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산 정약용의 공부/중용자잠(中庸自箴)

[여유당전서 중용자잠(中庸自箴 ) 1-8] 중용이 지극하구나 능히 오래하는 사람이 드물다 / 중용지기의호 민선능구의(中庸其至矣乎 民鮮能久矣)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11. 17.
반응형

子曰: "中庸其至矣乎. 民【句】鮮能久矣."

子曰: "중용이(中庸) 아마도(其) 지극한 것이구나(至矣乎). 백성 중에(民) 오래 할 수 있는 사람이(能久) 드물구나(矣)." / 백성 중에(民) 능한 사람이(能) 드물어진 것이(鮮) 오래되었구나(久矣)."矣)."


箴曰 庸之爲字, 原是有常之意, 故君子進德修業, 以能久爲貴. 《易》曰: "天地之道, 恒久而不已也." 《易》曰: "天行健, 君子以, 自不息." 《易》曰: "九二悔亡, 能久中也." 《書》曰: "乃大淫昏, 不克終, 日勸于帝之迪." 【〈多方〉文】 皆以能久爲德也. 《論語》曰: "民鮮久矣." 雖毋‘能’字, 亦自成文, 若云世敎衰而行之者鮮, 則《論語》將柰何?

箴曰 용의(庸之) 글자 됨이(爲字), 원래(原) 꾸준함이 있다는(是有常之) 뜻이고(意), 그러므로(故) 군자가(君子) 덕에 나아가서(德) 일을 닦아서(修業), 오래 할 수 있는 것을(以能久) 귀하게 여긴다(爲貴). 역에서(《易》): "천지의 도가(天地之道), 늘 오래가서(恒久而) 그치지 않는다(不已也)."라고 했다(曰). 역에서(《易》): "하늘의(天) 운행이(行) 강건하니(健), 군자가(君子) 본받아(以), 스스로 강하여(自强) 멈추지 않는다(不息)."라고 했다(曰). 역에서(《易》): "구이의(九二) 후회가(悔) 없는 것은(亡), 능히(能) 중도를 오래 해서이다(久中也)."라고 했다(曰). 서에 이르길(《書》曰): "그가(乃) 매우(大) 음탕하고(淫) 어두워서(昏), 끝내(), 하루라도(日) 상제의 도리에(于帝之迪) 힘쓰지 못했다(不克勸)."라고 했다. 【〈多方〉文】 모두(皆) 오래 할 수 있음을(以能久) 덕으로 여겼다(爲德也). 논어에 이르길(《論語》曰): "백성에게(民) <덕이> 적어진 것이(鮮) 오래되었다(久矣)."라고 했다. 비록(雖) 능 자가 없지만(毋‘能’字), 또한(亦) 스스로(自) 글을 이루니(成文), 만약(若) 세상의 가르침이(世敎) 쇠하여(衰而) 행하는 사람이(行之者) 적다고(鮮) 말한다면(, 則) 논어는(《論語》) 장차(將) 어찌할 것인가(柰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