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率)
1. (동) ① "거느리다, 이끌다"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萬章上』: 普天之下, 莫非王土, 率土之濱, 莫非王臣(널리 하늘 아래에서 임금의 땅이 아닌 것이 없고, 거느린 땅 끝까지 임금의 신하가 아닌 사람이 없네).
☞ 『孟子 告子上』: 率天下之人而禍仁義者, 必子之言夫(천하의 사람을 거느려 인의를 손상시키는 것은 반드시 그대의 말일 것이다).
② "지키다, 준봉(遵奉)하다, 좇다"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離婁上』: 不愆不忘, 率由舊章(그릇되지 않고 잊어버리지 않음은 옛 법을 지키기 때문이다).
2. (명) "규칙, 법도, 비율, 기준" 등으로 해석한다. 이 경우에는 "률"이라고 읽는다.
☞ 『孟子 盡心上』: 羿不爲拙射變其殼率(羿는 졸렬한 사수를 위해 활시위를 당기는 기준을 변경하지 않았다).
3. 동작이나 행위가 어떤 경로를 따라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을 따라"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下』: 古公亶父,來 朝走馬, 率西水滸, 至于岐下, 爰及姜女, 律來胥宇"(『시경』에 이르길 “고공단보가 아침에 말을 달려와 서쪽 물가를 따라 기산 아래에 이르렀네. 이에 강녀와 함께 와서 살 데를 둘러보았네."라고 하였다).
솔이(率爾) "경솔한 모양"이나 "갑작스러운 모양" 혹은 "당황하는 모양" 등을 나타낸다.
☞ 『論語 先進』: 子路率爾而對(子路가 경솔하게 대답하였다).
송(送) (동) "보내다"로 해석한다.
☞ 『論語 鄕黨』: 問人於他邦, 再拜而送之(사람을 다른 나라에 보내어 안부를 물을 때에는 두 번 절하고 보 내셨다).
☞ 『孟子 離婁下』: 孟子曰 "養生者, 不足以當大事; 惟送死, 可以當大事"(孟子가 이르길 "부모가 살아 계실 때 봉양하는 것은 大事로 간주하기에는 부족하고, 오로지 죽은 자를 보내는 것만 大事로 간주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송(訟)
1. (동) "꾸짖다, 자책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公冶長』: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나는 자신의 허물을 보고서 내심 자책하는 자를 보지 못했다).
2. (명) "송사, 논쟁, 소송"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顔淵』: 聽訟, 吾猶人也. 必也, 使無訟乎(소송을 판결함에 있어서 나는 다른 사람과 같지만, 반드시 소송을 제기함이 없도록 할 것이다).
송(誦)
동 ① "외다, 암송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子罕』: "不枝不求, 何用不臧", 子路終身誦之("[남을] 해치지 않고, [남의 것을] 탐하지 않는다면 어찌 착하지 않겠는가?"라는 시를 자로가 늘 암송하였다).
② "말하다, 진술하다, 여쭙다"로 해석한다.
☞ 『孟子 告子下』: 子服堯之服, 誦堯之言, 行堯之行, 是堯而已矣(그대가 요임금의 옷을 입고 요임금이 하던 말을 하며, 요임금의 행동을 하면 이는 요임금이 되는 것이다).
☞ 『孟子 公孫丑下』: 見於王曰 "王之爲都者, 臣知五人焉, 知其罪者, 惟孔距心.” 爲王誦之(왕을 뵙고서 "왕의 도읍을 다스리는 자들에 대해 신이 다섯 사람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자신의 죄를 아는 자는 공거심뿐입니다."라고 말하고는 왕을 위하여 [공거심과 주고받았던 말을] 진술하였다).
쇄(灑) (동) "물을 뿌리다", "물을 끼얹다"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子張』: 子夏之門人小子當灘掃應對進退則可矣(자하의 제자들이 물을 뿌리고 비로 쓸며, 응대하고 나아가고 물러나는 예절 등에서는 괜찮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