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지 않는 것을 경계하고 삼가며, 들리지 않는 것을 두려워해라
是故, 君子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是故, 君子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
箴曰 所不睹者, 何也? 天之體也. 所不聞者, 何也? 天之聲也. 何以知其然也? 經曰‘鬼神之爲德, 其盛矣乎! 視之而弗見, 聽之而弗聞, 體物而不可遺, 使天下之人, 齊明承祭, 洋洋乎如在其上, 如在其左右'. 【見下章】 不睹不聞者, 非天而何?
箴曰 보이지 않는 것은(所不睹者), 무엇인가(何也)? 하늘의(天之) 몸이다(體也). 들리지 않는 것은(所不聞者), 무엇인가(何也)? 하늘의(天之) 소리다(聲也). 무엇 때문에(何以) 그러한 것을 아는가(知其然也)? 경에서 말하길(經曰) ‘귀신의 덕 됨이(鬼神之爲德), 매우(其) 성대하구나(盛矣乎)! 보려고 해도(視之而) 볼 수 없고(弗見), 들으려 해도(聽之而) 듣지 못하니(弗聞), 물을 체화해서(體物而) 빠질 수 없으니(不可遺), 천하 사람들로 하여금(使天下之人), 재계하고(齊) 깨끗하게 하여(明) 제사를 받들어(承祭), 한없이 어서(洋洋乎) 그 위에(其上) 있는 듯하고(如在), 그 좌우에(其左右) 있는 듯하다(如在)'. 【見下章】 보이지 않고(不睹) 들리지 않는 것이(不聞者), 하늘이 아니라면(非天而) 무엇이겠는가(何)?
民之生也, 不能無慾, 循其慾而充之, 放辟邪侈, 無不爲已. 然民不敢顯然犯之者, 以戒愼也, 以恐懼也. 孰戒愼也? 上有官執法也. 孰恐懼也? 上有君能誅殛之也. 苟知其上無君長, 其誰不爲放辟邪侈者乎?
사람의(民之) 삶에(生也), 욕심이(慾) 없을 수 없고(不能無), 그 욕심을 따라서(循其慾而) 채우는 것은(充之), 방자하고(放) 편벽하고(辟) 사악하고(邪) 사치스러운 짓을(侈), 하지 못하는 것이 없을 뿐이다(無不爲已). 그러나(然) 사람들이(民) 감히(敢) 드러내서(顯然) 범하지 못하는 것은(不犯之者), 경계하기(戒愼) 때문이고(以也), 두려워하기 때문이다(以恐懼也). 무엇을(孰) 경계하는가(戒愼也)? 하늘에(上) 관리가 있어(有官) 법을 집행한다(執法也). 무엇을 두려워하는가(孰恐懼也)? 위에는(上) 임금이 있어(有君) 죽일 수 있다(能誅殛之也). 만약(苟) 그 위에(其上) 군장이 없는 것을(無君長) 안다면(知), 그(其) 누가(誰) 방자하고 편벽되고 사악하고 사치스러운 짓을 하지 않는 사람이겠는가(不爲放辟邪侈者乎)?
夫暗室欺心, 爲邪思妄念, 爲奸淫, 爲竊盜, 厥明日正其衣冠, 端坐修容, 粹然無瑕君子也. 官長莫之知, 君王莫之察, 終身行詐而不失當世之美名, 索性造惡而能受後世之宗仰者, 天下蓋比比矣.
무릇(夫) 암실에서(暗室) 마음을 속여(欺心), 사악한 생각과(邪思) 망령된 생각을 하고(爲妄念), 간음하고(爲奸淫), 도둑질하고(爲竊盜), 그러고도(厥) 다음날(明日) 그 의관을 바르게 하고(正其衣冠), 단정하게 앉아(端坐) 얼굴을 꾸며(修容), 순수하게(粹然) 흠 없는(無瑕) 군자가 된다(君子也). 관장이(官長) 누구도 알지 못하고(莫之知), 군왕도(君王) 아무도 살피지 못하고(莫之察), 종신토록(終身) 속임수를 행하지만(行詐而) 당세의 아름다운 명성을(當世之美名) 잃지 않으니(不失), 나쁜 짓을 하더라도(索性造惡而) 후세의(後世之) 숭앙을 받을 수 있는(能受宗仰) 사람이(者), 천하에(天下) 대체로(蓋) 흔하다(比比矣).
* 比比(비비): 이것저것이 다, 낱낱이, 흔히
聖人以空言垂法, 使天下之人, 無故戒愼, 無故恐懼, 豈迂且闇哉? 人性原自樂善, 使之戒愼, 猶之可也, 夫恐懼爲物, 非無故而可得者也. 師敎之而恐懼, 是僞恐懼也. 君令之而恐懼, 是詐恐懼也. 恐懼而可以詐僞得之乎?
성인이(聖人) 부질없는 말로(以空言) 법을 내려(垂法), 천하사람들로 하여금(使天下之人), 까닭 없이(無故) 경계하게 하고(戒愼), 까닭 없이(無故) 두려워하게 했다면(恐懼), 어찌(豈) 우활하고(迂) 또(且) 암담하지 않겠는가(闇哉)? 사람의 본성이(人性) 원래(原) 스스로(自) 선을 좋아해서(樂善), 그들로 하여금(使之) 경계하도록 한 것이(戒愼), 오히려(猶) 그럴만하지만(之可也), 무릇(夫) 두려워하도록 만든 것은(恐懼爲物), 까닭 없이(無故而) 될 수 있는 것이(可得者) 아니다(非也). 스승이 가르쳐서(師敎之而) 두려워하는 것은(恐懼), 이것은(是) 가짜(僞) 두려움이다(恐懼也). 임금이 명령해서(君令之而) 두려워하는 것은(恐懼), 이것은(是) 거짓(詐) 두려움이다(恐懼也). 두려워하면서(恐懼而) 거짓으로 하고 속임수로 할 수 있는가(可以詐僞得之乎)?
暮行墟墓者, 不期恐而自恐, 知其有魅魈也. 夜行山林者, 不期懼而自懼, 知其有虎豹也. 君子處暗室之中, 戰戰栗栗, 不敢爲惡, 知其有上帝臨女也.
밤길에(暮行) 폐허가 된 무덤을 지나는 사람이(墟墓者), 두려움을 기약하지 않더라도(不期恐而) 스스로 두려워지는 것은(自恐), 그곳에(其) 도깨비가 있음을(有魅魈) 알아서이다(知也). 밤길에(夜行) 산속을 지나가는 사람이(山林者), 두려움을 기약하지 않더라도(不期懼而) 스스로 두려운 것은(自懼), 그곳에(其) 호랑이와 표범이 있음을(有虎豹) 알기 때문이다(知也). 군자가(君子) 어두운 방 가운데(暗室之中) 처해서(處), 몹시 두려워하고(戰戰) 떨면서(栗栗), 감히 나쁜 짓 하지 못하는 것은(不敢爲惡), 그곳에(其) 상제가 그에게 임함이 있음을(有上帝臨女) 알기 때문이다(知也).
* 墟墓(허묘): 풀에 묻혀 폐허(廢墟)가 된 무덤.
今以命ㆍ性ㆍ道ㆍ敎, 悉歸之於一理, 則理本無知, 亦無威能, 何所戒而愼之, 何所恐而懼之乎? 聖人所言, 皆至眞至實, 必不作矯僞體面之話, 以自欺而欺人矣.
지금(今) 명과, 성, 도, 교가(以命ㆍ性ㆍ道ㆍ敎), 모두(悉) 하나의 이치에(於一理) 돌아가도록 한다면(歸之, 則) 이치는(理) 본래(本) 아는 것이 없고(無知), 또한(亦) 위엄도 없는데(無威能), 어느 곳에서(何所) 경계하고 삼가며(戒而愼之), 어느 곳에서(何所) 두려워하고 무서워할까(恐而懼之乎)? 성인이(聖人) 말한 것이(所言), 모두(皆) 지극히 참되고(至眞) 지극히 진실하니(至實), 반드시(必) 교만하고 거짓된(矯僞) 체면치례의 말을(體面之話) 만들어(作 , 以) 자기를 속이고(自欺而) 남을 속이지 말라(不欺人矣).
○道心與天命, 不可分作兩段看. 天之儆告我者, 不以雷不以風, 密密從自己心上丁寧告戒, 假如一刻驀有傷人害物之志, 萌動出來時, 覺得一邊有溫言以止之者, 曰‘咎皆由汝, 何可怨彼? 汝若釋然, 豈非汝德’, 丁寧諦聽, 無所熹微. 須知此言, 乃是赫赫之天命, 循而順之, 則爲善爲祥, 慢而違之, 則爲惡爲殃. 君子之戒愼恐懼, 亶在此也.
○도심과 천명을(道心與天命), 나누어(分) 둘로 만들어(作兩段) 볼 수 없다(不可看). 하늘이(天之) 나에게 경고한 것은(儆告我者), 우레로 하지 않고(不以雷) 바람으로 하지 않고(不以風), 빈틈없이(密密) 자기 마음을 따라(從自己心上) 간절하게(丁寧) 경계하고(告戒), 만일(假如) 잠깐이라도(一刻) 갑자기(驀) 남을 상하게 하고 남을 해치려는 마음이 있다면(有傷人害物之志), 싹트는 것이(萌動) 오는 때에(出來時), 한 편에(一邊) 따뜻한 말로 막는 것이 있음을(有溫言以止之者) 깨달아(覺得), 말하기를(曰) ‘잘못은(咎) 모두(皆) 너에게서 왔으니(由汝), 어찌(何) 남을 원망할 수 있는가(可怨彼)? 네가(汝) 만약(若) 원한을 잊는다면(釋然), 어찌(豈) 너의 덕이 아니겠는가(非汝德)’라고 하니, 정녕(丁寧) 귀 기울여 자세히 들으면(諦聽), 흐릿한 것이 없다(無所熹微). 모름지기(須) 이 말을 알면(知此言), 곧(乃) 이것이(是) 빛나는 천명이니(赫赫之天命), 따르고 따르면(循而順之, 則) 선하게 되고(爲善) 상서롭게 되고(爲祥), 태만하고(慢而) 어기면(違之, 則) 악하게 되고(爲惡) 재앙이 된다(爲殃). 군자의(君子之) 계신공구는(戒愼恐懼), 오로지(亶) 여기에 있다(在此也).
* 密密(밀밀): 썩 빽빽함, 빈틈없이
* 釋然(석연): 1. 마음이 환하게 풀림, 2. 미심(未審)쩍었던 것이나 원한(怨恨) 등(等)이 풀림.
○天命不但於賦生之初, 畀以此性, 原來無形之體ㆍ妙用之神, 以類相入, 與之相感也. 故天之儆告, 亦不由有形之耳目, 而每從無形妙用之道心, 誘之誨之, 此所謂‘天誘其衷’也. 順其誘而從之, 奉天命者也. 慢其誘而違之, 逆天命者也. 曷不戒愼, 曷不恐懼?
○천명은(天命) 단지(不但) 태어나는 처음에(於賦生之初), 이 성을 주었을(畀以此性) 뿐만 아니라, 원래(原來) 형체가 없는 본체와(無形之體) 오묘하게 작용하는 정신이(妙用之神), 부류로(以類) 함께 들어가서(相入), 그것과(與之) 서로 감응한다(相感也). 그러므로(故) 하늘이(天之) 경고하면(儆告), 또한(亦) 형체가 있는 귀와 눈을(有形之耳目) 따르지 않고(不由, 而) 늘(每) 형체 없는 묘용의(無形妙用之) 도심을 따라서(從道心), 끌어주고(誘之) 가르쳐주니(誨之), 이것이(此) 이른바(所謂) ‘하늘이(天) 그 속마음을 이끈다(誘其衷)’라는 것이다(也). 그 이끄는 것을 따르고(順其誘而) 따르면(從之), 천명을 받드는 것이다(奉天命者也). 그 끌어줌을 게을리하고(慢其誘而) 어기면(違之), 천명을 어기는 것이다(逆天命者也). 어찌(曷) 계신하지 않고(不戒愼), 어지(曷) 두려워하지 않겠는가(不恐懼)?
○天之靈明, 直通人心, 無隱不察, 無微不燭, 照臨此室, 日監在玆, 人苟知此, 雖有大膽者, 不能不戒愼恐懼矣.
○하늘의9天之) 영명은(靈明), 곧장(直) 사람의 마음을 통하고(通人心), 숨기더라도(隱) 알아내지 못하는 것이 없고(無不察), 작더라도(微) 밝지 않음이 없고(無不燭), 환하게(照) 나의 집에 임하여(臨此室), 나날이 굽어보는 것이(日監) 여기에 있고(在玆), 사람이(人) 진실로(苟) 이것을 알면(知此), 비록(雖) 대담한 사람이라도(有大膽者), 계신공구하지 않을 수 없다(不能不戒愼恐懼矣).
* 不察(불찰): 살펴서 알아내지 못함. 또는 그렇게 한 탓으로 생긴 잘못.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