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허사(虛辭) 사전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035] 대(大) / 대교(大較) / 대도(大都) / 대범(大凡) / 대저(大氐) / 대저(大抵)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24.
반응형

대(大)

《設文解字》에서 "大, 天大, 地大, 人亦大, 故象人形."이라 하였고, 《廣韻》에서 "大, 小大也."라고 하였으므로 본뜻은 "크다"이다. 문장에서 부사어로 쓰인다.

 

① 동작, 행위, 성질, 상태 등의 정도가 정점에 도달했음을 나타낸다. “크게, 매우" 등으로 해석한다.

☞ 《呂氏春秋 季秋紀 審己》: 國人不說, 大非上(越나라 백성들이 불만스러워 하면서 越王을 크게 비난했다). 

☞ 《孟子 公孫丑下》: 故將大有爲之君, 必有所不召之臣(그러므로 장차 큰 일을 하려고 하는 임금은 반드시 불러들 일 수 없는 신하가 있는 것입니다).
☞ 《史記 司馬相如列傳》: 奏之天子, 天子大設(天子에게 그것을 바치니 天子가 매우 기뻐하였다).

 

② "太"와 그 쓰임이 같고, 어떤 성질이나 상태의 정도가 일정한 한도를 초과한 것을 나타낸다. 이 때는 "태"로 읽는다. 

☞ 《國語 晋語》: 言之大甘, 其中必苦, 讒在中矣(말이 너무 달콤한 것은 그 마음 씀씀이가 반드시 잔인하고 참소 함이 그 중에 있는 것이다).

☞ 《論語 雍也》: 仲弓日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仲弓이 말하기를 "자신이 敬에 처해 있으면서 간략함을 행하여 백성을 대한다면 괜찮지 않겠습니까? 자신이 간략함에 처하고 다시 간략함을 행한다면 너무 간략한 것이 아니겠습니까?"라고 하였다).

☞ 《孟子 梁惠王上》: 古之人所以大過人者無他焉, 善推其所爲而已矣(옛 현인들이 일반 사람들보다 몹시 뛰어난 것은 다름이 아니라, 자신이 하는 바를 잘 미루어 나간 것일 뿐입니다).

 

③ 주어가 가리키는 사물이 대부분 어떤 동작이나 행위를 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대부분, 대체로" 등으로 해석한다.

☞ 《史記 酷吏列傳》: 其治大放張湯而善候伺(그는 법을 집행하는데 대부분 張湯을 모방하여 황제의 의도를 탐문하고 엿보는 데 능하다).

 

④ 동작이나 행위를 아무 거리낌 없이 하는 것을 나타낸다. "제멋대로, 함부로, 마구" 등으로 해석한다.

☞ 《漢書 爰盎晁錯傳 晁錯》: 其後復入隴西, 殺吏卒, 大寇盜(그 후 다시 隴西에 침입하여 벼슬아치와 병사들을 죽이고 마구 노략질을 하였다).

 

⑤ 동작, 행위, 성질, 상태 등에 대한 대략적인 상황을 나타낸다. "대체로"라고 해석한다.

☞ 《史記 貨殖列傳》: 大與趙代俗相類(대체로 조나라와 대대로 풍속이 비슷하다).

☞《史記 衛將軍驃騎列傳》: 時已昏, 漢匈奴相紛拏, 殺傷大當(때는 이미 어두워졌고 漢나라와 匈奴의 군대가 혼전하였는데, 사상자의 수가 대체적으로 비슷했다).

 

대교(大較)

사람이나 사물의 대략적인 상황을 나타낸다. 부사어로 쓰여, "대체로, 대략" 등으로 해석한다.

☞ 《後漢書 祭祀志下): 雖誠天道難可度知, 然其大較猶有本要(비록 진실로 天道를 미루어 짐작하기 어렵다 해도 그 것에 대체로 기본 요체가 있을 것이다).

 

대도(大都)

사물의 대략적인 상황을 나타낸다. 부사어로 쓰이며, "대체로"라고 해석한다.

☞ 《三國志 魏書 張魯傳》: 皆敎以誠信不欺詐, 有病自首其過, 大都與黃巾相似(모두 성실과 신용을 지키고 속이지 말며 잘못이 있으면 스스로 그 허물을 시인하라고 가르치니 대체로 黄巾軍과 비슷하였다).

 

대범(大凡)

① 일반적인 상황에 대한 총괄을 나타낸다. "대개, 대체로" 등으로 해석한다.

☞ 《禮記 祭法》: 大凡生於天地之間者,皆曰命(대개 천지간에서 살아가는 것을 모두 命이라 한다).

☞ 《漢書 藝文志》: 大凡書, 六略三十八種, 五百九十六家, 萬三千五百九卷(대체로 書는 六略 38종, 596家, 13569권이다).

② 사물의 대략적인 상황을 나타낸다. "대략, 대체로" 등으로 해석한다.

☞ 《晋書 載記序》: 大凡劉元海以惠帝永興元年據離石稱漢(대략 劉元海는 惠帝 永興 元年에 離石에 웅거하여 漢이라 일컬었다).

 

대솔(大率)

문장에서 부사어로 쓰여 계산이나 추측을 나타낸다. 술어 앞에 쓰여 "대부분, 대략" 등으로 해석한다.

☞ 《史記 平書》: 於是商賈中家以上大率破(이에 중산 이상의 상인들은 대부분 파산하였다).

 

대저(大氐)

주어가 가리키는 사람 혹은 사물이 대부분 어떤 동작이나 행위를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부사어로 쓰이며, "대부분"으로 해석한다.

☞ 《史記 秦始皇本紀》: 自關以東, 大氐盡畔秦吏應諸侯, 諸侯咸率其衆西鄕(函谷關의 동쪽은 대부분 모두 秦나라의 관리들이 제후들과 호응하여 모반하였고, 제후들은 모두 그들의 군대를 이끌고 서쪽의 秦나라를 향해 진공하였다).

 

대저(大抵)

문장에서 부사어로 쓰인다.

① 주어가 가리키는 사람 혹은 사물이 대부분 어떤 동작이나 행위를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대개, 대부분" 등으로 해석한다.

☞ 《戰國策 漢策一》: 民之所食, 大豆飯藿羹(일반인들이 먹는 것은 대부분 콩, 밥, 콩잎, 국 따위이다).

☞ 《史記 酷吏列傳》: 其治大抵盡放溫舒(그의 다스림은 대개 다 溫舒를 모방하였다).

② 사물의 대략적인 상황을 나타낸다. "대체로, 대개" 등으로 해석한다.

☞ 《史記 老韓非列傳》: 故其著書十餘萬言, 大抵率寓言也(그리하여 십여만 자의 글을 썼는데, 대체로 우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