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奈)
《說文解字》에서 "奈果也"라고 하였으므로 본뜻은 "사과"인데, 假借되어 "奈"로 쓰였다. 《廣雅, 釋言》에서 "奈"는 '어찌'라는 뜻이다.”라고 하였다. "奈" 단독으로 쓰인 경우는 드물고, 대개 "何"와 함께 쓰였다.
동작이나 상황 등을 묻는다. “어떻게'로 해석한다.
☞ 《淮南子, 兵略訓》: 惟無形者, 無可奈也(다만 형체가 없는 것은 어떻게 할 수 없다).
[참고] "奈" 앞에서 "無" 등의 부정사가 수식할 때에는 대응할 방법이 없음을 나타내며, "어찌할 방법이 없다"로 해석한다.
내지하(奈之何)
방법에 대해 묻는 것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술어로 쓰이며, “어찌합니까", "어떻게 합니까" 등으로 해석한다.
☞ 《史記, 扁鵲倉公列傳》: 其在骨髓, 雖司命無奈之何(병이 골수에 있으면 목 숨을 주관하는 의사라고 하더라도 어찌할 방법이 없다).
내하(奈何)
의문, 방법, 상황, 원인 등을 묻거나, 반문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술어와 부사어로 쓰이며, “어떻게 합니까", "어떻게", "어떠한가", "왜", "무엇 때문에" 등으로 해석한다.
☞ 《老老, 七十四章》: 民不畏死, 奈何以死懼之(백성들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데, 어떻게 죽음으로써 그들을 두렵게 하겠는가?
☞ 《史記, 廉頰藺相如列傳》:取吾璧, 不予我城, 奈何(우리의 和氏璧을 취하고서 우리에게 성을 주지 않으면 어찌하는가)?
☞ 《呂氏春秋, 仲冬紀, 見長》: 公叔之疾, 嗟! 疾甚矣! 將奈社稷何(公叔의 질병은 아! 병이 몹시 심하오! 장차 사 직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참고] "奈何"사이에 처리할 대상이 삽입되어 "奈何"의 구조를 이루는 경우는 “~에 대하여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은(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로 해석한다.
'한문 사전 > 허사(虛辭)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31] 단(單) / 단(亶) (0) | 2023.02.22 |
---|---|
[한문 해석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30] 다(多) / 단(但) (0) | 2023.02.22 |
[한문 해석과 문법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028] 능(能) (0) | 2023.02.21 |
[한문 해석과 문법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27] 녕(寧/어찌, 차라리), (0) | 2023.02.06 |
[한문 해석과 문법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26] 내금(乃今/비로소), 내약(乃若/말하자면)의 용법 (0) | 2023.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