喻) 것만 못하다(不若也). * 萬物齊同의 입장에서는 손가락은 손가락이면서 손가락 아닌 것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公孫龍의 ‘親指非指論’처럼 손가락을 가지고 손가락이 손가락 아님을 밝히는 것은 손가락 아닌 것을 가지고 손가락이 손가락 아님을 밝히는 것만 못하다는 뜻이다. 天地, 一指.. 2023. 4.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