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說文解字》에서 "旣, 小食也."라고 하였는데, 段玉裁 注에서 "引伸되어 '다하다', '그치다'는 뜻이다."라고 하였으며, 虛詞로 쓰일 때는 實詞에서 引伸된 것이며, 부사, 접속사로 사용된다.
1. 문장에서 부사어로 쓰인다.
① 사물이 가진 성질이나 상태의 정도가 매우 심함을 나타낸다. "매우"로 해석한다.
☞ 《荀子, 子道》: 今女衣服旣盛, 顔色充盈, 天下且孰肯諫女矣(지금 그대의 의복이 매우 호사스럽고 얼굴에 거만함이 가득하다면 천하의 그 누가 당신에게 간언을 하겠는가)?
② 총괄적인 것을 나타낸다.
ⓐ 주어가 가리키는 사람 혹은 사물이 모두 어떤 동작이나 행위를 하고 있거나, 혹은 이어받았음을 나타낸다. “모 두", "전부" 등으로 해석한다.
☞ 《左傳, 僖公二十二年》: 宋人旣成列, 楚人未旣濟(宋나라 군대는 대열을 다 갖추고 있었으나, 楚나라 군대는 강 물을 모두 건너지 못하였다).
ⓑ 목적어가 가리키는 사물이 모두 어떤 동작이나 행위와 직접적으로 관련되었음을 나타낸다. "모두", "모든" 등으로 해석한다.
☞ 《老子, 十一章》: 旣以與人己愈多(모든 것을 남에게 주면 자신은 더욱 부유해진다).
③ 동작, 행위, 상황 등이 이미 발생했거나 존재함을 나타낸다. "이미", “ ~한 후" 등으로 해석한다.
☞ 《論語, 先進》: 暮春者, 春服旣成, 冠者五六人, 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詠 而歸(늦봄에 봄옷이 이미 만들어지면 관을 쓴 어른 대여섯과 동자 예닐곱과 함께 沂水에서 목욕하고 舞雩에서 바람쐬고 노래하면서 돌아오겠습니다).
④ 뒤에 오는 동작이 앞의 동작과 연이어서 발생함을 나타낸다. "곧", "즉시" 등으로 해석한다.
☞ 《史記, 滑稽列傳》: 西門豹卽發民鑿十二渠, 引河水灌民田, 田皆漑(서문표는 즉시 백성들을 동원하여 12개의 도랑을 파고 강물을 끌어서 백성들의 논에 관개하였다).
⑤ 동작이나 행위가 머지않아 발생함을 나타낸다. "머지않아", "오래지 않아" 등으로 해석한다.
☞ 《左傳, 成公二年》: 新築人仲叔于奚救孫桓子, 桓子是以免. 旣, 衛人賞之以邑, 辭(新築의 대부인 仲叔于奚가 孫桓子를 도왔는데, 孫桓子는 이로 인해 실패를 면할 수 있었다. 오래지 않아 衛나라 임금이 仲叔于奚에게 邑을 상으로 내렸지만 사양하였다).
2. 접속사
① 단문을 연결시키며, 양보를 나타낸다. "비록 ~하더라도"라고 해석한다.
☞ 《尙書, 康誥》: 乃有大罪, 非終, 乃惟昔災, 適爾, 旣道極厥辜, 時乃不可殺(큰 죄를 짓되 끝까지 행하지 않고, 더욱이 그 죄를 후회한다면 비록 지은 죄가 크더라도 그를 죽여서는 안 된다).
② 단문을 연결시키며, 추론의 전제 조건을 제시한다. “이미 ~한 바에야", "기왕에" 등으로 해석한다.
☞ 《三國志, 蜀書, 諸葛亮傳》: 將軍既帝室之胄, 信義著於四海, 百姓孰敢不簞食壺漿以迎將軍者乎(장군께서 기왕에 帝室의 혈통이시니 신의를 사방에 드러낸다면 백성들 중에 누가 감히 도시락밥과 병에 담은 음료로써 장군을 맞이하지 않겠습니까)?
'한문 사전 > 허사(虛辭) 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문 해석과 문법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24] 기(幾), 기하(幾何)의 용법 / 어찌, 거의, 얼마나 (0) | 2023.02.05 |
---|---|
[한문 해석과 문법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23] 기이(旣已), 기이(旣以), 기이(旣而)의 용법 (0) | 2023.02.05 |
[한문 해석과 문법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21] 기(豈), 기감(豈敢), 기도(豈徒), 기약(豈若)의 용법 (0) | 2023.02.04 |
[한문 해석과 문법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20] 기여(其餘) / 기저(其諸) (0) | 2023.02.04 |
[한문 해석과 문법을 위한 허사(虛詞)사전 19] 기(其)의 용법 (0) | 2023.02.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