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02-01 孟子見梁惠王(맹자견양혜왕), 王立於沼上(왕립어소상), 顧鴻鴈麋鹿(고홍안미록), 曰: “賢者亦樂此乎(왈현자역락차호)?”
맹자가(孟子) 양나라(梁) 혜왕을(惠王) 만났는데(見), 왕이(王) 연못 가에(於沼上) 서서(立), 기러기와(鴻鴈) 사슴을(麋鹿) 돌아보며(顧), 말했다(曰): “현자도(賢者) 또한(亦) 이것을(樂) 즐기시나요(此乎)?”
<어휘와 문장구조>
* 沼(소): 늪 또는 못, 둥근 것을 池라 하고 굽은 것을 沼라 함.
01-02-02 孟子對曰(맹자대왈): “賢者而後樂此( 현자이후락차), 不賢者雖有此(불현자수유차), 不樂也(불락야).
맹자가(孟子) 대답하여 말했다(對曰): “현자가 <된>(賢者) 뒤에라야(而後) 이것을(此) 즐길 수 있으니(樂), 현자가(賢者) 아니라면(不) 비록(雖) 이것을(此) 가졌더라도(有), 즐기지 못합니다(不樂也).
01-02-03 『詩』云(시운): ‘經始靈臺(경시영대), 經之營之(경지영지), 庶民攻之(서민공지), 不日成之(불일성지).
시(詩)에 이르기를(云): ‘영대를(靈臺) 재기 시작하여(經始, 위치를 정하여), 그것을 측량하고(經之) 그것을 짓는데(營之), 백성이(庶民) 그것을 힘써 일해서(攻之), 하루가 지나지 않아(不日) 그것을 완성했다(成之).
經始勿亟(경시물극), 庶民子來(서민자래). 王在靈囿(왕재영원), 麀鹿攸伏(우록유복), 麀鹿濯濯(우록탁탁), 白鳥鶴鶴(백조학학). 王在靈沼(왕재영소), 於牣魚躍(오인어약).’
계획을 시작할 때(經始) 서둘지 말라고 했지만(勿亟), 백성이(庶民) 자식처럼(子) 왔다(來). 왕이(王) 영유에(靈囿) 있으니(在), 사슴들이(麀鹿) 느긋하게(攸) 엎드려 있고(伏), 암사슴은(麀鹿) 살이 올랐고(濯濯), 흰 새는(白鳥) 새하얗다(鶴鶴). 왕이(王) 영소에(靈沼) 있을 때(在), 아(於) 가득히(牣) 물고기가(魚) 뛰었다(躍).’
文王以民力爲臺爲沼(문왕이민력위대위소), 而民歡樂之(이민환락지). 謂其臺曰靈臺(위기대왈영대), 謂其沼曰靈沼(위기소왈영소), 樂其有麋鹿魚鼈(락기유우록어별). 古之人與民偕樂(고지인여민개락), 故能樂也(고능락야).
문왕이(文王) 백성의 힘으로(以民力) 대를 만들고(爲臺) 소를 만들었으나(爲沼, 而) 백성이(民) 그것을(之) 즐거워했다(歡樂). 그 대를(其臺) 일러(謂) 영대라(靈臺) 말하고(曰), 그 소를(其沼) 일러(謂) 영소라(靈沼) 말하니(曰), 거기에(其) 사슴과(麋鹿) 물고기(魚), 자라가(鼈) 있는 것을(有) 즐거워했다(樂). 옛사람이(古之人) 백성과 더불어(與民) 함께(偕) 즐겼고(樂), 그러므로(故) 즐거울 수 있었다(能樂也).
<어휘와 문장구조>
* 經(날 경): 날실, 세로, 길, 이치, 다스리다, 경영하다, 측량하다, 경계를 정하다, 베를 짜다.
* 營(경영할 영): 경영하다, 짓다, 꾀하다, 계획하다, 두려워하다, 변명하다, 오락가락하다.
* 經始(경시) 재기 시작하는 것으로 측량하여 위치를 정한다는 말이다.
* 亟(빠를 극/자주 기): 극/빠르다, 성급하다, 서두르다. 기/자주, 갑자기 '急히 한다'라는 뜻이며 '자주'라는 뜻일 때는 이 '기'가 된다.
* 攸(바 유): 바, 장소, 이에, 곧, 멀고 아득하다. 所와 같다. 장소를 나타낸다. 또는 부사로 '느긋이'
* 濯濯(탁탁): 짐승들이 반지르르하게 살찐 모양 또는 산이 벌거벗어 민둥산인 모양.
* 鶴鶴(학학): 하얗고 깨끗한 모양. 살찌고 윤택함.
不日成之
☞ 不(弗)은 명사를 부정할 수 없다. 따라서 不뒤에 사용되는 명사는 형용사나 동사처럼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日은 동사화되어 즉 '날이 지나다', '날이 되다'라는 의미가 된다. 명사나 대명사에 대한 부정은 非이다.
¶ 鵠不日浴而白 烏不日黔而黑. (莊子)
(고니는 날마다 목욕하지 않아도 희고, 까마귀는 날마다 검댕이를 묻히지 않아도 검다.)
¶ 晉靈公不君. (左傳)
(진영공은 군주답지 못하다.)
經始勿亟
☞ 勿은 '~하지 말라'는 뜻으로, 勿, 莫, 無(毋), 不 등과 같다. '(어떠한 행위를) 하지 말라'는 이 유형의 문장에서 주어는 곧잘 생략된다.
¶ 施恩勿求報 與人勿追悔. (明心寶鑑)
(은혜를 베풀었다면 보답을 구하지 말고, 남에게 주었다면 후회하지 말라.)
庶民子來
☞ 庶民(주어)+子來(서술어)의 구조로 이루어진 문장이다. 子는 아들, 자식이라는 명사로 쓰이는 것이 보통이지만 來라는 동사 앞에 부사적으로 쓰였다. 따라서 '자식처럼'이라고 부사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이상에서 보는 것처럼 한문에서 낱글자는 품사가 고정되어 있기보다는 위치에 따라 바뀌는 경우가 많다.
爲臺爲沼
☞ 爲는 모든 동사를 대신해서 쓸 수 있다. 영어의 'do'와 같다. 따라서 문장을 보고 적절하게 해석해야 한다. '누대를 짓고 연못을 파다'라고 번역하면 될 것이다.
謂其臺曰靈臺
☞ '謂~曰'는, ‘〜를 曰 이하라 한다', 또는 '~에게 ~를 (~라고) 말하다(평하다)'는 뜻이다. '謂' 다음에는 말하려는 대상이 오고, '曰' 다음에는 그 내용이 온다. '問~曰', '謂~爲'도 같은 형식의 구문이다.
¶ 子謂顔淵曰 用之則行 舍之則藏 唯我與爾有是夫. (論語)
(공자께서 제자 안연에게 말씀하시길, '등용되면 나아가고 버려지면 숨는 것, 오직 나와 너만이 이렇게 할 수 있을 것이다.')
¶ 二世笑曰 丞相誤耶 謂鹿爲馬 問左右 左右或默 或言馬 以阿順趙高. (史記)
(이세가 웃으며 말하길, 승상은 틀렸소. 사슴을 두고 말(馬)이라고 하다니 하며, 좌우 대신들에게 물었다. 좌우 대신들 중 일부는 대답이 없고, 어떤 이들은 말이라고 하며 조고에게 아첨을 했다.)
與民偕樂
☞ 與民偕樂는 직역을 하면 '백성과 더불어 함께'로 같은 의미의 말이 중복된다. 與는 '~와 더불어'라는 개사이며, 偕는 '함께/모두'를 의미하는 부사이다. 해석할 때는 하나만 해석하여 '백성과 함께', 또는 '백성과 더불어'로 하는 것이 좋다. '與~', '與~具'도 같은 의미의 구문이다. 해석은 '與 AB(동사)' 꼴로 A와 B 하다. 'A同 B(동사)' 형태는 '~과 함께~하다' 정도의 차이다.
¶ 鳥獸不可與同群 吾非斯人之徒與而誰與. 天下有道 丘不與易也. (論語)
(새와 짐승과 더불어 무리를 지을 수 없으니, 내가 이 세상 사람들과 함께하지 않는다면 누구와 함께하겠는가? 천하에 도가 행해지고 있다면 내가 바꾸려 들지도 않을 것이다.)
01-02-04 「湯誓」曰(탕서왈): ‘時日害喪(시일해상)? 予及女偕亡(여급여개망).’ 民欲與之偕亡(민욕여지개망), 雖有臺池鳥獸(수유대지조수), 豈能獨樂哉(기능독락재)?”
탕서에서(湯誓) 말했다(曰): ‘이(時) 해가(日) 언제(害) 없어질까(喪)? 나와(予及) 네가(女) 함께(偕) 망하리라(亡). 백성이(民) 그와 더불어(與之) 함께(偕) 망하기를(亡) 바란다면(欲), 비록(雖) 영대와 영지지, 새와 짐승이(臺池鳥獸) 있더라도(有), 어찌(豈) 혼자(獨) 즐길(樂) 수 있을까요(哉)?”
<문법과 어휘>
* 時(때 시): 是와 통용.
* 害(해할 해/어느 할): 해/해하다, 해롭다, 방해하다, 재앙. 할/어느, 언제, 어찌.
* 女(계집 녀): 汝와 通用. 너(이인칭 대명사).
豈能獨樂哉
☞ '豈~哉'는 '어찌 ~하는가', '어찌 ~겠는가?'라는 뜻이다.
¶ 古之所謂曲則全者豈虛言哉. (老子)
(옛사람들이 말했던 굽은 즉 온전하다는 것이 어찌 빈말이겠는가?)
<출처: 맹자로 문리나가, 임옥균 / 맹자의 문법적 이해, 한상국>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