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獨)
1. 늙어서 자식이 없는 사람을 가리킨다.
『孟子 梁惠王下』: 老而無夫曰寡, 老而無子曰獨(늙어서 지아비가 없는 것을 "과"라 하고, 늙어서 자식이 없는 것을 "독"이라 합니다).
2. ① 동작이나 행위가 단독으로 진행됨을 나타낸다. "홀로, 단독으로” 등으로 해석한다.
『論語 顔淵』: 司馬牛憂曰 "人皆有兄弟, 我獨亡"(司馬牛가 걱정하면서 말하길 "남들은 모두 형제가 있는데, 나만 홀로 없다."라고 하였다).
『孟子 梁惠王上』: 民欲與之偕亡, 雖有臺池鳥獸, 豈能獨樂哉(백성들이 그와 함께 망하길 바란다면 비록 누대와 연못과 새와 짐승들이 있다 한들 어찌 홀로 즐길 수 있겠습니까)?
② 사람 혹은 동작이나 행위의 대상이 어떤 범위에 한정됨을 나타낸다.
"단지, 다만, 오직, 오로지" 등으로 해석한다.
『孟子 告子上』: 所惡有甚於死者, 非獨賢者有是心也, 人皆有之, 賢者能勿喪耳(싫어하는 바가 죽음보다 심한 경우가 있으니, 오직 현자만이 이러한 마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에게 모두 있는데, 현자는 [이러한 마음을] 잃지 않는다).
③ 반문의 어기를 나타내며, "어찌, 설마"로 해석하며, 일반적으로 의문을 나타내는 어기사인 "여(與), 여(歟)"등과 호응한다.
『孟子 滕文公上』: 然則, 治天下獨可耕且爲與(그렇다면 천하를 다스리는 일이 어째서 농사를 지으면서도 할 수 있다는 것인가)?
④ 동작이나 행위, 성질, 상태 등의 정도가 정점에 달했음을 나타낸다. "유달리, 특히"로 해석한다.
『孟子 滕文公上』: 堯獨憂之, 舉舜而敷治焉(요임금이 특히 그것을 근심하다 순을 등용하여 널리 다스리게 하였다).
독(篤)
1. "후하다, 두텁다, 돈독히 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論語 泰伯』: 君子篤於親, 則民興於仁, 故舊不潰, 則民不偸(군자가 친척에게 후하게 하면 백성들 사이에 仁한 기풍이 흥기하고, 옛 친구를 버리지 않으면 백성들이 각박해지지 않는다).
『孟子 梁惠王下』: 以獨周祐, 以對于天下(周나라의 복을 돈독히 하여 천하에 보답하였다).
2. 동작이나 행위, 성질, 상태 등의 정도가 심화됨을 나타낸다. “매우, 독실한" 등 문맥에 따라 해석한다.
『論語 子張』: 執德不弘, 信道不篤, 焉能爲有, 焉能爲亡(덕을 지녔으되 넓지 못하고, 도를 믿되 독실하지 않다면 어찌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어찌 없다고 할 수 있겠는가)?
돈(敦)
1. "관리하다"로 해석한다.
『孟子 公孫丑下』: 前日不知虞之不肖, 使虞敦匠事(지난날에 저의 모자람을 알지 못하시고 저로 하여금 관 만드는 일을 관리하도록 하셨습니다).
2. "후하다"로 해석한다.
『孟子 萬草下』: 聞柳下惠之風者, 鄙夫寬, 薄夫敦(유하혜의 풍도를 들은 경우에 도량이 좁은 사람은 너그러워지고, 각박한 사람은 후해진다).
'한문 사전 > 사서(四書)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7] 득(得) / 득기(得己) / 등(等) (0) | 2023.02.21 |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6] 동(同) / 동(動) / 두소지인(斗筲之人) / 둔(遁) / (0) | 2023.02.21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4] 도(度) / 도(徒) / 도행(徒行) / 도(逃) / 도(塗) / 도(道) / 도(覩) (0) | 2023.02.21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3] 대(大) / 대(代) / 대(待) (0) | 2023.02.21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2] 답답(沓沓) / 당당(堂堂) / 당(當) (0) | 2023.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