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맹의길/맹자집주(孟子集註)

[맹자집주 이루상(離婁上) 20] 인부족여적장[人不足與適章] / 정부족간야(政不足間也)

by ഗൗതമബുദ്ധൻ 2022. 11. 5.
반응형

孟子曰: “人不足與適也(인부족여적야), 政不足間也(정부족간야).

맹자가 말하기를: “사람을(人) <일일이> 편들거나(與) 허물할(適, 잘못을 지적) 수 없고(不足也), 정치를(政) <일일> <편들거나> 비난할(間) 수 없다(不足也).

  • 人不足與適也, 政不足間也: '人'과 '政'은 원래 '適'과 '間'뒤에 와야 하지만, 강조하려고 앞으로 왔기 때문에 '不足以'를 쓰지 않고 '不足'을 썼다.
    이 문장을 '<등용한> 사람을 <군주와> 더불어 <일일이> 다 지적할 수 없고, 정사를 <군주와 더불어> <일일이> 비난할 수 없다'라고 번역하기도 한다.(성백효)

 

惟大人爲能格君心之非(유대인위능격군심지비). 君仁莫不仁(군인막불인), 君義莫不義(군의막불의), 君正莫不正(군정막부정). 一正君而國定矣(일정군이국정의).”

오직(惟) 대인(大人) 만이 군주 마음의(君心之) 그릇됨(非)을 바로잡을(格) 수 있다(爲能). 임금이 어질면(君仁) 어질지 않은(不仁) 사람이 없고(莫), 임금이 의로우면(君義) 의롭지 않은(不義) 사람이 없고(莫), 임금이 바르면(君正) 바르지 않은(不正) 사람이 없다(莫). 한 번(一) 임금(君)을 바르게 하여(正而) 나라가 안정된다(國定矣).”

 

○ 趙氏曰: “適, 過也. 間, 非也. 格, 正也.”

조씨가 말하기를: “적(適)은, 잘못함이다(過也). 간(間)은, 비난함이다(非也). 격(格)은, 바로잡음이다(正也).”

 

徐氏曰: “格者, 物之所取正也. 『書』曰: ‘格其非心.’”

서씨가 말하기를: “격은(格者), 사물이(物之) 바름을 취한(取正) 것이다(所也). 서(書)에 이르기를(曰): ‘그(其) 그른 마음을(非心) 바르게 한다(格).’고 했다”

 

愚謂間字上亦當有與字. 言人君用人之非, 不足過謫; 行政之失, 不足非間. 惟有大人之德, 則能格其君心之不正以歸於正, 而國無不治矣. 大人者, 大德之人, 正己而物正者也.

내가 살피건대(愚謂) 간(間) 자(字) 앞에는(上) 또한(亦) 마땅히(當) 여자가(與字) 있어야(有) 한다. 言임금이(人君) 사람 쓴 것의(用人之) 잘못을(非), 허물하고 꾸짖을(過謫) 수 없고(不足); 정치를 행한 것의(行政之) 잘못을(失), 비난할(非間) 수 없다(不足). 오직(惟) 대인의 덕이(大人之德) 있다면(有, 則) 그(其) 임금 마음의(君心之) 바르지 못함을(不正) 바로잡을 수 있고(能格) 그것으로(以) 올바름에(於正) 돌아가게 하여(歸, 而) 나라에(國) 다스려지지 않음이(不治矣) 없다(無). 대인은(大人者0, 큰 덕의(大德之) 사람이고(人), 자기를 바르게 하여(正己而) 남이(物) 바르게 되는(正) 사람이다(者也).

 

○ 程子曰: “天下之治亂, 繫乎人君之仁與不仁耳. 心之非, 卽害於政, 不待乎發之於外也. 

정자가 말하기를; “천하의(天下之) 다스려짐과 혼란(治亂)은, 임금의(人君之) 인과(仁與) 불인에(乎不仁) 달렸을(繫) 뿐이다(耳). 마음이(心之) 그릇되면(非), 곧(卽) 정치에(於政_) 해롭고(害), 밖에서(於外) 나타나기를(乎發之) 기다리지 않는다(不待也). 

 

昔者孟子三見齊王而不言事, 門人疑之. 孟子曰: ‘我先攻其邪心, 心旣正, 而後天下之事可從而理也.’

옛날에(昔者) 맹자가(孟子) 제나라 왕을(齊王) 세 번 보고(三見而) 일을(事) 말하지 않으니(不言), 문인이(門人) 그것을(之) 이상하게 여겼다(疑). 맹자가 말하기를(孟子曰): ‘나는(我) 먼저(先) 그 사심을(其邪心) 다스렸고(攻), 마음이(心) 이미(旣) 바르게 되고(正), 나서야(而後) 천하의 일을(天下之事) 따라서(從而) 다스릴(理) 수 있었다(可也).’

 

夫政事之失, 用人之非, 知者能更之, 直者能諫之. 

무릇(夫) 정사의(政事之) 실수(失)와, 사람을 쓰는(用人之) 잘못(非)은, 지혜로운 사람이라면(知者) 그것을(之) 고칠 수 있고(能更), 곧은 사람이라면(直者) 그것을(之) 간언 할 수 있다(能諫). 

 

然非心存焉, 則事事而更之, 後復有其事, 將不勝其更矣; 

그러나(然) 그릇된 마음이(非心) 거기에 있다면(存焉, 則) 일마다(事事而) 그것을 고치더라도(更之), 나중에(後) 다시(復) 그 일이(其事) 있고(有), 장차(將) 모두(勝) 그(其) 고치지 못하고(不更矣); 

 

人人而去之, 後復用其人, 將不勝其去矣. 是以輔相之職, 必在乎格君心之非, 然後無所不正; 

사람마다(人人而) 그것을 없애더라도(去之), 나중에(後) 다시(復) 그 사람을(其人) 쓰면(用), 장차(將) 모두(勝) 그것을(其) 없애지 못한다(不去矣). 이 때문에(是以) 돕는(輔相之) 직책은(職), 반드시(必) 군주 마음의(君心之) 그릇됨(非)을 바로잡는 것에(乎格) 있고(在), 나서야(然後) 바르지 않은(不正) 것이(所) 없고(無); 

 

而欲格君心之非者, 非有大人之德, 則亦莫之能也.”

그리고(而) 군주 마음의(君心之) 바르지 않음(非)을 바로잡고자 하는(欲格) 사람은(者), 대인의(大人之) 덕이(德) 있지 않다면(非有, 則) 또한(亦) 그것을(之) 잘할(能) 수 없다(莫也).”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