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한문 문법/한문 해석의 비밀22

[한문 문법 / 한문 해석의 비밀 21] 한문 해석을 위한 문법(3) 아래는 우승하의 [한문 해석의 비밀, 좋은땅, 2021]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11. 문장 중간에 쓰인 '于'와 '乎'의 해석 문장 중간에 쓰는 어조사 '於', '于', '乎'는 의미와 기능이 통하고, 기본적인 뜻은 '~에서, ~에게, ~로'다. 이 경우 뒤에 오는 단어와 결합해서 보어 역할을 하고 앞에 술어가 오기 때문에 술어를 찾는 단서가 된다. 다만, 문장에서 그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고, 문장 앞에 '於'가 쓰이면 생략되는 특징이 있다. 或問乎曾西曰: "吾子與子路, 孰賢?" (맹자 공손추상) 누군가(或) 증서에게(乎曾西) 물어(問) 말하길(曰): ‘그대(吾子)와(與) 자로(子路) 중에, 누가(孰) 나은가(賢)?' 12. 其~乎(也, 與, 哉): 아마 ~일 것이다(추측). 어찌 ~일 것인가? '其.. 2022. 9. 30.
[한문 문법 / 한문 해석의 비밀 20] 한문 해석을 위한 문법(2) 아래는 우승하의 [한문 해석의 비밀, 좋은땅, 2021]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6. '者'와 '所'의 쓰임 '者'는 앞에 나온 단어의 수식을 받아 명사로 만들고, '~라는 것'의 뜻을 가지며 주격조사 '~은/는, 이/가'를 붙일 수 있다. '農者'는 '농사라는 것이'라고 해석한다. '所'는 뒤에 나오는 동사(형용사)의 수식을 받아 명사로 만들고, '宿所'는 하나의 단어처럼 쓰지만, '所願(원하는 것)'처럼 대부분 뒤에 있는 동사(형용사의 수식을 받는다. 其本亂, 而末治者, 否矣, 其所厚者薄, 而其所薄者厚, 未之有也. (대학 경 1) 그(其) 근본(本)이 어지러운(亂)데도(, 而) 말단(末)이 다스려지는(治) 사람(者)은, 없고(否矣), 그(其) 후하게(厚) 할 것(所~者)에 박하게 하고(薄, 而) 그.. 2022. 9. 30.
[한문 문법 / 한문 해석의 비밀 19] 한문 해석을 위한 문법(1) 아래는 우승하의 [한문 해석의 비밀, 좋은땅, 2021]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1. 접속사 '而'와 '與', '及'의 구분 '而'를 접속사로 쓰면 술어인 동사(형용사)와 동사(형용사)를 연결하거나 문장을 연결한다. 반면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려면 '與', '及'을 쓴다. 한자는 고정된 품사가 없고, 단어가 쓰인 자리와 연결되는 단어에 따라 성분과 품사를 정한다. 이런 특징에 따르면 '而'의 앞과 뒤에는 술어적 성격을 가지는 단어가 와야 하고, 술어가 없다면 술어적 의미를 가지도록 해석해야 한다. 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대학) 마음(心)이 거기(焉) 있지 않으면(不在), 보아도(視而) 보이지 않고(不見), 들어도(聽而) 들리지 않고(不聞), 먹어도(食而) ㄱ 맛을(其味) 알지 못.. 2022. 9. 30.
[한문 문법 / 한문 해석의 비밀 18] 한문 해석을 위한 '以'의 용법 아래는 우승하의 [한문 해석의 비밀, 좋은땅, 2021]의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以'는 '之'와 함께 한문 해석을 어렵게 하는 단어 중 하나다. 사서에서도 일곱 번째로 많이 쓰인 글자다. '以'는 농기구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로 도구, 방법, 이유, 시간 등 다양한 뜻을 가진다. '以'는 기본적으로 영어의 with와 같은 개념으로 '以+명사(구)'의 형태로 가장 많이 쓰이고 '~을 가지고, ~으로써(서)'라고 해석한다. 만일, '以' 뒤에 명사가 없이 동사나 형용사가 온다면 '之'가 생략된 형태로 간주하고 해석한다. 1) '以+명사'는 기본적으로 '명사를 가지고', '명사로서'의 뜻이고 '以'는 우리말의 부사격 조사로 해석한다. 有所不行, 知和而和, 不以禮節之, 亦不可行也. (논어 학이) 행하지(行).. 2022. 9.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