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舜其大知也與! 舜好問而好察邇言, 隱惡而揚善, 執其兩端, 用其中於民, 其斯以爲舜乎!”
(자왈 순기대지야여 순호문이호찰이언 은악이양선 집기양단 용기중어민 기사이위순호)
子曰: “순임금은(舜) 아마도(其) 매우(大) 지혜로웠겠구나(知也與)! 순임금은(舜) 묻기를 좋아하고(好問而) 가까운 말(邇言) 살피기를 좋아하고(好察), 나쁜 것은 숨겨주고(隱惡而) 좋은 것은 드러내어(揚善), 그 양 끝을(其兩端) 잡아(執), 백성에게(於民) 그 중을 썼으니(用其中), 아마도(其) 이것이(斯) 순임금이 된(爲舜) 까닭일 것이다(以乎)!”
箴曰 舊注以過與不及爲兩端, 本是正解. 若衆論皆過, 則皆不可用. 若衆論皆不及, 則亦皆不可用也. 中與兩端, 皆已先在舜自己心內, 以之爲權衡尺度. 於是執此三者, 以察人言, 其犯於兩端者去之, 其合於中者用之, 斯其所以爲舜也.
箴曰 옛 주에서(舊注) 과와 불급을(以過與不及) 양 끝으로 여겼는데(爲兩端), 본래(本) 이것이(是) 바른 풀이다(正解). 만약(若) 여러 여러 사람의(衆) 논의가(論) 모두(皆) 지나치면(過, 則) 모두(皆) 쓸 수 없다(不可用). 만약(若) 여러 사람의 논의가(衆論) 모두(皆) 미치지 못하면(不及, 則) 또한(亦) 모두(皆) 쓸 수 없다(不可用也). 중과(中與) 양 끝이(兩端), 모두(皆) 이미(已) 순임금(舜) 자기의 마음 안에(自己心內) 먼저 있어서(先在), 이것을(以之) 권형과 척도로 삼았다(爲權衡尺度). 이에(於是) 이 셋을(此三者) 잡아서(執, 以) 남의 말을(人言) 살피고(察), 그(其) 양 끝을 넘어서는 것을(犯於兩端者) 버리고(去之),그(其) 중에 합하는 것을(合於中者) 쓰니(用之), 이것이(斯) 그가(其) 순 임금이 된(爲舜) 까닭이다(所以也).
* 權衡(권형): 1.저울추와 저울대, 2.사물(事物)의 가볍고 무거움을 고르게 함.
* 尺度(척도): 1. 자로 잰 길이, 2. 계량(計量)의 표준(標準).
若於人言之內, 執其兩端, 較量其大小厚薄而用其中品, 則宜大宜厚者, 亦將以其不中而去之乎?中者, 至善之所在也. 有極大極厚而得中者, 有極小極薄而得中者.
만약(若) 남의 말에 대해(於人言之內), 그 양 끝을 잡고서(執其兩端), 그 크고 작음(其大小), 두텁고 얇음을(厚薄) 비교해서(較量而) 그 중간을 쓴다면(用其中品, 則) 마땅히 크게 하고(宜大) 마땅히 두텁게 하는 것도(宜厚者), 또한(亦) 장차(將) 그 중도가 아니기 때문에(以其不中而) 그것을 버려야 하는가(去之乎)? 중이란(中者), 지극한 선이(至善之) 머무는 곳이다(所在也). 지극히 크고(極大) 지극히 두터워서(極厚而) 중을 얻는 것이(得中者) 있고(有), 지극히 작고(極小) 지극히 얇아서(極薄而) 중을 얻는 것이(得中者) 있다(有).
○惡者, 過·不及之論也. 善者, 得中之論也.
○악이란(惡者), 지나치거나(過) 미치지 못한 것을(不及之) 논하는 것이다(論也). 선이란(善者), 중을 얻는 것을(得中之) 논한 것이다(論也).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