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의 허사 - 개사 1] 시간을 나타내는 개사(於, 當, 及, 自, 至(至於), 由)
명사, 대사 혹은 명사구와 결합하여 개사구조가 되어 시간. 장소, 목적, 원인, 방식, 비교 등을 나타낸다. 이 경우 개사구조는 술어를 수식하는 부사어가 되거나 술어 뒤에서 보어가 된다. 1) 於 개사가 시간명사와 결합하여 시간이나 시기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때에'로 해석한다. 於今為烈, 如之何其受之? (지금에도 법이 뚜렷한데 어찌 받을 수 있겠는가?) ☞ '於(개사) + 今(개사) + 爲(술어) + 烈(목적)'의 구조로서於'가 시간개사가 된다. 於斯時也, 天下殆哉岌岌乎. (이때에 천하가 위험하고 위태하였다.) ☞ '於(개사) + 斯時(개사목적어) + 也'의 구조로서 '於'가 시간 개사가 된다. 2) 當 문두에서 시간명사와 결합하여 동작이나 행위가 발생한 시기를 나타내며 개사 '於'와 문법적 역할이 같..
2023. 9. 18.
[한문의 허사 - 접속사 5] 인과접속사(故(故也), 故(是故), 爲...也(焉), 所以...者, 所以)
上下의 의미가 서로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나타낼 경우에 사용한다. 이 경우 上句가 원인을 설명하면 下句에서 그 결과를 나타내고, 반대로 上句에서 결과를 제시하면 下句에서 그 원인을 도출한다. 1) '...,...故(故也)'의 경우 上句에서 결과를 제시하고 下句에 '故(故也)'를 사용하여 그 결과에 대한 원인을 도출한다. 且天地生物也, 使之一本, 而夷子二本故也. (또한 하늘이 물건을 냄은 그로 하여금 근본이 하나이게 하였는데, 이자는 근본이 둘이기 때문이다.) ☞ '而(접속사) + 夷子(주어) + 二本(술어) + 故也'의 구조로서 上句에서 결과를 제시하고 下句의 말미에 '故也'를 사용하여 결과에 대한 원인을 설명한다. 2)..., 故(是故)...'의 경우 上句에서 사물이나 사건에 대한 조건과 원인을 설명하..
2023. 9. 16.
[한문의 허사 - 접속사 4] 가정접속사(若, 如, 苟, 使(如使), ...則(卽))
上句와 下句의 의미가 서로 가정관계를 나타낼 경우에 사용한다. 이 경우 上句에 가정접속사 '若', '如', '苟'를 사용하고 下句에 접속사 '則(卽)'이 호응하여 가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1) 若 上句에 가정접속사 '若'을 사용하고 下句에 접속사 '則'이 호응하여 가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王若隱其無罪而就死地, 則牛羊何擇焉? (왕께서 만약 그것이 죄 없이 사지로 나아감을 측은히 여기신다면, 소와 양을 어찌 가려서 선택했을까요?) ☞ '王(주어) + 若(접속사) + 隱(술어) + 其無罪而就死地(목적어), 則(접속사) + 牛羊(목적어) + 何(의문부사) + 擇(술어) + 焉'의 구조로서 가정접속사 '若'이 下句의 '則'과 호응하여 가정의 결과를 나타낸다. 若孔子主癰疽與侍人瘠環, 何以為孔子? (만약 공자께서 ..
2023. 9. 16.
[한문의 허사 - 접속사 3] 전환접속사(而, 然, 乃, 然而)와 양보접속사(雖, 雖...亦(則))
1) 전환접속사 上句와 下句의 의미가 서로 전환되거나 역접 관계를 나타낼 경우에 사용하며 '而', '然', '乃', '然而' 등이 있다. 1-1) 而 下句의 문두에서 上句의 사실 관계를 부정하는 전절관계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그러나, 그런데'로 해석한다. 且天之生物也, 使之一本, 而夷子二本故也. (또한 하늘이 물건을 냄은 그로 하여금 근본이 하나이게 하였는데, 그런데 이자는 근본이 둘이기 때문이다.) ☞ '而(접속사) + 夷子(주어) + 二本(술어) + 故也'의 구조로서 '而'가 전절관계를 나타낸다. 今恩足以及禽獸, 而功不至於百姓者, 獨何與? (지금 은혜가 충분히 짐승에게 미치는데, 그런데 공로가 백성들에게 미치지 못하는 것은 오직 무엇 때문인가?) ☞ '而(접속사) + 功(주어) + 不 + 至(술어) ..
2023. 9.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