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90] 불급(不及) / 불급(不給) / 불노(不孥) / 불민(不敏) / 불분불계(不憤不啓) / 불비불발(不悱不發)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3. 2.
반응형

불급(不及) "과(過)"와 대칭되는 개념으로서, 어떠한 한계에 도달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낸다. 

"...에 미치지 못하다, 부족하다" 등 문맥에 따라 해석한다.

☞ 『論語 先進』: 子貢問 “師與商也孰賢?" 子曰 "師也過, 商也不及." (자공이 중에서 누가 현명합니까?"라고 묻자, 공자께서는 "師는 지나치고 商은 부족하다."라고 대답하였다).

☞ 『論語 季氏』: 見善如不及, 見不善如湯(선함을 보면 미치지 못할까 두려워하듯이 하며, 선하지 않음을 보면 끓는 물을 더듬을 때 얼른 피하듯이 한다).

 『論語 衛靈公』:  子曰 "群居終日, 言不及義, 好行小慧, 難矣哉!"(孔가 이르길 "여러 사람이 종일토록 거처하며 말이 ''에 미치지 않고, 작은 지혜를 행하기 좋아한다면 가르치기 어렵도다."라고 하였다). 

 

불급(不給) 충분하지 않다, 부족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下』: 春省耕而補不足, 秋省斂而助不給(봄에는 경작하는 것을 살펴서 부족한 것을 보충하고, 가을에는 수확하는 것을 살펴서 부족한 것을 도와줍니다).

 

불노(不孥) "죄인의 아내와 자식에게는 벌을 주지 않는다"로 해석한다. "노()"는 아내와 자식을 가리킨다.

☞ 『孟子 梁惠王下』: 昔文王之治岐也, 耕者九一, 仕者世祿, 關市譏而不征, 澤梁無禁, 罪人不(옛날 문왕께서 땅을 다스릴 때에는 경작하는 자들에게 1/9의 세금을 받았고, 벼슬하는 자들에게는 대대로 祿을 주었으며, 관문과 시장에서는 조사만 하고 [세금을] 징수하지 않았고 澤梁[어업]을 금하지 않았으며, 죄인을 벌주되 죄인의 아내와 자식에게는 벌을 주지 않았다).

 

불민(不敏) "총명하지 못하다, 영리하지 못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顔淵』: 顔淵曰 "回雖不敏, 請事斯語矣."(안연이 말하길 "제가 비록 총명하지는 못하지만 이 말씀에 전념하겠습니다."라고 하였다).

 

불분불계(不憤不啓) 분발하지 않으면 계도하지 않는다는 뜻

불비불발(不悱不發) "언어로 표현하지 못하여 고심하는 사람이 아니면 인도하여 통(通)하게 해 주지 않는다"는 뜻

☞ 『論語 述而』: 不憤不啓, 不悱不發, 舉一隅, 不以三隅反, 則不復也 (분발하지 않으면 일깨워 주지 않으며, 말하려고 애태워하지 않으면 일깨워 주지 않는다. 한 귀퉁이를 들어서 보여 주었는데도 세 귀퉁이를 반증하지 못하면 더 이상 가르쳐 주지 않는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