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서(四書) 독해/논어(論語) 한문 문법(文法) 분석

[논어(論語) 한문 문법: 이인(里仁) 4-21] 부모의 나이를 기억하지 않을 수 없다 / 부모지년 불가부지야(父母之年 不可不知也)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6. 14.
반응형

子曰: “父母之年(부모지년), 不可不知也(불가부지야). 一則以喜(일즉이희), 一則以懼(일즉이구).”

선생님이 말씀하시기를(子曰): “부모의(父母之) 나이는(年), 기억하지(知) 않을(不) 수 없다(不可也). 한편으로는(一則) 그것으로써(以) 기쁘고(喜), 한편으로는(一則) 그것으로써(以) 두렵다(懼).

 

* 則(즉): 一(일), 二(이), 三(삼) 등의 수사와 함께 여러 가지 사항을 열거하거나 비교할 때 쓰는 접속사다. 

☞ 一.(첫째는 소견이 작고 둘째는 마음먹은 것이 사사롭다.)

 

*  (이): 원인을 표시하는 전치사. (희)와 懼(구)가 그 목적어가 된다. 이 경우 "한편으로는(一則) 기쁘할 수 있기(喜) 때문이고(以), 한편으로는(一則) 두려워할 수 있기(懼) 때문이다(以)."라고 해석할 수 있다. 

 

, ?(한 번 웃었다는 이유로 나의 미인을 죽이려고 한다면 이 또한 지나치지 않습니까?『』)

 

* 懼(구): 두렵다, 걱정하다, 위협하다, 경계하다, 조심하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