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자왈 교언영색 선의인)
선생님이 말씀하시기를: 말을 듣기 좋게 하고 안색을 보기 좋게 꾸미는 사람은, 인이 적은 사람이다!
包曰: 巧言, 好其言語. 令色, 善其顏色. 皆欲令人說之, 少能有仁也.
포씨가 말하기를: 교언은, 그 말을 듣기 좋게 함이다. 영색은, 그 안색을 보기 좋게 꾸밈이다. 모두 남으로 하여금 자기를 좋아하게 하려는 것으로, <이런 사람은> 인을 가진 것이 적다.
【疏】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正義曰: 此章論仁者必直言正色. 其若巧好其言語, 令善其顏色, 欲令人說愛之者, 少能有仁也.
정의왈: 이 장은 인한 사람은 반드시 말을 곧게 하고 안색을 바르게 해야함을 논했다. 만약 그 말을 꾸며서 듣기 좋게 하고, 안색을 보기 좋에 꾸며서, 사람들이 좋아하게 만들려고 한다면, 인이 적다.
반응형
'공맹의길 > 논어주소(論語注疏)'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논어주소 학이(學而) 1-6] 행유여력 즉이학문(行有餘力, 則以學文) - 효/제/근/신/애/친/문은 젊은이가 반드시 실천해야 한다 (0) | 2022.06.23 |
---|---|
[논어주소 학이(學而) 1-4] 오일삼성신(吾日三省吾身) / 하루 세 번 반성할 것! (0) | 2022.06.23 |
[논어주소 학이(學而) 1-2] 군자무본 본립이도생(君子務本, 本立而道生) / 근본이 서야 도가 일어난다 (0) | 2022.06.23 |
[논어주소 학이(學而) 1-1] 학이시습지 불역역호(學而時習之, 不亦說乎) / 배움이 가장 중요! (0) | 2022.06.23 |
[논어주소(論語注疏) 해제] 논어주소의 역사와 이해 (0) | 2022.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