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환접속사
上句와 下句의 의미가 서로 전환되거나 역접 관계를 나타낼 경우에 사용하며 '而', '然', '乃', '然而' 등이 있다.
1-1) 而
下句의 문두에서 上句의 사실 관계를 부정하는 전절관계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그러나, 그런데'로 해석한다.
且天之生物也, 使之一本, 而夷子二本故也.
(또한 하늘이 물건을 냄은 그로 하여금 근본이 하나이게 하였는데, 그런데 이자는 근본이 둘이기 때문이다.)
☞ '而(접속사) + 夷子(주어) + 二本(술어) + 故也'의 구조로서 '而'가 전절관계를 나타낸다.
今恩足以及禽獸, 而功不至於百姓者, 獨何與?
(지금 은혜가 충분히 짐승에게 미치는데, 그런데 공로가 백성들에게 미치지 못하는 것은 오직 무엇 때문인가?)
☞ '而(접속사) + 功(주어) + 不 + 至(술어) + 於(개사) + 百姓(개사목적어) + 者'의 구조로서 '而'가 전절관계를 나타낸다.
1-2)然(然而)
下句의 문두에서 上句의 사실 관계를 부정하는 전절관계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그러나, 그런데'로 해석한다.
識其不可, 然且至, 則是干澤也.
(그가 성왕이 될 수 없음을 알면서도 그러나 장차 온다면 이는 벼슬을 구하고자 함이다.)
☞ '然(접속사) + 且(부사어) + 至(술어), 則(접속사) + 是(주어) + 干(술어) + 澤(목적어) + 也'의 구조로서 '然'이 전절관계를 나타낸다.
夫環而攻之, 必有得天時者矣. 然而不勝者, 是天 時不如地利也.
(대저 포위하여 공격하면 반드시 하늘의 유리한 때를 얻을 때가 있다. 그런데도 이기지 못하는 것은 하늘의 때가 지형의 유리함만 못하기 때문이다.)
☞ '然(접속사) + 不勝者(주어)'의 구조로서 '然'가 전절관계를 나타낸다.
1-3) 乃
下句의 문두에서 上句의 사실 관계를 부정하는 전절관계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그러나'로 해석한다.
其知者以為為無禮也. 乃孔子則欲以微罪行.
(잘 아는 사람은 무례함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나 공자께서는 작은 허물을 핑계 삼아 떠나고자 하였다.)
☞ '乃(접속사) + 孔子(주어) + 則(조사) + 欲(조동사) + 以(개사) + 微罪(개사목적어) + 行(술어)'의 구조로서 '乃'가 下句의 문두에서 전절관계를 나타낸다.
2) 양보접속사
上句와 下句의 의미가 서로 양보관계를 나타낼 경우에 사용한다. 이 경우 上句에 접속사 '雖'를 사용하고 下句에 부사를 사용하여 양보된 사실을 나타낸다.
2-1) 雖
上句에 접속사 '雖'를 사용하여 양보관계를 나타내며 우리말로 '비록 ~라 할지라도'로 해석한다.
雖與之天下, 不能一朝居也.
(비록 그에게 천하를 준다고 해도 하루아침도 차지할 수 없을 것이다.)
☞ '雖(접속사) + 與(술어) + 之(목적어) + 天下(목적어)'의 구조로서 '雖'가 양보관계를 나타낸다.
不賢者雖有此, 不樂也.
(어질지 못한 자는 비록 이런 것을 가지고 있어도 즐기지 못한다.)
본문은 '不賢者(주어) + 雖(접속사) + 有(술어)+ 此(목적어)'의 구조로 서 '雖'가 양보관계를 나타낸다.
2-2) '雖...亦(則)...'의 경우
上句에 접속사 '雖'를 사용하고 下句에 부사 '亦'이나 접속사 '則'이 호응하여 양보관계를 나타낸다.
由此觀之, 雖周, 亦助也.
(이로 말미암아 보건대 비록 주나라도 또한 조법을 사용하였다.)
☞ '雖(접속사) + 周(주어), 亦(부사어) + 助(술어) + 也'의 구조로서 접속사 '雖'가 부사 '亦'과 호응하여 양보관계를 나타낸다.
雖有惡人, 齋戒沐浴, 則可以祀上帝.
(비록 악한 사람이 있더라도 재계하고 목욕하면 상제에게 제사 지낼 수 있다.)
☞ '雖(접속사) + 有(술어) + 惡人(목적어), (주어 생략) + 齋戒沐浴(술어), 則(접속사) + 可以(조동사) + 祀(술어) +上帝(목적어)'의 구조로서 '雖'가 접속사 '則'과 호응하여 양보관계를 나타낸다.
[출처: 안병국, 맹자 한문 문법의 구조 분석, 2018]
'한문 문법 > 한문 문법 구조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의 허사 - 접속사 5] 인과접속사(故(故也), 故(是故), 爲...也(焉), 所以...者, 所以) (0) | 2023.09.16 |
---|---|
[한문의 허사 - 접속사 4] 가정접속사(若, 如, 苟, 使(如使), ...則(卽)) (0) | 2023.09.16 |
[한문의 허사 - 접속사 2] 점층접속사(況, 且~況)와 선택접속사(與其~豈若, 與~孰, 抑~與, 乎~也, 不~則) (0) | 2023.09.15 |
[한문의 허사 - 부사 6] 어기부사와 누가부사(固, 乃, 果, 胎, 或, 曾, 敢, 竊, 庶幾, 滋, 又, 復, 亟) (0) | 2023.09.15 |
[한문의 허사 - 부사 5] 총괄부사(皆, 勝, 擧, 盡, 咸, 俱) (0) | 2023.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