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맹의길/맹자집주(孟子集註)

[맹자집주 이루상(離婁上) 16] 공자불모인장(모탈장)[恭者不侮人章(侮奪章)]

by ഗൗതമബുദ്ധൻ 2022. 11. 3.
반응형

사람을 순종하게 하려면

孟子曰: “恭者不侮人(공자불모인), 儉者不奪人(검자불탈인). 侮奪人之君(모탈인지군), 惟恐不順焉(유공불순언), 惡得爲恭儉(오득위공검)? 恭儉豈可以聲音笑貌爲哉(공검기가이성음소모위재)?”

맹자가 말하기를: “공손한(恭) 사람은(者) 남을(人) 업신여기지 않고(不侮), 검소한 사람은(儉者) 남의 <것을>(人) 빼앗지 않는다(不奪). 남을 업신여기고 빼앗는(侮奪人之) 임금은(君), 오직(惟) 남이(焉) 따르지 않음을(不順) 걱정하니(恐), 어찌(惡) 공손하고 검소할(爲恭儉) 수 있겠는가(得)? 공손함과(恭) 검소함이(儉) 어찌(豈) 소리내고(聲音) 웃는 모습으로(笑貌) 될(爲) 수 있겠는가(可以哉)?”

 

○ 惟恐不順, 言恐人之不順己. 聲音笑貌, 僞爲於外也.

오직(惟) 따르지 않음을(不順) 걱정함(恐)은, 言남이(人之) 자기를(己) 따르지 않음(不順)을 걱정한다(恐)는 말이다(不順). 소리 내고(聲音) 웃는 모습(笑貌)은, 바깥에(於外) 거짓으로(僞) 함이다(爲也).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