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之中庸也, 君子而時中也. 小人之反中庸也, 小人而無忌憚也. 【鄭玄本, 無‘反’字】
(국자지중용야 군자이시중야 소인지반중용야 소인이무기탄야)
군자의(君子之) 중용은(中庸也), 군자다우면서(君子而) 때에 맞게 중도를 실천함이다(時中也). 소인의(小人之) 반중용은(反中庸也), 소인의 마음으로(小人而) 꺼리는 것이 없음이다(無忌憚也). 【鄭玄本, 無‘反’字】
朱子曰: "隨時而處中." 又曰: "君子知其在我, 故能戒謹不睹, 恐懼不聞, 而無時不中. 小人不知有此, 則肆欲妄行, 而無所忌憚矣."
주자가(朱子): "때에 따라서(隨時而) 중도에 처한다(處中)."라고 했다(曰). 또 말하길(又曰): "군자는(君子) 그것이(其) 자기에게 있음을(在我) 알고(知), 그러므로(故) 보이지 않는 것을(不睹) 삼갈 수 있고(能戒謹), 들리지 않는 것을(不聞) 두려워할 수 있어서(恐懼, 而) 때에 따라(時) 중도에 처하지 못하는 것이 없다(無不中). 소인은(小人) 이것이 있음을(有此) 알지 못하고(不知, 則) 방자하게 욕심부리고(肆欲) 망령되이 행동하여(妄行, 而) 꺼리는 것이 없다(無所忌憚矣)."
○箴曰 時中者, 道不可須臾離也, 君子戒愼恐懼, 常行愼獨之工. 故處心不敢不中正, 處事不敢不和平, 隨時得中, 無時不中. 小人不知天命而不畏也. 故處心或偏或陂, 處事或過或差, 橫恣放肆, 無所不爲, 斯之謂無忌憚也.
○箴曰 시중이란(時中者), 도를(道) 잠시도(須臾) 떠날 수 없는 것이니(不可離也), 군자가(君子) 삼가고(戒愼) 두려워하여(恐懼), 늘(常) 신독의 공부를(愼獨之工) 행한다(行). 그러므로(故) 마음을 두는 것이(處心) 감히(敢) 중정하지 않을 수 없고(不不中正), 일을 처리하는 것이(處事) 감히(敢) 화평하지 않을 수 없고(不不和平), 때에 따라(隨時) 중도를 행하니(得中), 때에 따라(時) 중도 아닌 것이 없다(無不中). 소인은(小人) 천명을(天命) 알지 못하고(不知而) 두려워하지 않는다(不畏也). 그러므로(故) 마음 두는 것이(處心) 혹(或) 치우치고(偏) 혹(或) 기울고(陂), 일을 처리하는 것이(處事) 혹(或) 넘치고(過) 혹(或) 어긋나서(差), 마음대로 하고(橫恣) 방자하여(放肆), 하지 못하는 짓이 없고(無所不爲), 이것을(斯之) 꺼리는 것이 없다고(無忌憚) 말한다(謂也).
○朱子從鄭本, 以漢之胡廣, 唐之呂溫ㆍ柳宗元, 爲‘小人之中庸’. 然小人秉德, 本不得中, 又不能有常, 安得有中庸之名? 當以王肅本爲正.
○주자가(朱子) 정현 본을 따르고(從鄭本), 한나라의 호광(以漢之胡廣), 당나라의 여온(唐之呂溫), 유종원(柳宗元)으로, ‘소인지중용(小人之中庸)’으로 했다(爲). 그러나(然) 소인이(小人) 덕을 가졌지만(秉德), 본래(本) 중을 얻지 못했고(不得中), 또(又) 항상 됨이 있을 수 없으니(不能有常), 어찌(安) 중용이란 이름을(中庸之名) 얻을 수 있는가(得有)? 마땅히(當) 왕숙본을(以王肅本) 정본으로 삼아야 한다(爲正).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