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19] 과(果/결단), 과(科/등급), 과(過/넘다, 뛰어나다), 과(寡/적게 하다)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11.
반응형

과(果)

 

1. ① "결단하다", "결단성이 있다"로 해석한다.

☞ 『語語, 雍也』: 子曰 "由也果, 於從政乎何有"(공자가 이르길 “중유는 결단성이 있으니 정사에 종사하는 데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라고 하였다).

 

② "와(媒)"와 통하며, "시녀"란 뜻인데, 전의되어 "모시다"로 해석한다.

☞ 『孟子, 盡心下』: 及其爲天子也, 被袗衣鼓琴, 二女果, 若固有之([舜] 천자가 되자 채색 옷을 입고 거문고를 타며, 두 여자의 시중을 받았는데, 마치 본디부터 그랬던 것처럼 하였다).

 

2. 동작이나 행위가 결국 출현하였음을 나타낸다. "마침내", "결국"으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下』: 嬖人有臧倉者沮君, 君是以不果來也(측근에 장창이란 자가 있어 임금을 만류하였고, 임금께서는 이 때문에 결국 오지 못하신 것입니다).

 

과(科)

 

① "등급", "부류"로 해석한다.

☞ 『論語, 八佾』: 射不主皮, 爲力不同科, 古之道也(활을 쏠 때 [과녁의] 가죽을 뚫는데 주력하지 않음은 힘을 쓰는 것이 다르기 때문이니, [이는] 옛날의 도리이다).

 

② "과목", "과정(課程)"으로 해석한다.

☞ 『孟子, 盡心下』: 夫子之設科也, 往者不追, 來者不拒, 苟以是心至, 斯受之而已矣(선생님께서 과목을 설치하여 가는 자를 쫓지 않고, 오는 자를 막지 않으며, 진실로 배우고자 하는 마음으로써 오면 받아 주실 따름입니다).

 

③ "감(坎)"과 통하며, "구덩이", "웅덩이"로 해석한다.

☞ 『孟子, 離婁下』: 原泉混混, 不舍晝夜, 盈科而後進, 放乎四海(근원이 있는 물은 용솟음쳐 나와 밤낮을 쉬지 않고 흘러 웅덩이에 가득 찬 후에 나아가서 사해에 이른다).

 

과(過)

 

1. ① "과도하다", "심하다", "지나치다"로 해석한다.

☞ 『論語, 先進』: “師也過, 商也不及”. 曰 "然則師愈與", 子曰 "過猶不及” ("사(子張)는 지나치고, 상(子夏)은 모 자란다." 자장이 "그렇다면 사가 낫습니까?"라고 하자, 공자는 "지나침은 모자람과 같다."라고 말하였다).

 

② "낫다", "뛰어나다”로 해석한다.

☞ 『論語, 公冶長』 由也好勇過我 (由[자로]가 용맹함을 좋아하는 것은 나를 뛰어넘는다).

☞ 『孟子, 梁惠王上』: 古之人所以大過人者, 無他焉, 善推其所為而已矣 (옛날 사람이 지금 사람보다 크게 뛰어난 까닭은 다름이 아니라, 그 하는 바를 잘 미루어 나갔을 따름입니다). 

 

③ 어떤 장소나 상황을 경과한 것을 나타내며, "지나다", "경과하다", "거치다"로 해석한다.

☞ 『論語, 子罕』: 冕衣裳者, 與瞽者, 見之, 雖少必作, 過之必趣([공자는] 관을 쓰고 위아래 옷을 차려입은 사람이나 봉사를 보면, 비록 어릴지라도 반드시 일어났고, 그 곁을 지날 때는 반드시 종종걸음을 하였다).

☞ 『孟子, 梁惠王上』: 王坐於堂上, 有索牛而過堂下者(왕께서 전당 위에 앉아 있는데 소를 끌고 당 아래를 지나가는 사람이 있었습니다).

 

2. "과실", "허물"로 해석한다.

☞ 『論語, 學而』: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자기만 못한 자를 벗 삼지 말고, 허물이 있으면 고치는 것을 꺼려해서는 안 된다).

☞ 『孟子, 公孫丑上』: 子路人告之以有過則喜(子路는 사람들이 그에게 허물이 있음을 알려주면 기뻐하였다).

 

과(寡)

 

1. "적게 하다"로 해석한다.

☞ 『論語, 憲問』: 夫子欲寡其過而未能也(선생께서는 허물을 적게 하려고 하시지만 아직 능하지 못하십니다).

2

. "홀어미" 즉 "과부"를 가리킨다.

☞ 『孟子, 梁惠王下』: 老而無夫曰寡, 老而無子曰獨(늙어서 남편이 없는 경우를 寡[과부]라 하고, 늙어서 자식이 없는 경우를 獨[무의탁자]이라 한다).

 

3. ① 수량 따위가 적은 것을 나타내며, "적다"로 해석한다.

☞ 『論語, 季氏』: 有國有家者 , 不患寡而不均(나라를 소유하고 가정을 소유한 자는 [사람 수가] 적음을 근심하지 않고 고르지 않음을 근심한다).

☞ 『孟子, 梁惠王上』: 寡固不可敵衆, 弱固不可以敵强(적은 숫자로는 진실로 많은 숫자를 대적할 수 없고, 약한 자는 진실로 강한 자를 대적할 수 없습니다). 

 

② 능력이나 지식 따위가 충분하지 않음을 나타내며, "부족하다"로 해석한다. 

☞ 『論語, 泰伯』: 以能於不能, 以多問於寡, 有若無, 實若虛(유능하면서 유능하지 못한 사람에게 묻고, 학식이 많으면서 학식이 부족한 사람에게 물으며, 있어도 없는 것처럼 하고 가득해도 빈 것처럼 한다).

 

과소군(寡小君) 다른 나라 사람에게 자기 나라 임금의 부인을 말할 때 부르는 호칭. 

☞ 『論語, 季氏』: 邦人稱之日君夫人, 稱諸異邦曰寡小君(나라 사람들은 그를 군부인이라 부르고, 다른 나라에게는 과소군이라 일컫는다).

 

과인(寡人) 제후들의 자칭으로서, “덕이 부족한 사람"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짐" 혹은 "과인"으로 해석한다. 

☞ 『孟子, 梁惠王上』: 寡人之於國也, 盡心焉耳矣(과인은 나라에 대해 마음을 다했을 따름이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