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536

[한문 해석(허사虛詞) 배우기 147] 之(지, 너/그/나, 이/저, ~에게, ~에 있어서, ~와, ~의, 주격조사) 용법 之(지) ① 대사 일인칭·이인칭·삼인칭 모두를 대신한다. '그(들)' '그녀(들)' '나(우리)' '당신(들)' 등으로 해석한다. 莊公寤生, 驚姜氏, 故名曰'寤生, 遂惡之, 愛共叔段, 欲立之. (《左傳》隱公元年) [형인] 장공은 거꾸로 태어나서 어머니 강씨를 놀라게 했다. 그래서 '오생'이라 이름했는데, 끝내는 그 (장공)를 미워하고 [동생인] 공숙단을 사랑하여, 그(공숙단)를 태자로 세우고자 했다. 王坐於堂上, 有牽牛而過堂下者, 王見之, 曰:“牛何之?” (《孟子》〈梁惠王上〉) 왕이 당 위에 앉아 계실 때, 소를 끌고 당 아래를 지나는 사람이 있어 왕이 그(소를 끌고 가는 자)를 보고 말했다. "소는 어디로 가느냐?" 此俱出父母之懷妊, 然男子受賀, 女子殺之者, 慮其後便, 計之長利也. (《韓 非子》〈六反〉.. 2023. 12. 7.
[한문 해석(허사虛詞) 배우기 146] 則(즉, 곧, ~이면, 만약) / 則安/則案(즉안, 곧, 바로) / 則已矣(즉이의, ~일 뿐이다) / 則將(즉장, ~한다면) / 曾(증, 일찍이, ~조차, 어찌) 용법 則(즉) ① 부사 어떤 사실을 확인하고 주로 판단문에 쓰이며, '곧' '~면' '바로'라고 해석한다. 豈人主之子孫則必不善哉? (《戰國策》〈趙策四〉) 임금의 자손이면 틀림없이 착하지 않겠는가? 此則岳陽樓之大觀也. (范仲淹, 〈岳陽樓記〉) 이것은 곧 악양루의 장엄한 풍경이다. ② 부사 이미 이루어진 일을 강조하고, 문장 끝의 '矣(의)'와 어울리며, '모두' '이미'라고 해석한다. 鄭穆公使視客館, 則束載厲兵秣馬矣. (《左傳》僖公三十三年) 정나라 목공이 사람을 시켜 객사를 살펴보게 하니, 이미 수레를 잘 묶었으며 병기를 손질하고 군마에게 먹이를 먹이고 있었다. 使子路反見之, 至, 則行矣. (《論語》〈微子〉) [그러고는] 자로로 하여금 돌아가 그를 만나도록 했다. [자로가] 도착했을 때는 이미 [그들이] 떠난 .. 2023. 12. 6.
[한문 해석(허사虛詞) 배우기 145] 坐(좌, ~때문에, 갑자기, 잠깐, ~보다, 헛되이) / 卽(즉, 곧, 바로, 바로 ~이다, 만약) 용법 坐(좌) ① 전치사 법령이나 금령에 저촉되어 형벌을 받게 되는 원인을 나타내며, 때문에' '~로 말미암아'라고 해석한다. 嬰坐高祖繁歲餘, 掠笞數百. (《史記》〈夏侯嬰列傳〉) 하후영(夏侯嬰)은 고조 때문에 1년여 동안 구금되어 수백 번 매질을 당했다. 古者大臣有坐不廉而廢者. (《漢書》〈賈誼列傳〉) 옛날 대신 중에는 청렴하지 않음으로 말미암아 면직당한 사람도 있었다. 後事泄, 坐死者七人. (《三國志》〈吳書 藩夫人傳〉) 뒤에 일이 누설되자 이 일 때문에 죽은 자가 예닐곱이나 되었다. ② 전치사 동작 혹은 행위의 원인을 나타내며, '~ 때문에' '~로 말미암아 '~인 까닭에'라고 해석한다. 용법 1과 유사하지만 그보다 광범위하다. 母好飮江水, 嗜魚膾, 常以鷄鳴溯流汲江, 子坐取水滉死. (《水經注》〈江水〉) 어머니.. 2023. 12. 6.
[여유당전서 대학공의(大學公議) 일(一)] 밝은 덕을 밝히는 데 있다 / 재명명덕(在明明德) 明者, 昭顯之也. 明德者, 孝弟慈. 명이란(明者), 밝게 드러내는 것이다(昭顯之也). 명덕이란(明德者), 효도와 공경, 자애다(孝弟慈). ○議曰 《周禮》大司樂以六德敎國子, 曰‘中·和·祗·庸·孝·友’. 中·和·祗·庸者, 《中庸》之敎也, 孝·友者, 《大學》之敎也. 大學者, 大司樂敎冑子之宮, 而其目以孝·友爲德, 經云明德, 豈有他哉? 孟子曰: "學則三代共之, 皆所以明人倫也." 明人倫, 非明孝弟乎! 原來先王敎人之法, 厥有三大目, 一曰德, 二曰行, 三曰藝. 大司徒鄕三物所列六德·六行·六藝, 其細目也. 大司樂敎冑子, 亦只此三物而已. 彼以忠和爲德, 孝友爲行, 而大司樂通謂之德者, 德行可互稱也. 詩書·禮樂·弦誦·舞蹈·射御·書數, 皆藝也. 雖其恒業之所肄習, 在於諸藝, 而其本敎則孝弟而已, 明德非孝弟乎! ○議曰 주례에서(《周禮》.. 2023. 12.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