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맹의길/논어집주(論語集註)

[논어집주 옹야(雍也) 6-11] 군자다운 선비가 되어라 / 자위자하왈 여위군자유 무위소인유(子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by ഗൗതമബുദ്ധൻ 2022. 9. 8.
반응형

子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자위자하왈 여위군자유 무위소인유)

선생님이(子) 자하에게(子夏) 일러 말하기를(曰): 너는(女) 군자다운 선비가(君子儒) 되고(爲), 소인같은 선비가(小人儒) 되지(爲) 말아라(無).

  • 君子(군자)를'군자답다'라는 뜻의 형용사로서 해석하고, 儒(유)를 수식하는 관형어로 본다.[君子人與? 君子人也.(군자다운 사람이겠지? 군자다운 사람이고 말고.) <論語 泰伯 6>]
  • 군자유와 소인유는 모두 유(儒)다. 유는 배우는 자를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다. 계급적, 신분적 차이가 아닌 지식 사회에서 구분되는 것이다. 왜 하필 자하에게 이런 말을 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춘추시대 고전의 대부분이 자하를 거쳐, 또는 그 후학을 거쳐 전승되었다는 것이 정론이다. 더군다나 자하는 예에 관계있는 문헌에도 밝았다고 한다. 순자학파도 아마 자하 계통에서 나온 것이 아닐까 한다. 자하는 예의 사상에 법 개념을 끌어들이고 그 위에 위문후의 변법통치를 만들었다.

    하여튼 자하는 배우기를 좋아하고, 꼼꼼하고, 예에 밝으면서, 자의에 정통한 사람이었다. 이런 사람일수록 소인유가 될 가능성이 높다. 크게 보는 안목을 가지고 세계를 통찰하는 군자유가 될 필요가 있었다. <김용옥, 논어 한글 역주>

 

儒, 學者之稱. 程子曰: “君子儒爲己, 小人儒爲人.”

유(儒)는, 배우는 사람의(學者之) 명칭이다(稱). 정자가 말하기를: 군자유는(君子儒) 자기를 위하고(爲己), 소인유는(小人儒) 남을 위한다(爲人).

 

○ 謝氏曰: “君子小人之分, 義與利之閒而已. 然所謂利者, 豈必殖貨財之謂? 

사씨가 말하기를: 군자와 소인의(君子小人之) 구분은(分), 의와(義與) 리의(利之) 사이일 뿐이다(閒而已). 그러나(然) 이른바(所謂) 리(利)란 것이(者), 어찌(豈) 반드시(必) 재물을 늘리는(殖貨財) 것(之)만 말하겠는가(謂)?

 

以私滅公, 適己自便, 凡可以害天理者皆利也. 

사사로움으로(以私) 공정함을 없애고(滅公), 자기에게 맞게 해서(適己) 스스로(自) 편안하게 하고(便), 무릇(凡) 천리(天理)를 해칠(害) 수(可以) 있는 것은(者) 모두(皆) 리다(利也).

 

子夏文學雖有餘, 然意其遠者大者或昧焉, 故夫子語之以此.

자하가(子夏) 문학이(文學) 비록(雖) 넉넉함이(餘) 있지만(有, 然) 대체로 보아(意) 그(其) 먼 것과(遠者) 큰 것(大者)은 혹(或) 어두운 듯하고(昧焉), 그러므로(故) 선생님이(夫子) 그에게(之) 이것으로(以此) 말했다(語).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