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맹의길/맹자집주(孟子集註)

[맹자집주(孟子集注) 맹자서설(孟子序說) 3] 맹자의 가장 큰 공로는 성선을 말한 것이다/ 맹자유대공어세(孟子有大功於世)

by ഗൗതമബുദ്ധൻ 2022. 6. 20.
반응형

又曰: “孟子有大功於世, 以其言性善也.” (우왈 맹자유대공어세 이기언성선야)

또 말하기를: “맹자는 세상에 큰 공로가 있으니, 그가 성선을 말했기 때문이다.”

又曰: “孟子性善·養氣之論, 皆前聖所未發.” (우왈 맹자성선양기지론 개전성소미발)

또 말하기를: “맹자의 성선과 양기의 논의는, 모두 이전의 성인이 밝히지 않은 것이었다.”

又曰: “學者全要識時. 若不識時, 不足以言學. 顏子陋巷自樂, 以有孔子在焉.

(우왈 학자전요식시 약불식시 부족이언학 안자누항자락 이유공자재언)

또 말하기를: “배우는 자는 오로지 때를 알아야 한다. 만약 때를 알지 못하면, 배움을 말하기에 부족하다. 안자가 누항에서 스스로 즐거워한 것은, 공자가 거기에 계셨기 때문이다.

 

若孟子之時, 世旣無人, 安可不以道自任.” (약맹자지시 세기무인 안가불이도자임)

맹자의 시대에는, 세상에 이미 그런 사람이 없었으니, 어찌 도를 스스로 맡지 않을 수 있겠는가?”

又曰: “孟子有些英氣. 纔有英氣, 便有圭角, 英氣甚害事. (우왈 맹자유사영기 재유영기 편유규각 영기심해사)

또 말하기를: “맹자는 뛰어난 기상이 있었다. 조금이라도 뒤어난 기상이 있으면 바로 규각이 있으니 뛰어난 기상은 일에 매우 해롭다.

  • 圭角(규각) : 말이나 뜻 행동이 서로 들어맞지 않음, 모가 나고 뾰족함

如顏子便渾厚不同, 顏子去聖人只豪髮閒. 孟子大賢, 亞聖之次也.”

(여안자편혼후부동 안자거성인지호발간 맹자대현 아성지차야)

안자 같은 경우는 바로 온화하고 인정이 두터워 (맹자와) 같지 않았으니 안자는 성인과 겨우 털 한 가닥 사이 떨어졌다. 맹자는 대현으로 아성의 다음이다.”

或曰: “英氣見於甚處?” 曰: “但以孔子之言比之, 便可見. 且如冰與水精非不光.

(혹왈 영기견어심처 왈 단이공자지언비지 편가견 차여빙여수정비불광)

어떤 사람이 말하기를: “영기가 어디 곳에서 나타납니까?” 말하기를: “다만 공자의 말씀으로 비교해보면, 바로 볼 수 있다. 또 얼음과 수정이 빛나지 않는 것이 아닌 것과 같다.

 

比之玉, 自是有溫潤含蓄氣象, 無許多光耀也.” (비지옥 자시유온윤함축기상 무허다광휘야)

옥에 비교하자면, 스스로 따뜻하고 윤기가 있는 것이 함축된 기상이 있으나, 수많은 광택은 없다.”

楊氏曰: “孟子一書, 只是要正人心, 敎人存心養性, 收其放心. 

(양씨왈 맹자일서 지시요정인심 교인존심양성 수기방심)

양씨가 말하기를: 맹자라는 책은, 다만 인심을 바르게 하는 것에 집중해서, 사람들에게 마음을 보존해서 본성을 기르고, 흩어진 마음을 거두는 것을 가르친다.

 

至論仁·義·禮·智, 則以惻隱·羞惡·辭讓·是非之心爲之端.  (지론인의예지 즉이측은수오사양시비지심위지단)

인의예지를 논한 것은, 측은, 수오, 사양, 시비지심이 단서가 된다.

 

論邪說之害, 則曰: ‘生於其心, 害於其政.’ 論事君, 則曰: ‘格君心之非’, ‘一正君而國定’.

(논사설지해 즉왈 생어기심 해어기정 논사군 즉왈 격군심지비 일정군이국정)

사악한 학설의 해로움을 논하자면, 말하기를: 그 마음에서 나와서, 그 정치에 해가 된다고 했다. 임금을 모시는 것을 논한 것은, 말하기를: 임금이 가진 마음의 그릇됨을 바로잡는다. 한 번 임금을 바로잡으면 나라가 안정된다고 했다.

千變萬化, 只說從心上來. 人能正心, 則事無足爲者矣.  (천변만화 지설종심상래 인능정심 즉사무족위자의)

천변만화는, 다만 마음을 따라 위로 오는 것을 말한다. 사람이 마음을 바르게 할 수 있으면, 일이 지나친 것이 없다.

 

大學之脩(修)身·齊家·治國·平天下, 其本只是正心·誠意而已. 心得其正, 然後知性之善.

(대학지수신제가치국평천하 기본지시정심성의이이 심득기정 연후지성지선)

대학에서 수신제가치국평천하는, 그 근본이 다만 마음을 바르게 하고 뜻을 진실하게 하는 것뿐이다. 마음이 바름을 얻고 나서는, 본성이 선한 것을 알 수 있다.

故孟子遇人便道性善. 歐陽永叔卻言 ‘聖人之敎人, 性非所先’, 可謂誤矣.

(고맹자우인편도성선 구양영숙각언 성인지교인 성비소선 가위오의)

그러므로 맹자가 사람을 만나서 단지 본성이 선하다고 말했다. 구양영숙은 반대로 성인이 사람을 가르치는 것이, 본성이 먼저가 아니다고 했는데, 잘못 말한 것이다.

 

人性上不可添一物, 堯舜所以爲萬世法, 亦是率性而已. 所謂率性, 循天理是也.

(인성상불가첨일물 요순소이위만세법 역시솔성이이 소위솔성 순천리시야)

사람의 본성은 한 물건도 붙일 수 없고, 요임금과 순임금이 만세의 법이 된 까닭은, 또한 본성을 따른 것 뿐이니, 천리를 따르는 것이 이것이다.

外邊用計用數, 假饒立得功業, 只是人欲之私. 與聖賢作處, 天地懸隔.”

(외변용계용수 가요립득공업 지시인욕지사 여성현작처 천지현융)

바깥에서 계략을 쓰고 술수를 써서, 가령 넉넉하게 서서 공업을 얻어도, 다만 이것은 인욕의 사사로움이다. 성현이 자리해서 일으킨 것과 함께는, 하늘과 땅처럼 차이가 심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