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3] 대(大) / 대(代) / 대(待)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21.
반응형

대(大)

 

1. "확대하다"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梁下』: 此匹夫之勇, 敵一人者也, 王請大之(이는 필부의 용기로서 한 사람을 대적하는 것이니. 대왕께서는 용기를 크게 가지십시오).

 

2. ① "큰 것"으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上』: 以小易大, 彼知之(작은 것을 가지고 큰 것으로 바꾸니, 저들이 어찌 이것을 알겠는가)?

 

② 철학 용어로써, 선(善)이 가득 차서 빛을 발하는 것을 "대(大)"라 한다.

☞ 『孟子 盡心下』: 充實而有光輝之謂大(충실하여 빛남이 있는 것을 "大"라 부른다).

 

3. 동작, 행위, 성질, 상태 등이 정점에 도달했음을 나타내며, “매우, 크게"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藤文公上』: 及至葬, 四方來觀之, 顏色之戚, 哭泣之哀, 弔者大悅(장례에 이르러 사방에서 와서 구경했는데, 슬퍼하는 얼굴빛과 애달픈 곡소리에 조문 온 사람들이 매우 감동하였다).

『中庸』: 舜其大知也與(순임금은 매우 지혜롭도다)!

 

4. ① "소(小)"와 상대되며, "큰”으로 해석한다.

☞ 『論語 衛靈公』: 君子不可小知而可大受, 小人不可大受而可小知也(군 자는 작은 일은 알아낼 수 없지만 큰 일은 감당할 수 있고, 소인은 큰 일은 감당할 수 없지만 작은 일로는 알아낼 수 있다).

☞ 『孟子 公孫丑下』: 故將大有爲之君, 必有所不召之臣(그러므로 장차 큰 일을 하려는 임금에게는 반드시 불러들일 수 없는 신하가 있는 것이다).

☞ 『孟子 告子下』: 先生之志則大矣, 先生之號則不可(선생의 뜻은 크지만 선생의 구호는 옳지 않습니다).

 

② "훌륭하다"로 해석한다.

☞ 『論語 八佾』: 林放問禮之本, 子曰 "大哉問!"(임방이 예의 근본을 묻자, 공자가 이르길 "질문이 훌륭하구나!"라고 하였다).

 

5. "태(太)"와 같고, 성질이나 상태가 일정한 한도를 초과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는 "태"로 읽는다. "몹시, 너무"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雍也』: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몸가짐도 소탈하고 행동도 소탈하면 너무 소탈한 것이 아닌가)?

☞ 『孟子 梁惠王上』: 古之人所以大過人者無他焉, 善推其所爲而已矣(옛 현인들이 일반인들보다 몹시 뛰어난 것은 다름이 아니라, 자신이 하는 바를 잘 추진한 것일 따름입니다).

 

대(代)

 

1. "대신하다"로 해석한다.

☞ 『孟子 萬章下』: 祿足以代其耕也(녹봉이 충분히 그 농사짓는 것을 대신할 수 있었다).

 

2. 명 ① 왕조를 가리킨다.

☞ 『論語 八佾』: 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주나라는 하·은 두 왕조를 귀감으로 삼았으니 찬란하도다 문물이여! 나는 주나라를 따르리라).

 

② 세대를 가리킨다.

☞ 『孟子 滕文公下』: 聖人之道衰, 暴君代作, 壞宮室以為污池, 民無所安息(성인의 도가 쇠하자 폭군이 대신 일어나 백성들의 집을 헐어서 웅덩이와 못을 만들어서 백성들이 편안히 쉴 곳이 없었다).

 

대(待)

 

① "기다리다"로 해석한다.

 『論語 子罕』: 子曰 “沽之哉沽之哉, 我待賈者也"(공자가 말하길 "팔 아야지! 팔아야지! 나는 [좋은] 값을 기다리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孟子 公孫丑上』: 雖有知慧, 不如乘勢, 雖有鎡基, 不如待時(비록 지혜가 있더라도 기세를 타는 것만 못하며, 비록 농기구가 있더라도 때를 기다림만 못하다).

 

② "대우하다, 대접하다"로 해석한다.

 『論語 微子』: 齊景公待孔子日 "若季則不能, 以季孟之間待之."(제 나라 경공이 공자를 대우하며 말하길 "계씨처럼은 내가 대우하지 못하겠지만 계씨와 맹씨의 중간 정도로는 대우하겠소."라고 하였다).

 

③ "대처하다, 대비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下』: 宣王曰 "諸侯多謀伐寡人者, 何以待之"(선왕이 이르길 "제후들 중 과인을 치려고 도모하는 자가 많은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라고 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