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맹의길/중용장구(中庸章句)73

[중용장구(中庸章句) 독중용법(讀中庸法) 3] 중화, 중용, 비은, 성, 대덕, 소덕의 6가지가 중용의 큰 마디다 / 증영당작육대절(中庸當作六大節) 中庸(중용)은 當作六大節看(당작륙대절간)이니 首章(수장)이 是一節(시일절)이니 說中和(설중화)하고 自君子中庸以下十章(자군자중용이하십장)이 是一節(시일절)이니 說中庸(설중용)하고 중용은 마땅히 6개의 큰 마디로 만들어서 보는 것이니 첫 장이 한 마디이니 중화를 말하고, 군자중용부터 아래로 10 장이 하나의 마디이니 중용을 말하고, 君子之道費而隱以下八章(군자지도비이은이하팔장)이 是一節(시일절)이니 說費隱(설비은)하고 哀公問政以下七章(애공문정이하칠장)이 是一節(시일절)이니 說誠(설성)하고 군자지도비이은 아래로 8 장이 한 마디이니 비은을 말하고, 애공문정 아래로 7 장이 한 마디이니 성을 말하고, 大哉聖人之道以下六章(대재성인지도이하륙장)이 是一節(시일절)이니 說大德小德(설대덕소덕)하고 末章(말장)이 是一節(시.. 2022. 6. 21.
[중용장구(中庸章句) 독중용법(讀中庸法) 2] 큰 틀을 먼저 보고 짜임새를 본다 / 독서선수간대강(讀書先須看大綱) (독서는 먼저 큰 줄기를 보아야 한다) 讀書(독서)에 先須看大綱(선수간대강)하고 又看幾多間架(우간기다간가)니 如天命之謂性(여천명지위성), 率性之謂道(솔성지위도), 修道之謂敎(수도지위교)는 此是大綱(차시대강)이요 책 읽을 때(讀書)는 먼저(先) 모름지기(須) 큰 강령(大綱)을 보고(看) 또(又) 거의(幾) 많은(多) 소강령(間架, 글의 짜임새)를 보아야(看) 하니, 천명지위성(如天命之謂性)과 솔성지위도(率性之謂道), 수도지위교(修道之謂敎) 같은(如) 것은 이것이(此) 큰 강령이다(是大綱). 夫婦所知所能과 與聖人不知不能處는 此類是間架라 (부부소지소능 여성인부지부능처 차류시간가) 부부(夫婦)가 아는 것(所知)과 할 수 있는 것(所能)과(與), 성인(聖人)이 알지 못하는 것(不知)과 할 수 없는 것(不能處)은 .. 2022. 6. 21.
[중용장구(中庸章句) 독중용법(讀中庸法) 1] 중용은 형체와 그림자가 없는 것을 말한다 / 주자왈중용일편(朱子曰中庸一篇) (이 책 을 이해하려면) 朱子曰(주자왈) 中庸一篇(중용일편), 某妄以己意(모망이기의), 分其章句(분기장구), 是書豈可以章句求哉(시서기가이장구구재). 주자가(朱子) 말하기를(曰) 중용(中庸) 한(一) 편을(篇) 내가(某) 망령되이(妄) 내 뜻(己意)으로써(以) 그(其) 장과(章) 구를(句) 나누었고(分) 이(是) 책이(書) 어찌(豈) 장구로써(以章句) 구해지겠는가(可求哉)? 然學者之於經(연학자지어경), 未有不得於辭而能通其意者(미유부득어사이능통기의자). 그러나(然) 배우는(學) 사람이(者之) 경을 대하고(於經), 말에서(於辭) 얻지(得) 못하면서(不而) 그 뜻을(其意) 통할(通) 수 있는(能) 사람은(者) 있지 않다(未有). 又曰(우왈) 中庸(중용), 初學者未當理會(초학자미상이회). 또 말하기를 중용(中庸).. 2022. 6. 20.
[중용장구 중용장구서(中庸章句序) 2] 선생님은 비록 그 지위를 얻지 못했지만 / 약오부자 즉수부득기위 이소이계왕성개래학(若吾夫子 則雖不得其位 而所以繼往聖開來學) (성현에서 공자를 지나 자사까지) 夫堯舜禹天下之大聖也(부요순우천하지대성야), 以天下相傳(이천하상전), 天下之大事也(천하지대사야). 저(夫) 요와 순, 우는(堯舜禹) 천하의(天下之) 대성현이고(大聖也), 천하로써(以天下) 서로(相) 전한(傳) 것은, 천하의(天下之) 큰(大) 일이다(事也). ​ 以天下之大聖(이천하지대성), 行天下之大事(행천하지대사), 而其授受之際(이기수수지제), 丁寧告戒(정녕고계), 不過如此(불과여차), 則天下之理(즉천하지리), 豈有以加於此哉(기유이가어차재)! 천하의(天下之) 큰 성인으로서(以大聖), 천하의(天下之) 큰(大) 일을(事) 행하면서(行, 而) 그(其) 주고 받음의(授受之) 즈음에(際), 간곡히(丁寧) 일러주고(告) 타이른(戒) 것이, 이와 같음을(如此) 지나치지(過) 않았으니(.. 2022. 6.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