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118] 소(素) / 소(掃) / 소(疏) / 소사(疏食) / 소(紹) / 소(愬)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3. 8.
반응형

소(素)

 

1. (동) "(분수를) 따르다, 현재의 형편에 응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 『中庸』: 君子素其位而行, 不願乎其外(군자는 자신의 직위에 따라 행동하며, 자신의 직위에서 벗어난 일은 바라지 않는다).

 

2. (명) "흰빛", "근본", "바탕" 등을 나타내지만 여기서는 "흰색의 견직물"을 뜻함.

☞ 『論語 八佾』: 素以爲絢(흰 비단에 채색을 한다).

☞ 『孟子 滕文公上』: “許子冠乎”, 曰 "冠", 曰 “奚冠", 曰 "冠素"([孟子께서] "許子는 관을 쓰는가?"라고 묻자, "관을 씁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이에 "무슨 관을 쓰는가?"라고 묻자, “흰색 견직물로 만든 관을 씁니다"라고 대답하였다).

 

3. (부) 동작이나 행위가 발생할 때, 어떤 대가도 지불하지 않거나 어떤 성질에 의미가 없음을 나타낸다. "부질없이", "공연히", "헛되이"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盡心上』: 不素餐兮(공 연히 밥 먹지 않는 법이라네).

 

소(掃) (동) "(비로) 쓸다"로 해석한다.

☞ 『論語 子張』: 灑掃(물을 뿌리고 비로 쓸다).

 

소(疏)

 

1. (동) "(막힌 것이) 트이다", "통하다", "소통시키다"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滕文公上』: 禹疏九河, 淪濟課而注諸海(우는 九河를 소통시키고, 濟水와 課를 다스려 바다로 흘러들게 하였다).

 

2. (명) "소원한 사람"으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下』: 國君進賢, 如不得已. 將使卑踰尊, 疏踰戚, 可不愼矣(나라의 군주는 어진 이를 천거하되 만약 부득이하게 장차 지위가 낮은 이로 하여금 지위가 높은 이를 넘게 하고 소원한 이를 가까운 이의 위로 넘어서게 해야 한다면 신중을 기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3. (형) ① “멀어지다, 친하지 않다, 소원해지다"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里仁』: 事君數, 斯辱矣, 朋友數, 斯疏矣(임금을 섬길 때 자주 간하면 辱을 당하고 친구 간에 자주 충고하면 소원해진다).

☞ 『孟子 告子下』: 越人關弓而射之, 則己談笑而道之, 無他, 疏之也(월나라 사람이 시위를 당겨 활을 쏘려고 하는데 자기가 말하고 웃으면서 타이르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그와 소원하기 때문이다).

 

② "거칠다, 험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述而』: 飯疏食飮水(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신다).

 

③ "밀(密)"과 반대되는 의미로서 "성기다, 성글다, 드문드문하다, "드물다"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公孫丑上』: 且王者之不作, 未有疏於此時者也(또 성군이 나타나지 않음이 지금보다 드문 적이 있지 않았다).

 

소사(疏食) "거친 밥"으로 해석하며, 변변하지 않은 음식을 뜻한다.

☞ 『論語 述而』: 飯疏食飮水(거친 밥을 먹고 물을 마신다).

 

소(紹)  "섬기다"로 해석한다.

☞ 『孟子 滕文公下』: 紹我周王見休, 惟臣附于大邑周(우리 주나라 임금을 섬겨 그 훌륭함을 보고 주나라에 신하로 복종하였다).

 

소(愬)

 

1. (동) "일러바치다, 헐뜯어 말하다, 참소하다, 모함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憲問』: 公伯寮愬子路於季孫(공백료가 자로를 계씨에게 모함하였다).

☞ 『孟子 梁惠王上』: 天下之欲疾其君者皆欲赴於王, 其如是, 孰能禦之(천하에 그 임금을 미워하는 자들이 모두 왕에게 달려와 하소연하고자 할 것인데, 이와 같으면 누가 이것을 막겠습니까)?

 

2. (명) "하소연"으로 해석한다.

☞ 『論語 顔淵』: 浸潤之讒, 膚受之愬, 不行(젖어드는 참소와 피부에 와닿는 하소연이 통하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