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어휘 배우기 8] 개(改/고치다, 다시), 개(皆/모두), 개(蓋/대략)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7.
반응형

개(改)

 

1.  "고치다", "바꾸다"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學而』: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자기만 못한 자를 벗 삼지 말고, 허물이 있으면 고치는 것을 꺼려해서는 안 된다). 

☞ 『孟子, 公孫丑下』 : 且古之君子過則改之(또한 옛날의 군자들은 허물이 있으면 고쳤다).

 

2. 동작이나 행위가 중복하여 발생함을 나타내며, "다시", "재차"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公孫丑上』: 地不改辟矣, 民不改聚矣, 行仁政而王, 莫之能御也(땅을 재차 개척하지 않고 백성을 재차 모으지 않더라도 仁政을 펴면서 왕 노릇을 한다면 이를 막을 사람이 없을 것이다).

 

개작(改作) "개수하다", "다시 짓다"로 해석한다.

☞ 『論語, 先進』: 仍舊貫如之何, 何必改作(옛 것을 따라 하면 어떠한가? 어째서 반드시 다시 지어야 하는가)?

 

개(皆) 총괄적인 것을 나타내며, “모두", "전부"로 해석한다.

☞ 『論語, 爲政』: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何以別乎(개나 말의 경우도 모두 길러 줌이 있으니, [부모를] 공경하지 않는다면 무엇으로 구별하겠는가)?

☞ 『孟子, 梁惠王上』: 如有不嗜殺人者, 則天下之民皆引領而望之矣(만약 사람 죽이기를 즐기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세상 사람들이 모두 목을 길게 빼고 바라볼 것입니다).

 

개(蓋)

 

1. 아래의 경우는 "개"로 읽는다

① 술어 앞에 쓰여 추측을 나타내며, "대략", "대체로" 등으로 해석한다.

☞ 『孟子, 滕文公上』: 蓋上世嘗有不葬其親者(대체로 상고 시대에는 일찍이 어버이가 죽어도 장사 지내지 않은 때가 있었다).

 

② "덮다"는 뜻에서 假借되어 “파묻다"는 뜻으로 쓰인다. 
☞ 『孟子, 萬章上』:  謨蓋都君咸我績(계책을 세워 도군(舜)을 생매장한 것은 모두 나의 공적이다).

 

2. "합(盍)"의 통가자(字)로서, "하(何)"와 "불(不)"의 작용을 겸하며, “어찌 ~하지 않는가"로 해석한다. 

이 경우는 "합"으로 읽는다.

☞ 『孟子, 梁惠王上』: 蓋亦反其本矣(어찌 그 근본으로 돌아가지 않습니까)?

 

3. 단문을 연결시키며, 원인과 이유를 나타낸다. “왜냐하면", "때문에"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季氏』: 蓋均無貧, 和無寡, 安無傾(왜냐하면 재물을 고르게 지니면 가난함이 없고, 조화로우면 사람들이 적어지는 일이 없으며, 편안하면 기울어짐이 없기 때문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