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서(四書) 독해/논어(論語) 한문 문법(文法) 분석

[논어(論語) 한문 문법: 위정(爲政) 3-1] 팔일무를 뜰에서 추었는데 무슨 짓인들 못할까? / 팔일무어정 시가인야 숙불가인야(八佾舞於庭 是可忍也 孰不可忍也)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4. 25.
반응형

孔子謂季氏: “八佾舞於庭(팔일무어정), 是可忍也(시가인야), 孰不可忍也(숙불가인야)?”

공자가(孔子) 계시를(季氏) 비판하여 말하기를(謂): “뜰에서(於庭) 팔일의 춤을(八佾) 추게 했는데(), 이것을(是) 참을(용서할) 수 있다면(可忍也), 무엇을(孰) 참지(용서하지)(忍) 못하겠는가(不可)?”

 

* 謂(위): '평론하다, 비판하다'라는 뜻의 동사.

 

* 八佾(팔일): 여덟 줄. 천자가 공연할 수 있는 악무인 팔일무를 가리킨다.

 

* 佾(일): 춤추는 사람의 행렬. 한 줄의 인원수에 대해서는 여덟 명이라는 설과 佾(일)의 수와 같다는 설이 있다.

 

* 舞(춤출 무): 춤추게 하다. 

 

* 庭 뜰(정): 뜰. 정원. 고대의 종묘 제도에서 정청을 堂당이라 했고, 당 앞에 있는 작은 빈터를 정이라고 했다.

 

* 是(시): 八佾舞於庭(팔일무어정)을 가리키는 지시대사.

 

* 忍(인): 차마 할 수 없는 일을 하도록 용인하다. 용납하다. 참는다. '내가 이것을 참을 수 있다면, 무엇이든 참지 못하겠느냐?'라고 해석한다. 다른 해석은 '이것이 용납된다면, 무엇인들 용납되지 못하겠느냐?라고 해석한다. 

 

* 也(야): 원래 음절을 조정하고 어기를 고르는 어기조사인데 문맥에 의하여 가정의 어기를 다분히 지니고 있다.

 

* 孰(숙): 사물을 묻는 의문대사. 孰(숙)은 보통 사람을 묻는 의문대사로 쓰이지만 이 경우처럼 간혹 사물이나 사실을 묻는 의문대사로 쓰이기도 한다. 숙을 '무슨 일'로 보지 않고, '누구라도'로 본다면 '계씨가 이런 짓을 함부로 한다면, 누구라도 이런 짓을 못하겠는가?'라고 해석한다.

 

<출처: 논어의 문법적 이해, 류종목, 문학과지성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