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산 정약용의 공부/중용자잠(中庸自箴)

[여유당전서 중용자잠(中庸自箴) 3-8] 군자는 덕성을 높이고 학문을 따른다 / 고군자존덕성이도학문(故君子尊德性而道問學節)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12. 1.
반응형

故君子尊德性而道問學致廣大而盡精微極高明而道中庸溫故而知新敦厚以崇禮

그러므로(故) 군자는(君子) 덕성을 높이고(尊德性而) 학문을 따르고(道問學), 광대함을 지극하게 하면서(致廣大而) 정미함을 다하고(盡精微), 고명을 극진하게 하면서(極高明而) 중용을 따르며(道中庸), 옛것을 익혀(溫故而) 새것을 알고(知新), 두터움을 돈독하게 해서(敦厚以) 예를 높인다(崇禮)

 

箴曰 德者, 行吾之直心也. 不行, 無德也. 孝弟忠信·仁義禮智, 斯爲之德, 未及躬行, 安有德乎? 然而謂之德性者, 性本樂善, 隨感而發者, 無非善心. 擴充此心, 可以爲仁義禮智. 故名其性曰德性也, 此性所受, 本上天之命也. 受天命者, 不敢不尊之, 如奉君命者, 不敢不敬之也. 

箴曰 덕이란(德者), 나의(吾之) 곧은 마음을(直心) 행하는 것이다(也). 행하지 않으면(不行), 덕이 없다(無德也). 효제충신과(孝弟忠信) 인의예지(仁義禮智), 이것이(斯) 덕이 되니(爲之德), 몸소 실천함에(躬行) 이르지 못하면(未及), 어찌(安) 덕이 있겠는가(有德乎)? 그러나(然而) 덕성이라고 말한 것은(謂之德性者), 성이(性) 본래(本) 선을 좋아하고(樂善), 느끼는 것을 따라(隨感而) 일어나는 것도(發者), 선심이 아닌 것이(非善心) 없다(無). 이 마음을(此心) 확충하면(擴充), 인의예지를(仁義禮智) 실천할 수 있다(可以爲). 그러므로(故) 그 성을(其性) 이름 지은 것을(名) 덕성이라고 하니(曰德性也), 이것은(此) 성이(性) 받은 것이(所受), 본래(本) 하늘이(上天之) 명한 것이다(命也). 하늘의 명을 받은 사람은(受天命者), 감히(敢) 존중하지 않을 수 없고(不尊之), 마치(如) 군명을 받는 것처럼(奉君命者), 감히(敢) 공경하지 않을 수 없다(不敬之也). 

 

朱子曰: "道, 由也." 

朱子曰: "도는(道), 말미암음이다(由也)." 

 

○按 ‘道問學’·‘道中庸’兩‘道’字, 皆當如此看. 道者, 人所由也. 

○按 ‘도학문(道問學)’과 ‘도중용(道中庸)’의 두 개의(兩) 도 자는(‘道’字), 모두(皆) 마땅히(當) 이와 같이 본다(如此看). 도란(道者), 사람이(人) 따르는 것이다(所由也). 

 

箴曰 尊德性者, 至誠也, 廣大者, 博厚也, 高明者, 高明也. 上章云‘至誠之道, 可配天地', 文相照也. 然孔子之道, 下學而上達, 故《中庸》雖以知天爲首功, 其下學之方, 必以道問學爲首功, 問學之法, 以精微爲極致. 學旣精微, 則身由中庸之道. 由是觀之, 上三段, 天德也, 下三段, 人道也. ‘溫故’以下, 所以爲悠久也. 【此本李曠菴之義】 

箴曰 존덕성이란(尊德性者), 지성이고(至誠也), 광대란(廣大者), 박후이고(博厚也), 고명이란(高明者), 고명이다(高明也). 윗장에서 말하길(上章云) ‘지성의 도는(至誠之道), 천지에(天地) 짝할 수 있다(可配)'라고 했으니, 글이(文) 서로(相) 대조된다(照也). 그러나(然) 공자의 도는(孔子之道), 하학이상달이고(下學而上達), 그러므로(故) 중용이(《中庸》) 비록(雖) 지천을(以知天) 으뜸의 공부로 삼더라도(爲首功), 그(其) 하학의 방법은(下學之方), 반드시(必) 학문을 따르는 것을(以道問學) 으뜸인 공부로 여기며(爲首功), 학문의 방법은(問學之法), 정미한 것을(以精微) 극치로 여긴다(爲極致). 배우고(學) 이미(旣) 정미하다면(精微, 則) 몸은(身) 중용의 도를(中庸之道) 따른다(由). 이것으로 보면(由是觀之), 위의(上) 세 단락은(三段), 천덕이고(天德也), 아래(下) 세 단락은(三段), 인도다(人道也). ‘온고(溫故)’ 아래는(以下), 유구할 수 있는(爲悠久) 방법이다(所以也). 【此本李曠菴之義】 

 

○先儒於此, 每以尊德性爲行, 道問學爲知, 必欲雙雙分排, 不敧不側, 不免有牽強之病耳. 

○선유가(先儒) 이것에 대하여(於此), 늘(每) 존덕성을(以尊德性) 행으로 여기고(爲行), 도학문을(道問學) 지로 여겨서(爲知), 반드시(必) 쌍쌍으로(雙雙) 분배해서(分排), 편벽하지 않고(不敧) 치우치지 않고자 했으니(不側), 견강부회의 병이(牽強之病) 있음을(有) 면하지 못했다(不免耳). 

 

○致廣大, 則恐博而不精, 故救之曰‘盡精微'. 極高明, 則恐過高失中, 故救之曰‘道中庸'. 廣大高明, 則貴在悠久, 故戒之曰‘溫故知新, 敦厚以崇禮', 上文所謂‘博厚·高明·悠久’之意也. 

○광대함을(廣大) 지극하게 하면(, 則) 넓지만(博而) 정밀하지 못할까(不精) 염려되고(恐), 그러므로(故) ‘정미함을 다하라고 말하여(盡精微)' 하여() 구제했다(救之). 고명을 극진하게 하면(極高明, 則) 너무 높아져서(過高) 중을 잃을까(失中) 걱정하고(恐), 그러므로(故) ‘중용을 따르라고(道中庸)' 하여(曰) 구제했다(救之). 광대하고(廣大) 고명하면(高明, 則) 귀함이(貴) 유구에 있고(在悠久), 그러므로(故) 경계하여(戒之) ‘옛것을 다시 익혀(溫故) 새것을 알고(知新), 두텁게 하여(敦厚以) 예를 숭상한다(崇禮)'라고 했으니(曰), 윗글에서(上文) 이른바(所謂) ‘박학, 고명, 유구(博厚·高明·悠久)’의 뜻이다(之意也). 

 

○始於廣大, 終於崇禮者, 先博文而後約禮也. 

○광대함에서(於廣大) 시작하고(始), 숭례에서(於崇禮) 끝나는 것은(者), 먼저(先) 문을 넓히고(博文) 나서(而後) 예를 요약하는 것이다(約禮也). 

 

箴曰 中庸爲一篇宗旨, 至於此節, 流入於節目間者, 只恐極高明者有過高之病, 急下中庸二字, 提掇警醒, 非眞以中庸爲節目也. 

箴曰 중용은(中庸) 이 한 편의(一篇) 종지가(宗旨) 되니(爲), 이 절에(於此節) 와서는(至), 절목 사이에(於節目間) 넣은 것은(流入者), 다만(只) 고명을 극진하게 하는 것에(極高明者) 지나치게 높이는 병이 있을까(有過高之病) 염려해서(恐), 급히(急) 중용 두 글자를(中庸二字) 내려서(下), 끌어 붙잡아(提掇) 경계하고 깨우치려는 것이고(警醒), 정말로(眞) 중용을(以中庸) 절목으로 여긴 것이(爲節目) 아니다(也). 

 

○‘極高明’三字, 超出塵埃之表, 俯瞰萬物, 曲直·汚潔, 昭森羅列. 其見若是者, 其行己易於過高. 君子於此, 又重思之, 必求至善之所在, 爲吾身所由之道, 此之謂‘道中庸'. 

○‘극고명(極高明)’ 세 글자는(三字), 세상의 속된 것을(塵埃之表) 뛰어넘어(超出), 만물을(萬物) 굽어보면( 俯瞰), 옳고 그름과(曲直) 더럽고 깨끗한 것이(汚潔), 밝게(昭) 늘어서 보일 것이다(森羅列). 그(其) 보는 것이(見) 이와 같다면(若是者), 그(其) 자기를 행함이(行己) 지나치게 높아지기(於過高) 쉽다(易). 군자는(君子) 이것에 대해(於此), 또한(又) 거듭 생각하고(重思之), 반드시(必) 지선이(至善之) 있는 곳을(所在) 찾아(求), 내 자신이(吾身) 말미암을 곳을(所由之) 따르도록 하니(道), 이것을(此之) 도중용이라고 한다(謂‘道中庸'). 

* 塵埃(진애): 티끌, 세상()의 속()된 것.

* 俯瞰(부감): 높은 곳에서 내려다봄.

 

○今之所謂道中庸者, 除去第一等義理, 俯取第二第三等義理, 以免時俗之謗言, 此下流之賤也. 烏得爲中庸? 

○지금(今之) 이른바(所謂) 도중용이란(中庸者), 제일의(第一等) 의리를(義理) 버리고(除去), 굽어보며(俯) 제2, 제3의(第二第三等) 의리를(義理) 취해서(, 以) 세상 사람들의(時俗之) 비난하는 말을(謗言) 면하니(免), 이것은(此) 하류의(下流之) 천한 사람이다(賤也). 어찌(烏) 중용을 얻겠는가(得爲中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