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克)
1. "억누르다", "이기다"로 해석한다
☞ 『論語 顔淵』: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어느 날 이기심 버리고 예로 돌아가면 천하가 그를 어질다 할 것이다).
☞ 『孟子 告子下』: 我能爲君約與國, 戰必克(나는 임금을 위하여 동맹국과 맹약하고 전쟁도 반드시 이길 수 있다).
2. 남에게 이기길 좋아한다는 뜻이다.
☞ 『論語 憲問』: 克伐怨欲不行焉, 可以爲仁矣(남을 이기길 좋아하고 스스로 자랑하며, 원망하고 탐욕하는 일을 행하지 않는다면 어질다 할 수 있습니까)?
극(亟)
1. "급히", "서두르다"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上』: 經始勿亟 庶民子來(측량하여 일을 시작할 때 서두르지 말라 했지만, 백성들은 자식이 부모 일에 달려들 듯이 왔네).
2. 동작이나 행위가 여러 차례 발생함을 나타낸다.
"여러 차례", "누차" 등으로 해석하고, 이 경우는 "기"로 읽는다.
☞ 『論語 陽貨』: 好從事而失時, 可謂知乎([정치] 종사하길 좋아하면서도 자주 때를 놓친다면 지혜롭다고 할 수 있습니까)?
☞ 『孟子 萬章下』: 繆公之於子思也, 亟問, 亟餽鼎肉, 子思不悅(繆公은 子思에게 여러 차례 문안하고, 여러 차례 삶은 고기를 보내 주었는데, 子思는 기뻐하지 않았다).
극(隙) "구멍", "틈새"로 해석한다.
☞ 『孟子 滕文公下』: 鑽穴隙相窺, 踰牆相從, 則父母國人皆賤之(구멍을 뚫고 서로 엿보며, 담을 넘어 서로 어울리면 부모나 나라 사람들이 모두 천하게 여긴다).
극(極)
1. "괴롭히다", "못살게 굴다"로 해석한다.
☞ 『孟子 離婁下』: 有故而去, 則君搏執之, 又極之於其所往(연고가 있어 떠나면 임금이 이를 잡아 붙들고, 또한 그가 가는 곳에서도 못살게 군다).
2. "곤궁하다", "극에 달하다"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下』: 夫何使我至於此極也, 父子不相見, 兄弟妻子離散(어찌 우리들로 하여금 이처럼 곤궁함에 이르게 하는가? 아비와 자식이 서로 보지 못하고, 형제와 처자가 헤어져 흩어져 있다).
극(極) "죽이다", "사형에 처하다"로 해석한다.
☞ 『孟子 萬章上』: 舜流共工于幽州, 放驩兜于崇山, 殺三苗于三危, 殛鯀于羽山, 四罪而天下咸服, 誅不仁也(舜 임금이 共工을 幽州에 유배하고, 驩兜를 崇山으로 추방하고, 三苗를 三危에서 죽이고, 鯀을 羽山에서 죽여 네 사람을 벌하자 천하가 모두 복종한 것은 어질지 못한 자를 처벌하였기 때문입니다).
'한문 사전 > 사서(四書)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33] 금부(夫) / 금야(今也) (0) | 2023.02.17 |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32] 근(近) / 근사(近思) / 근(勤) / 근(謹) / 근(饉) (0) | 2023.02.17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30] 규전(圭田) / 규구(規矩) / 규(揆) / 규(窺) / 균(鈞) (0) | 2023.02.16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29] 귀(貴) / 귀(歸) (0) | 2023.02.16 |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28] 권(勸) / 권(權) / 궐(厥) / 궐(闕) / 귈(蹶) (0) | 2023.02.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