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심보감(明心寶鑑) 11-4] 성심편 상(省心篇 上) / 재가불회요빈객 출외방지소주인(在家不會邀賓客, 出外方知少主人.)
在家不會邀賓客(재가불회요빈객), 出外方知少主人(출외방지소주인). 집에 있으면서(在家) 손님을(賓客) 맞이할(邀) 수(會) 없다면(不), 밖에 나가서(出外) 바야흐로(方) 주인(主人, 자기를 맞아 주는 사람)이 적음을(少) 안다(知). '會'는 ‘가능’(~할 수 있다)을 나타내고, '少主人'은 손님인 자신을 그 집에 묵도록 해주는 주인이 적다는 의미이다. 貧居鬧市無相識(빈거료시무상식), 富住深山有遠親(부주심산유원친). 가난하면(貧) 시끄러운 시장에(鬧市) 살아도(居) 서로(相) 안면 있는 사람(識)이 없고(無), 부유하면(富) 깊은 산에(深山) 살아도(住) 멀리까지(遠) 친함이(親) 있다(有). 人義, 盡從貧處斷(인의진종빈처단). 世情, 便向有錢家(세정변향유전가). 사람의 의리는(人義), 모두(盡) 가난함..
2022. 11. 1.
[명심보감(明心寶鑑) 11-3] 성심편 상(省心篇 上) / 若聽一面說, 便見相離別.
若聽一面說(약청일면설), 便見相離別(변견상리별). 만약(若) 한 편의(一面) 말만(說) 듣는다면(聽, 便) 서로(相) 헤어짐을(離別) 보게 된다(見, 당한다). '若~便'은 '若~則'과 같고, ‘만약 ~한다면’의 의미이다. '見'은 被動을 나타낸다. 따라서 ‘~하게 되다’, ‘~함을 받다’, ‘~을 당하다’의 의미로 새기면 된다. 飽煖思淫慾(포란사음욕), 飢寒發道心(기한발도심). 배부르고(飽) 따뜻하면(煖) 음란한 욕심을(淫慾) 생각하고(思), 굶주기로(飢) 추우면(寒) 도심이(道心) 일어난다(發). 疏廣曰, 賢人多財損其志(현인다재손기지), 愚人多財益其過(우인다재익기과). 소광이 말하기를(疏廣曰), 현인이(賢人) 재물이 많으면(多財) 그 뜻을(其志) 손상시키고(損), 어리석은 사람이(愚人) 재물이 많으면..
2022. 10. 31.
[명심보감(明心寶鑑) 11-2] 성심편 상(省心篇 上) / 天有不測風雲,人有朝夕禍福
天有不測風雲(천유불측풍운),人有朝夕禍福(인유조석화복). 하늘에는(天) 예측하지 못하는(不測) 풍운이(風雲) 있고(有), 사람에게는(人) 아침 저녁의(朝夕) 화와 복이(禍福) 있다(有). 未歸三尺土(미귀삼척토), 難保百年身(난보백년신), 已歸三尺土(이귀삼시사), 難保百年墳(난보백년분). 석 자의(三尺) 흙(土)으로 돌아가지(歸) 않고서는(未), 백년의(百年) 몸(身)을 보전하기(保) 어렵고(難), 석 자의(三尺) 흙(土)에 이미(已) 돌아가서는(歸), 백년의(百年) 무덤(墳)을 보전하기 어렵다(難保). 百年身: 많이 살아야 백 년 사는 목숨을 의미한다. 景行錄云, 木有所養(목유소양), 則根本固而枝葉茂(즉근본고이지엽무), 棟樑之材成(동량지재성). 水有所養(수유소양), 則泉源壯而流波長(즉천원장이류파장), 灌漑..
2022. 10. 30.
[명심보감(明心寶鑑) 11-1] 성심편 상(省心篇 上) / 보화 용지유진 충효 향지무궁(寶貨, 用之有盡. 忠孝, 享之無窮.)
景行錄云, 寶貨, 用之有盡(보화 용지유진). 忠孝, 享之無窮((충효 향지무궁). 경행록에(景行錄) 이르기를(云), 보화는(寶貨), 그것을 씀에(用之) 다항이 있지만(有盡). 충효는(忠孝), 그것을 누림에(享之) 다함이 없다(無窮). 家和貧也好(가화빈야호), 不義富如何(불의부여하), 但存一子孝(단존일자효), 何用子孫多(하용자손다). 집안이(家) 화목하면(和) 가난해도(貧也) 좋지만(好), 불의하면(不義) 부유한들(富) 무엇하겠는가(如何), 다만(但) 한(一) 자식이라도(子) 효도함을(孝) 보존하면(存), 자손이(子孫) 많음을(多) 무엇에 쓰겠는가(何用). 家和貧也好: 여기서의 ‘也’는 句中에 쓰여 정지를 나타낸다. ① 短句에서 보통 주어 뒤에 쓰여 語氣를 한 번 잡아 늘임으로써 강조를 나타낸다. 그리하여 ..
2022. 10.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