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87] 부(賦) / 부(膚) / 부(簿) / 북해(北海)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3. 2.
반응형

부(賦)

 

1. "매기다, 부과하다, 거두다"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滕文公上』: 請野九一而助, 國中什一使自賦(바라건대 도성의 외곽 지대에는 9분의 1을 세금으로 내는 助法을 쓰고, 도성에서는 10분의 1 세법을 써서 스스로 세금을 바치도록 하십시오).

☞ 『孟子 離婁上』: 求也爲季氏宰, 無能改於其德, 而賦粟倍他日(求 [冉有]가 계씨의 家臣이 되었지만, 계씨의 德을 바로잡지 못하고 곡식 [세금]을 거둔 것이 일전의 두 배나 되었다).

 

2. "병부(賦)"로서 고대 병역 제도이며, "병역"이나 "군대"와 관련된 일을 뜻한다. 

☞ 『論語 公治長』: 由也, 千乘之國, 可使治其賦也(由는 干乘의 나라에 그 병역을 다스리게 할 수 있다).

 

부(膚)

 

1. "피부, 살갗"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顔淵』: 膚受之塑, 不行焉(피부에 와닿는 하소연이 통하지 않는다).

☞ 『孟子 公孫丑下』: 且比化者, 無使土親膚, 於人心獨無校乎(돌아간 분을 위해 흙이 살에 가까이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은 사람의 마음을 흡족하게 하며 한이 없도록 하는 것 아니겠는가)? 

 

2. "크다, 넓다"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離婁上』: 殷士膚敏, 祼將于京(은나라의 선비로서 크고 통달한 자가 [周나라의] 도성(京)에서 술을 부어 제사를 돕네).

 

부(簿) "문서, 장부"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萬章下』: 孔子先簿正祭器, 不以四方之食供簿正(공자께서는 먼저 장부에다 [종묘 제사에 사용할] 제 기를 결정해 기록해 둔 다음, 사방에서 얻은 변칙적인 물건은 장부에 기록하지 않으셨다).

☞ 『孟子 滕文公上』: 陳良楚產也, 悅周公仲尼之道, 北學於中國(진량은 초나라에서 태어났지만 주공과 중니의 도를 좋아하여 북쪽 중원으로 와서 [학문을] 배웠다).

 

북해(北海) 바다 이름으로서 지금의 "발해 (渤海)"를 가리킨다.

☞ 『孟子 ·梁惠王上』: 挾太山以超北海(태산을 끼고 북해를 뛰어넘다).

☞ 『孟子 離婁上』: 伯夷辟紂, 居北海之濱, 聞文王作, 興曰 "蓋歸來乎! 吾聞西伯善養老者."(백이가 紂를 피해 북해의 바닷가에 살았는데, 문왕이 일어나 어진 정치를 편다는 소식을 듣고 기뻐하면서 말하길 "어찌 그에게로 가 지 않으리오. 나는 서백이 노인을 잘 봉양한다는 말을 들었다."라고 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