란(亂)
1. ① “혼란스럽다, 난폭해지다"로 해석한다.
☞ 『論語 泰伯』: 勇而無禮則亂, 直而無禮則絞(용맹스럽되 예가 없으면 난폭해지고, 정직하되 예가 없으면 야박해진다).
☞ 『孟子 公孫丑土』: 治則進, 亂則退, 伯夷也(치세를 만나면 나아가고 난세를 만나면 물러간 것이 백이었다).
② "치(治)"와 통하며, "다스리다"로 해석한다.
☞ 『論語 泰伯』: 武王曰 "予有亂臣十人"(무왕이 이르길 "나에게는 [천하를] 다스리는 신하 열 사람이 있다."라고 하였다).
③ 시(詩)나 음악의 마지막 장(章)을 말한다.
☞ 『論語 泰伯』: 師摯之始, 關雎之亂, 洋洋乎! 盈耳哉(악사인 지가 초기에 연주했던 관저의 마지막 악장은 아름다움으로 귀를 가득 채웠다)!
④ 정신이 혼란한 것을 말한다.
☞ 『論語 鄕黨』: 唯酒無量, 不及亂(술은 정량이 없었지만 정신이 혼란한 지경에 이르지는 않았다).
2. "어지러운 상황, 비정상적인 상황"을 말한다.
☞ 『論語 述而』: 子不於怪力亂神 (공자는 괴이한 일과 힘을 쓰는 일, 어지러운 일과 귀신에 관한 일을 말하지 않았다).
낭질(狼疾) "흐리멍덩하다"로 해석한다.
☞ 『孟子 告子上』: 養其一指, 而失其肩背而不知也, 則爲狼疾人也(한 손가락을 고치려고 그 어깨와 등을 [고치지 않아] 잃으면서도 이를 깨닫지 못한다면 흐리멍덩한 사람이다).
래(來)
1. "거(去)"의 반대 의미로서 "오다"는 뜻이다.
☞ 『論語 學而』: 有朋自遠方來, 不亦樂乎(벗이 있어 먼 곳에서 찾아오니, 또한 즐겁지 않은가)?
☞ 『孟子 梁惠王上』: 叟不遠千里而來, 亦有以利吾國乎(노인께서 천 리를 멀다 하지 않고 왔으니, 또한 장차 내 나라를 이롭게 함이 있겠지요)?
2. ① 문장의 끝에 쓰여, 감탄이나 질문, 바람 등의 어기를 나타내며, 문맥에 따라 적절하게 해석한다.
☞ 『孟子 離婁上』: 盍歸乎來! 吾聞西伯善養老者(어찌 돌아가지 않으리오! 나는 서백이 노인을 잘 봉양한다고 들었다).
② 문장의 첫머리에 쓰이며, 특별한 뜻이 없다. 해석하지 않는다.
☞『孟子 梁惠王下』: 古公亶父, 來朝走馬, 率西水滸, 至于岐下(고공단보는 아침에 말을 달려와서 서쪽 물가를 따라 기산 아래에 이르렀네).
3. "이(而), 이(以)" 뒤에 놓여 어떤 시점에서 지금까지의 상황을 나타내며, “......부터, 에서"로 해석한다.
☞『孟子 公孫丑上』: 自有生民以來, 未有夫子也(사람이 생겨난 이후부터 선생과 같은 사람은 아직 없었다).
'한문 사전 > 사서(四書)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50] 려(旅) / 려(厲) / 려(慮) / 여이하인(慮以下人) / 여민(黎民) (0) | 2023.02.25 |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9] 량(良) / 양능(良能) / 양신(良臣) / 양단(兩端) / 량량(涼涼) / 량(量) / 량(諒) / 양음(諒陰) (0) | 2023.02.25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7] 득(得) / 득기(得己) / 등(等) (0) | 2023.02.21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6] 동(同) / 동(動) / 두소지인(斗筲之人) / 둔(遁) / (0) | 2023.02.21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5] 독(獨) / 독(篤) / 돈(敦) (0) | 2023.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