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63] 무(毋) / 무(務) / 무(無) / 무내(無乃)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27.
반응형

무(毋) 동작이나 행위에 대한 금지, 훈계, 충고를 나타낸다. 

“...... 해서는 안 된다, ......하지 말라” 등으로 해석한다.

 『論語 學而』: 毋友不如己者(자기보다 못한 사람을 벗으로 삼아서는 안 된다).

 

무고(毋固) "고집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무아(我) "자아에 집착하지 않다"는 뜻이다.

무의(毋意) “억측하지 않다는 뜻이다.

무필(必)  "기필코 하려고 하지 않다"는 뜻이다.

 

『論語 子罕』: 毋意, 母必, 母固, 毋我(억측하지 않으셨고, 기필코 하려고 하지 않으셨으며, 고집하지 않 으셨고, 자아에 집착하지 않으셨다).

 

무(務) "힘쓰다"로 해석한다.

 『論語 學而』: 君子務本, 立而道生(군자는 근본에 힘쓰니, 근본이 확립되면 길이 생긴다). 

 『孟子 告子』: 君子之事君也, 務引其君以當道, 志於仁而已(군자가 임금을 섬길 때는 그 임금을 이끌어 도에 합당하게 하고, 仁에 뜻을 두도록 힘쓸 따름이다).

 

무(無)

 

1. “......없다"로 해석한다.

☞ 『論語 爲政』: 人而無信, 不知其可也사람으로서 신용이 없으면 그 가망성을 알 수 없다).

☞ 『孟子 梁惠王上』: 察鄰國之政, 無如寡人之用心者(이웃 나라의 정사를 살펴보건대 과인처럼 마음을 쓰는 자가 없었다).

 

2. ① 부정을 나타내며, “...... 아니다"로 해석한다.

 『論語 學而』: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고, 기거함에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다).

☞ 『孟子 梁惠王上』: 王如知此, 則無望民之多於鄰國也(대왕께서 만약 이를 아신다면 백성들이 이웃나라보다 많아지길 바라지 말아야 합니다).

 

3. 조건이 없음을 나타내며, "......막론하고, ......에 관계없이" 등으로 해석한다.

 論語 堯曰』: 君子無衆寡, 無小大, 無敢慢(군자는 많거나 적거나. 작거나 크거나 관계없이 감히 태만함이 없다).

 

무고(無) 변고가 없다는 뜻이다. "고(故)"는 변고, 사고를 가리킨다.

☞ 『孟子 盡心上』: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부모가 모두 계시고. 형제에게 변고가 없는 것이 첫 번째 즐거움이다).

 

무내(無) 동작이나 행위에 대한 추측을 나타낸다. “......이 아닌가"로 해석한다.

☞ 『論語 雍也』: 居簡而行簡, 無乃大簡(간략함에 처하면서 간략함을 행한다면 너무 간략한 것이 아닌가)?

 

무녕(無寧) 선택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선택을 나타내는 접속사인 "여(與), 여기(與其)"등과 호응한다. "차라리......하는 게 낫다"로 해석한다.

☞ 『論語 子罕』: 且予與其死於臣之手也, 無寧死於二三子之手乎(또한 내가 家臣들의 손에 죽기보다는 차라리 그대들의 손에 죽는 것이 낫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