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47] 득(得) / 득기(得己) / 등(等)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21.
반응형

득(得)

 

1. ① "얻다, 깨닫다, 터득하다"로 해석한다.

 論語 學而』: 夫子溫·良·恭· 儉·讓以得之, 夫子之求之也, 其諸異乎人之求之與(선생님은 온순하고 어질고 공손하고 검소하며 겸양한 것으로써 이를 얻으시니, 선생님이 구하신 것은 다른 사람이 구한 것과는 다릅니다).

 孟子 梁惠王上』: 緣木求魚, 雖不得魚, 無後災(나무 위에 올라가서 물고기를 구하는 것은 비록 물고기는 얻지 못하지만 나중에 재앙은 없습니다). 

 

② "탐내다"로 해석한다. 

 論語 季氏」: 及其老也, 血氣旣衰, 戒之在得(늙어서는 혈기가 이미 쇠약하므로 탐욕을 경계해야 한다).

 

③ "덕(德)"과 통하며, "감사하다, 고맙게 여기다"로 해석한다.

 孟子 告子上』: 為宮室之美, 妻妾之奉, 所識窮乏者得我與(집의 아름다움과 처첩의 받듦 및 면식이 있는 궁핍한 사람이 나를 고맙게 여김을 위해서일 것이다).

 

2. ① 의문사인 "안(安), 언 (焉), 하(何)"등과 함께 쓰여 술어가 거론한 것에 대한 가능성을 나타낸다.

“......할 수 있는가"로 해석한다.

 論語 八佾』: 管氏有三歸, 官事不攝, 焉得儉(관씨는 부인 셋을 두었고 家臣들에게 일을 겸직하지 않게 했으니, 어찌 검소하다고 할 수 있는가)?

 孟子 滕文公下』: 是焉得爲大丈夫(이래서야 어떻게 대장부라 할 수 있겠는가)?

 

② 동사나 단문 앞에 쓰여 동작, 행위에 대한 객관적인 가능성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로 해석한다.

 『論語 八佾』: 君子之至於斯也, 吾未嘗不得見也(군자가 이곳에 이르면 내가 일찍이 뵙지 않은 적이 없었다). 

 孟子 滕文公下』: 大夫有賜於士, 不得受於其家, 則往拜其門(大夫가 선비에게 물건을 하사한 것이 있을 경, 선비가 그 집에서 받지 못하였으면 곧 大夫의 집 문에 가서 사의를 표하였다).

 

득기(得) "자아를 지킨다"는 뜻이다. 

☞ 『孟子 盡心上』: 窮不失義, 故士得己焉, 達不離道, 故民不失望焉(궁 하여도 의로움을 잃지 않으므로 선비는 자아를 지키고, 영달하여도 도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백성들이 실망하지 않는 것이다).

 

등(等)

 

1. "견주어 보다, 비교하다"로 해석한다.

☞ 『孟子 公孫丑上』: 由百世之後, 等百世之王, 莫之能違也(백 세대 뒤에서 백 세대의 왕들을 견주어 보면 이에서 어긋나는 것이 없었다).

 

2. ① "층계"를 가리킨다

☞ 『論語 鄕黨』: 出降一等, 逞顔色([堂을] 나와 한 층계를 내려와서는 안색을 폈다).

 

② "등급"으로 해석한다.

☞ 『孟子 萬章下』: 凡五等也(모두 다섯 등급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