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 <중용>을 이해하려면)
朱子曰(주자왈) 中庸一篇(중용일편), 某妄以己意(모망이기의), 分其章句(분기장구), 是書豈可以章句求哉(시서기가이장구구재).
주자가(朱子) 말하기를(曰) 중용(中庸) 한(一) 편을(篇) 내가(某) 망령되이(妄) 내 뜻(己意)으로써(以) 그(其) 장과(章) 구를(句) 나누었고(分) 이(是) 책이(書) 어찌(豈) 장구로써(以章句) 구해지겠는가(可求哉)?
然學者之於經(연학자지어경), 未有不得於辭而能通其意者(미유부득어사이능통기의자).
그러나(然) 배우는(學) 사람이(者之) 경을 대하고(於經), 말에서(於辭) 얻지(得) 못하면서(不而) 그 뜻을(其意) 통할(通) 수 있는(能) 사람은(者) 있지 않다(未有).
又曰(우왈) 中庸(중용), 初學者未當理會(초학자미상이회).
또 말하기를 중용(中庸)은 처음(初) 배우는 사람이(學者) 이해하기에(理會) 마땅하지(當) 않다(未).
- 이회(理會) : 모든 모여 있는 뜻을 깨달아 암(사물의 이치를 마음속으로 이해함)
○ 中庸之書難看(중용지서난간), 中間說鬼說神(중간설귀설신), 都無理會(도무이회), 學者須是見得箇道理了(학자수시견득개도리료), 方可看此書將來印證(방가간차서장래인증).
중용(中庸)이란(之) 책이(書) 보기(看) 어렵고(難), 중간(中間)에 귀를(鬼) 말하고(說) 신을(神) 밀하여(說), 모두(都) 이해하기(理會) 안되니(無), 배우는 사람은(學者) 모름지기(須) 이(是) 개별(箇) 도리를(道理) 얻어(得) 보기를(見) 마쳐야(了), 바야흐로(方) 이 책을(此書) 보고(看) 장차(將來) 인증할(印證) 수 있다(可).
○ 讀書之序(독서지서), 須是且著力去看大學(수시차착력거간대학), 又著力去看論語(우착력거간논어), 又著力去看孟子(우착력거간맹자), 看得三書了(간득삼서료), 這中庸(유중용), 半截都了(반절도료).
독서의(讀書之) 순서는(序), 모름지기(須) 是우선(且) 힘을 붙여(著力) 가서(去) 대학을(大學) 보고(看), 또(又) 힘을 붙여(著力) 가서(去) 논어를(論語) 보고(看), 또(又) 힘을 붙여(著力) 가서(去) 맹자를(孟子) 보고(看), 세(三) 책(書) 보기를(看得) 마치면(了), 이(這) 중용은(中庸), 반절을(半截) 모두(都) 마친다(了).
不用問人(불용문인), 只略略恁看過(지략략임간과), 不可掉了易底(불가도료이저), 却先去攻那難底(각선거공나난저).
남에게(人) 묻기를(問) 쓰지(用) 않고(不), 다만(只) 간략하게(略略恁) 보고(看) 지나가고(過), 쉬운 것(易底)을 버리고(掉了), 도리어(却) 저(那) 어려운 것(難底)을 먼저(先) 가서 공략하면(去攻) 안된다(不可).
- 恁(임): 이러한, 底(저): 어조사, 那(나): 저것
中庸(중용) 多說無形影(다설무형영), 說下學處少(설하학처소) 說上達處多(설상달처다) 若且理會文義(약차이회문의) 則可矣(즉가의).
중용(中庸)은 형체와 그림자(形影)가 없는(無) 것을 많이(多) 말하고(說) 아래서 배우는 것(下學處, 인사)을 말한(說) 것이 적고 위로 통달하는(上達處, 천리) 것을 말한(說) 것이 많아서(多), 우선(若且) 글의 뜻(文義)을 이해한다면 될 것이다(理會).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