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허사(虛辭) 사전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33] 당(當)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23.
반응형

당(當)

《說文解字》에서 "當, 田相値也."라고 하였는데, 段玉裁 注에서 "値는 '지키다, 유지하다(持)'이다. 밭과 밭이 마주 대하는 것이다. 引伸되어 '相持', '相抵'를 모두 '當'이라 한다."라고 하였는데, 段玉裁가 말한 '相持', '相抵'는 "서로 필적하다". "서로 대등하다"는 뜻이다.

 

1. 문장에서 부사어로 쓰인다.

① 동작이나 행위가 발생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막, 방금" 등으로 해석한다.

간혹 동작의 진행이나 상태의 지속을 나타내는데, 이 경우 술어 앞에 쓰이며, "막, 마침......중이다"로 해석한다. 

☞ 《三國志 魏書 方技傳 華佗》: 佗久遠家思歸, 因曰 "當得家書, 方欲暫還耳."(華佗는 오랫동안 멀리 떨어진 고향으로 돌아가려 생각하다가. 이에 말하기를 “막 집에서 온 편지를 받았는데, 잠시 돌아가려고 합니다.”라고 하였다).

 

② 동작이나 행위가 머지않아 발생하려는 것을 나타낸다. 동사 앞에 쓰이며, "장차(......하려 하다)"로 해석한다.

☞ 《戰國策 趙策一》: 兵箸晋陽三年矣, 旦暮當拔之而饗其利(군대가 晋陽을 포위한 지 3년이 되었는데, 하루 사이에 장차 그곳을 공격하여 그곳의 이익을 누리려고 한다).

☞ 《吳越春秋 句踐入臣外傳》: 越將有福吳當有憂(월나라는 장차 복이 있을 것이고, 오나라는 장차 근심이 있을 것이다).

 

③ 동작, 행위, 상황 등이 반드시 그러함을 나타낸다. "반드시, 마땅히" 등으로 해석한다.

 《論衡 物勢》: 如天故生萬物, 爲令其相親愛, 不當令之相賊害也(만약 하늘이 의식적으로 만물을 만들었다면 그들로 하여금 서로 사랑하게 했을 것이지, 반드시 그들로 하여금 서로 해치게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 《三國志 魏書劉虞傳》: 非但君當知臣, 臣亦當知君(임금만 반드시 신하를 알아주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신하
또한 반드시 임금을 알아야 한다).

 

2. ""은 그 목적어와 함께 “전치사+목적어” 구문을 이루어 부사어로 쓰인다.

 동작이나 행위가 발생한 시간을 나타낸다. "......에"로 해석한다.

 商君書 開塞》: 當此之時也, 民知其母而不知其父(이때에 백성들은 자신의 어머니만 알고 아버지는 알지 못했 다).

☞ 《史記 項羽本紀》: 當是時, 楚兵冠諸侯(이때에 초나라 군대는 제후들 중에서 으뜸이었다).

 

 동작, 행위, 상황 등이 발생한 장소나 방위를 나타낸다. “......에, 을 향해"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公孫丑下》: 當在宋也, 予將有遠行(송나라에 있을 때, 나는 먼 곳으로 가려고 했다).

 

 동작이나 행위가 발생할 때,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대상임을 나타낸다. "......에 관해서는"으로 해석한다.

☞ 《墨子 非攻上》: 當此, 天下之君子, 皆知而非之, 謂之不義(이에 관해서는 천하의 군자가 모두 그것이 그르다는 것을 알고, 또한 그것을 의롭지 않다고 하는 것이다).

 

3. 단문을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연관관계를 나타낸다. “......하면"으로 해석한다.

 《墨子 辭過》: 君實欲天下之治, 而惡其亂也, 當爲宮室, 不可不節(임금이 진실로 천하를 잘 다스리고자 하고 그 혼란스러움을 싫어하면 궁궐 짓는 것을 절제하지 않을 수 없다).

 

② 가설을 나타내며, "만약"으로 해석한다.

 法儀》: 然則奚以爲治法而可, 當皆法其父母奚若(그렇다면 무엇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원칙을 삼아야 합당하며, 만약 모두 그 부모들을 본받는다면 어떻겠는가)?

 荀子·君子》: 先祖當賢, 後子孫必顯(선조께서 만일 현명하다면 후대의 자손도 반드시 빛날 것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