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서(四書) 독해/논어(論語) 한문 문법(文法) 분석

[논어(論語) 한문 문법: 이인(里仁) 4-10] 군자는 오직 의를 따를 뿐이다 / 군자지어천하야 무적야 무막야 의지여비(君子之於天下也 無適也 無莫也 義之與比)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5. 21.
반응형

子曰: “君子之於天下也, 無適也, 無莫也, 義之與比.” (자왈 군자지어천하야 무적야 무막야 의지여비)

선생님이 말씀하시기를(子曰): “군자가(君子之) 천하를(天下) 대하는 것은(也), 이래야 한다고 고집하는 것이(適) 없고(也), 안된다고 고집하는 것이(莫) 없고(也), 의를(義之) 더불어(與) 따른다(比).” 

 

* [君子之於天下也] 之(지): 주어와 술어 사이에 쓰여 주술구조로 하여금 독립성을 잃고 명사구 또는 절이 되게 하는 구조조사.

 

* 於(어): '처하다, 존재하다'라는 뜻의 동사.

☞ 知其說者之於天下也, 其如示諸斯乎!(그 이치를 아는 사람이 천하에서 살아가는 것은 아마 여기에 물건을 얹어놓는 것과 같을 테지요!『論語 八佾 11』)

 

* 適(적): 한 가지에 몰두하여 이것이 아니면 안 된다고 고집하다. 주자는 "오로지 주장하는 것이다", "可이다", 장거정의 주에서는 "적은 반드시 행한다는 의미이다(適是必行的意思)”라고 했다. (주주금석논어, 김도련)

 

* 莫(막): 주자는 "긍정하지 않는 것이다", "불가이다"라고 했고, 장거정의 주에서는 “ 막은 반드시 행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莫是必不行的意思)"라고 구체적으로 해석했다. (주주금석논어, 김도련)

 

* [義之與比] 之(지): 강조 효과를 위하여 목적어를 동사 앞에 놓을 경우 목적어와 동사 사이에 쓰는 구조조사.

 

* 與(여): '~와'라는 뜻의 전치사.

 

* 比(비): '친밀하다, 가깝다'라고 해석할 수 있다.(논어의 문법적 이해, 류종목) 반면에, 주자는 "從也야(따르다)"라고 하여 '좇다'의 뜻으로 보았는데, 다산은 '비'를 '較교(견주다, 비교하다)'로 보아, 義의와 비교해서 "의로우면 행하고 의롭지 않으면 행하지 않는 것(中於義則行之, 違於義則止之)”라고 했다. (주주금석논어, 김도련)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