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無憂者, 其惟文王乎! 以王季爲父, 以武王爲子. 父作之, 子述之. 武王纘太王·王季·文王之緖, 壹戎衣而有天下, 身不失天下之顯名. 尊爲天子, 富有四海之內, 宗廟饗之, 子孫保之. 武王末受命, 周公成文·武之德, 追王大王·王季, 上祀先公以天子之禮. 斯禮也, 達乎諸候·大夫, 及士·庶人. 父爲大夫, 子爲士, 葬以大夫, 祭以士. 父爲士, 子爲大夫, 葬以士, 祭以大夫. 期之喪, 達乎大夫. 三年之喪, 達乎天子. 父母之喪, 無貴賤一也.”
子曰: “걱정이 없는 사람은(無憂者), 아마(其) 오직(惟) 문왕일 것이다(文王乎)! 왕계를(以王季) 아버지로 삼고(爲父), 무왕을(以武王) 자식으로 삼았다(爲子). 아버지가 일으키고(父作之), 자식이 전했다(子述之). 무왕이(武王) 태왕, 왕계, 문왕의 사업을(太王·王季·文王之緖) 이어(纘), 한 번(壹) 갑옷을 입고서(戎衣而) 천하를 가졌으니(有天下), 몸이(身) 천하의(天下之) 빛나는 이름을(顯名) 잃지 않았다(不失). 존귀하게는(尊) 천자가 되었고(爲天子), 부유하게는(富) 천하를 가졌고(有四海之內), 종묘에서(宗廟) 제사 지내고(饗之), 자손이(子孫) 그것을 보존했다(保之). 무왕이(武王) 말년에(末) 천명을 받고(受命), 주공이(周公) 문왕과 무왕의 덕을(文·武之德) 완성하고(成), 태왕과 왕계를(大王·王季) 왕으로 추존하고(追王), 위로(上) 천자의 예로(以天子之禮) 선공을 제사 지냈다(祀先公). 이런 예는(斯禮也), 제후와 대부, 사와 서인까지(乎諸候·大夫, 及士·庶人) 통한다(達). 아버지가(父) 대부이고(爲大夫), 자식이(子) 사이면(爲士), 대부의 예로(以大夫) 장사 지내고(葬), 사의 예로(以士) 제사 지낸다(祭). 아버지가(父) 사이고(爲士), 자식이(子) 대부이면(爲大夫), 사의 예로(以士) 장사 지내고(葬), 대부의 예로 제사 지낸다(祭以大夫). 기년의 상은(期之喪), 대부까지 이른다(達乎大夫). 삼년의 상은(三年之喪), 천자에게 이른다(達乎天子). 부모의 상은(父母之喪), 귀천이 없이(無貴賤) 같다(一也).”
箴曰 ‘武王·周公, 其達孝矣’一節, 當與此節連爲一章. 《章句》屬之下章, 則宗廟之禮·郊社之禮, 豈武王·周公之所剏乎?
箴曰 ‘무왕과 주공은(武王·周公), 아마도(其) 효를 통달했을 것이다(達孝矣)’란 한 절은(一節), 마땅히(當) 이 절과 더불어(與此節) 이어서(連) 한 장이 되어야 한다(爲一章). 장구(《章句》)에서 아래 장에 (下章) 넣었는데(屬之, 則) 종묘지례와(宗廟之禮) 교사지례가(郊社之禮), 어찌(豈) 무왕과 주공이(武王·周公之) 시작한 것이겠는가(所剏乎)?
○文王·武王, 父作子述, 而周公成文·武之德, 此所謂‘善繼’·‘善述’也, 當屬此章無疑.
○문왕과 무왕이(文王·武王), 아버지가 시작하고(父作) 자식이 잇고(子述, 而) 주공이(周公) 문무의 덕을(文·武之德) 이루었으니(成), 이것이(此) 이른바(所謂) ‘선계(善繼)’와 ‘선술(善述)’이니(也), 마땅히(當) 이 장에 속하는 것에(屬此章) 의심할 것이 없다(無疑).
箴曰 追王之禮, 不自周人始. 〈商頌〉曰‘玄王桓撥', 鄭箋·孔疏, 並以玄王爲契. 《國語》曰‘玄王勤商, 十四世而興', 韋昭以玄王爲契, 斯則追王之典, 及於始祖也. 《漢書·禮樂志》曰‘殷·武上本卨·稷, 始生玄王·公劉', 則是又以玄冥爲玄王也. 〈魯語〉展禽之言曰‘商人祖契而郊冥', 謂冥勤其官而水死, 故列之祀典, 【祭法之所本】 玄王非玄冥乎? 殷人上德, 故追王契·冥, 周人上親, 故追王祖·曾, 此所謂殷·周之損益也. 帝王世係, 自契至冥六世, 至湯十四世, 則湯距冥遠矣.
箴曰 추왕의(追王之) 예는(禮), 주나라 사람으로부터(自周人) 시작되지 않았다(不始). 상송에 이르길(〈商頌〉曰) ‘현왕환발(玄王桓撥)'이라 했고, 정전과(鄭箋) 공소에서(孔疏), 함께(並) 현왕을(以玄王) 설로 보았다(爲契). 국어에서 말하길(《國語》曰) ‘현왕이(玄王) 상나라를 부지런히 일궈서(勤商), 14세가 지나서(十四世而) 흥성했다(興)'라고 했고, 위소는(韋昭) 현왕을(以玄王) 설로 보았으니(爲契), 이는 곧(斯則) 추왕의 법이(追王之典), 시조에게(於始祖) 미치는 것이다(及也). 한서 예악지에서 말하길(《漢書·禮樂志》曰) ‘은나라 무왕은(殷·武) 위로(上) 설과 직을(卨·稷) 근본으로 하여(本), 비로소(始) 현왕 공유를 낳았다(生玄王·公劉)'라고 했으니, 그렇다면(則) 이것은 또한(是又) 현명을(以玄冥) 현왕으로 본 것이다(爲玄王也). 노어(〈魯語〉) 전금의 말에서 이르길(展禽之言曰) ‘상나라가(商人) 설을 조에서 제사하고(祖契而) 명을 교에서 제사한다(郊冥)'라고 했으니, 謂명이(冥) 그 관직을(其官) 부지런히 수행하다가(勤而) 물에서 죽었고(水死), 그러므로(故) 사전에(祀典) 열거했으니(列之), 【제법의 근본(祭法之所本)】 현왕이(玄王) 현명이 아니겠는가(非玄冥乎)? 은나라가(殷人) 덕을 숭상하고(上德), 그러므로(故) 설과 명을(契·冥) 추왕하고(追王), 주나라가(周人) 친을 숭상하고(上親), 그러므로(故) 조와 증을(祖·曾) 추왕했으니(追王), 이것이(此) 이른바(所謂) 은과 주의(殷·周之) 손익이다(損益也). 제왕의(帝王) 세계가(世係), 설로부터(自契) 명에 이르기까지(至冥) 6세이고(六世), 탕에 이르기까지(至湯0 14세라면(十四世, 則) 탕과 명의 거리는(湯距冥) 멀다(遠矣).
鄭曰: "衣讀如殷, 齊人言殷聲如衣. 今有衣姓者, 殷之裔也."
鄭曰: "의의(衣) 독음은(讀) 은과 같아서(如殷), 제나라 사람들이(齊人) 은의 소리를(殷聲) 의처럼(如衣) 말한다(言). 지금(今) 의씨 성을(衣姓) 가진 사람은(有者), 은나라의(殷之) 후예다(裔也)."
○朱子曰: "戎衣, 甲冑之屬. 壹戎衣, 〈武成〉篇文, 言壹著戎衣以伐紂."
○朱子曰: "융의(戎衣)는, 갑옷과 투구(甲冑之) 따위다(屬). 일융의(壹戎衣)는, 무성편(〈武成〉篇) 글에서(文), 한 번(壹) 융의를(戎衣) 입고서(著以) 주를 정벌했다는(伐紂) 말이다(言)."라고 했다.
○毛曰: "壹是殪字. 〈康誥〉曰‘殪戎殷', 言滅大殷也. ‘戎殷’則與〈泰誓〉稱‘戎商’正同. 自註‘武成’者, 多誤解, 作‘一著戎衣', 而朱子亦卽以‘一著戎衣’爲註, 夫以兵衣爲戎衣, 不知有據."
○毛曰: "일은(壹) 바로(是) 예 자다(殪字). 강고에 이르길(〈康誥〉曰) ‘예융은(殪戎殷)'이란, 큰 은나라를(大殷) 멸망시켰다는 말이다(言滅也). ‘융은(戎殷)’이란(則) 태서에서(〈泰誓〉) ‘융상(戎商)’을 일컬은 것과 더불어(與稱) 같다(正同). 무성을(‘武成’) 주석했던 사람으로부터(自註者), 많은(多) 오해가 있어(誤解), ‘일착융의(一著戎衣)'라고 썼는데(作, 而) 주자도(朱子) 또한(亦) 곧(卽) 일착융의를(以‘一著戎衣’) 주로 삼아서(爲註), 무릇(夫) 병의를(以兵衣) 융의로 본다는(爲戎衣) 것은, 근거가 있음을(有據) 알지 못한다(不知)."라고 했다.
○案 梅氏〈武成〉, 則竊《中庸》固無可論, 惟‘殪戎殷’見於〈康誥〉, ‘戎商’見於《國語》, 【單 襄公引〈太誓〉文】 鄭說未可非也, 但〈武成〉云‘一戎衣, 天下大定', 明是‘一著甲冑’之意. 蕭山若從‘殪戎殷’之說, 則其所信梅氏〈武成〉, 又一破綻, 將若之何?
○案 매씨의(梅氏) 무성에서(〈武成〉, 則) 竊《中庸》固無可論, 오직(惟)‘융은을(戎殷) 죽였다(殪)’가 강고에(於〈康誥〉) 보이고(見), ‘융상(戎商)’은 국어에 보이니(見於《國語》), 【單襄公引〈太誓〉文】 정씨의 설이(鄭說) 틀리지 않았으나(未可非也), 다만(但) 무성에서 이르길(〈武成〉云) ‘한 번(一) 갑옷을 입자(戎衣), 천하가(天下) 크게 안정되었다(大定)'라고 했고, 이것은(是) ‘한 번(一) 갑옷과 투구를(甲冑) 입었다(著’)라는 뜻이(之意) 분명하다(明). 소산이(蕭山) 만약(若) 예융은의 설을(‘殪戎殷’之說) 따른다면(從, 則) 그가(其) 매씨의 무성을(梅氏〈武成〉) 믿은 것이(所信), 또한(又) 한 번(一) 파탄이 나니(破綻), 장차(將) 이를 어찌할 것인가(若之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