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허사(虛辭) 사전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31] 단(單) / 단(亶)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22.
반응형

단(單)

《說文解字》에서 "單, 大也."라고 하였으므로 본뜻은 "크다"이다. 段玉裁는 注에서 인신되어 '雙'의 반대로 쓰였다."라고 하였다. 즉 "혼자, 홀로, 오직" 등의 의미로 쓰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假借하여 "殫(다하다)"이다.

 

1. 한정을 나타낸다.

① 동작이나 행위가 어떤 범위에 한정됨을 나타내며, "단지"로 해석한다.

《莊子 雜篇 盜蹄》: 單以反一日之無故而不可得也(단지 하루만이라도 별일 없이 지내려고 하나 잘되지 않는다).

 

② 동작이나 행위가 단독으로 진행됨을 나타낸다. "홀로, 단독으로" 등으로 해석한다.

《後漢書 術列傳 李郃》: 和帝卽位, 分遣使者, 皆微服單行, 各至州縣, 觀采風謠(和帝가 즉위하자 사자들을 파견하여, 모두 평민 옷차림으로 갈아입고 홀로 가서 각기 州와 縣에서 풍속을 관찰하고 민요를 모으도록 했다).

 

2. 총괄을 나타낸다.

① 주어가 가리키는 사람이 모두 어떤 동작이나 행위를 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모두"로 해석한다.

《禮記 郊犧牲》: 惟爲社事單出里(토지신에게 제사를 지낼 때 마을 사람들이 모두 나왔다). 

 

② 목적어가 가리키는 사물이 모두 어떤 동작이나 행위와 관련되었음을 나타낸다. "전부"로 해석한다. 

《左傳・襄公二十七年》: 匹夫一爲不信, 猶不可, 單斃其死(평범한 남자도 한 번 불신받는 일을 하면 오히려 안 됩니다. 그렇게 되면 전부 쓰러져 죽게 될 것입니다).

 

단(亶)

《說文解字》에서 "多, 穀也."라고 하였으므로 본뜻은 "곡식이 넉넉하다, 풍족하다"이다. 段玉裁 注에서 인신되어 '후하다(厚), 믿음이 있다(信), 진실로(誠)'란 뜻으로 쓰였다."라고 하였다.

 

① 동작이나 행위 혹은 그 대상이 어떤 범위에 한정됨을 나타내며, “단지"로 해석한다.

《漢書 五子傳 燕剌王劉旦》: 臣聞武帝使中郎將蘇武使匈奴, 見留二十年不降, 還, 亶爲典屬國(신이 듣건대 武帝가 中郎將 蘇武를 匈奴에 사신으로 보냈는데, 20년 동안 억류되어 있으면서도 투항하지 않고 돌아온 후에는 단지 典屬國만을 지냈다 합니다).

 

② 동작이나 행위가 예기한 효과나 목적에 도달하지 못했음을 나타낸다. "공연히, 쓸데없이" 등으로 해석한다.

☞ 《漢書 揚雄傳下》: 亶費精神於此(쓸데없이 이 일에 정신을 허비하였다). 

 

③ 성질이나 상황에 대한 강조 및 긍정을 나타낸다. "진실로, 과연" 등으로 해석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