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서(四書) 독해/맹자(孟子) 한문 문법(文法) 분석

[맹자 한문 문법: 공손추 상(公孫丑 上) 1] 그대는 참으로 제나라 사람이로다 / 부자당로장[夫子當路章]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4. 2.
반응형

03-01-01 公孫丑問曰: “夫子當路於齊(부자당로어제), 管仲ㆍ晏子之功(관중안자지공), 可復許乎(가복허로)?”

공손추가(公孫丑) 물어 말했다(問曰): “선생님께서(夫子) 제나라에서(於齊) 중요한 자리를(路) 맡는다면(當), 관중과 안자의(管仲ㆍ晏子之) 공을(功), 다시(復) 기대할(許) 수 있을까요(可乎)?”

 

* 路(길 로): 政府의 重要한 地位, 要路.

* 當路(당로): 정권을 잡음. 요로에 있음.

 - 殺當路貴重之臣 是刑上極也. (經書)

   (죽이는 것이 요직에 있는 존귀한 자에게까지 미치면 이는 형벌이 위의 끝까지 올라가는 것이다.)

* 許(허락할 허): 허락하다, 승낙하다(承諾), 들어주다, 바치다, 약속하다(東). 바라다, 기대하다.

 

管仲晏子之功, 可復許乎

 

☞ 復는 부사로 '다시', 可는 '가능하다', 許는 여기서 '기대하다'라는 뜻이다. 可는 목적어를 강조하여 앞으로 이끈다. 즉 이 문장에서 동사 '許'의 목적어는 管仲晏子之功이다.

 

03-01-02 孟子曰: “子誠齊人也(자성제인야), 知管仲(지관중), 晏子而已矣(안자이이의).

맹자가(孟子) 말했다(曰): “그대는(子) 정말(誠) 제나라 사람이로다(齊人也), 관중과(管仲), 안자를(晏子) 알(知) 뿐이구나(而已矣).

 

* 誠(정성 성): 정성, 진실, 참, 참으로, 참되게 하다.

 

03-01-03 或問乎曾西曰(혹문호증서왈): ‘吾子與子路孰賢(오자여자로숙현)?’ 曾西然曰(증서축연왈): ‘吾先子之所畏也(오선자지소외야).’ 曰: ‘然則吾子與管仲孰賢(연즉오자여관중숙현)?’ 曾西艴然不悅(증서발연불열), 曰: ‘爾何曾比予於管仲(이하증비여어관중)? 

누군가(或) 증서에게(乎曾西) 물어 말했다(問曰): ‘그대(吾子與) 자로 중에(子路_) 누가 더(孰) 뛰어난가(賢)?’ 증서가(曾西) 부끄러워하면(衛然) 말했다(曰): ‘우리(吾) 돌아가신 아버지가(先子之) 두려워하던 분이다(所畏也).’ <누군가가> 말했다(曰): ‘그렇다면(然則) 그대와(吾子與) 관중 중에(管仲) 누가 더(孰) 뛰어난가(賢)?’ 증서가(曾西) 발끈하여(艴然) 기뻐하지 않으면서(不悅), 말했다(曰): ‘너는(爾) 어찌(何) 이에(曾) 나를(予) 관중에게(於管仲) 비교하는가(比)?

 

* 蹴(찰축): 차다, 밟다, 줄이다, 삼가다, 불안해하다.

* 絶(발끈할 불/발끈할 발): 발끈하다.

* 曾(일찍 증): 일찍, 지난날, 곧, 이에, 더하다.
* 何曾(하증): ~한 적이 있다. 어찌 일찍이 ~이겠는가.

* 如彼(여피): 저렇게, 저와 같이, 저만큼이나. / 如其: 그렇게.

* 功烈(공렬): 공적이라는 뜻이다.

 

或問乎曾西曰

 

☞ '或問曾西曰과' 같다. 단지 乎(於)를 사용하여 동사의 작동 대상을 명확하게 하거나 강조했을 뿐이다.

 

¶ 宰我曰 以予觀於夫子 賢於堯舜遠矣. (孟子公孫丑)

(재아가 말하였다. '내가 선생을 보기에는 현명하기가 요순보다 뛰어나다.') 

 

吾子與子路孰賢

 

 吾子는 '그대, 당신'이고 孰은 '누구'다. 양자나 다수 중에서 선택을 하는 선택문에서 '어느 것, 어떤 사람'이라는 뜻이다. 

 

¶ 天天地地何曾轉. (涵虛禪師)
(하늘은 하늘이고 땅은 땅이라, 어찌 일찍이 뒤바뀐 적이 있던가.)

 

爾何曾比予於管仲

 

 何乃(하내)와 같아 '어째서'의 뜻을 나타낸다. 曾에는 '이에'라는 의미가 있다. 何曾은 '언제 ~한 적이 있었느냐'는 말로 사용되기도 한다.

 

管仲得君(관중득군), 如彼其專也(여피기전야); 行乎國政(행호국정), 如彼其久也(여피기구야); 功烈(공열), 如彼其卑也(여피기비야). 爾何曾比予於是(이하증비여어시)?’”

관중이(管仲) 임금의 <마음을> 얻어(得君, 등용되어), 저처럼(如彼) 그가(其) 독차지했고(專也); 나라의 정치를(乎國政) 행한 것이(行), 저처럼(如彼) 그(其) 오래되었는데(久也); 뛰어난 공적이(功烈), 저처럼(如彼) 그리(其) 낮다(卑也). 너는(爾) 어찌(何) 도대체(曾) 나를(予) 그와(於是) 비교하는가(比)?’”

 

103-01-04 曰: “管仲, 曾西之所不爲也(관중증서지소불위야), 而子爲我願之乎(이자위아원지호)?”

말하기를(曰): “관중은(管仲), 증서도(曾西之) <그렇게> 하지 않으려는(不爲, 본받지 않는) 것인데(所也, 而) 그대는(子) 내가(我) 그것을 원한다고(願之) 여기는가(乎)?”

 

管仲, 曾西之所不爲也

 

管仲의 원래 위치는 不爲 다음인데 강조하기 위해 앞으로 내었다. 그 결과 會西 이하가 보어절이 되기 때문에 주격조사 之와 명사절을 만들기 위한 所를 붙였다. 所不爲에서 爲는 본뜻인 '위하다, 삼다, 배우다' 등의 의미에 '본받는다'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넓은 의미에서 '~을 위해 ~을 하다'로 해석할 수 있다. 

 

子爲我願之乎

 

 爲~는 '~라고 여기다', '~라고 생각하다'라는 뜻이다. 특히 爲는 의문형 어기사 乎, 與 哉 등과 함께 쓰이는 경우 '~라고 생각하느냐', '~라고 여기느냐'라는 의문형이 되는 경우가 많다. 

 

 舍豈能爲必勝哉 能無懼而已矣. (孟子)
(내(孟施舍)가 어찌 능히 승리를 기필할 수 있겠는가? 능히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03-01-05 曰: “管仲以其君霸(관중이기군패), 晏子以其君顯(안자이기군현). 管仲ㆍ晏子猶不足爲與(관중안자유부족위여)?”

<공손추가> 말했다(曰): “관중은(管仲) 자기 임금을(以其君) 패자로 만들었고(霸), 안자는(晏子) 자기 임금을(以其君) 드러나게 했습니다(顯). 관중과(管仲) 안자도(晏子) 오히려(猶) 부족하다고(不足) 여기시는지요(與)?”

 

管仲ㆍ晏子猶不足爲與

 

管仲晏子의 원래 위치는 足爲 다음인데 강조하기 위해 앞으로 내었다. 따라서 足이라고 썼다. 與는 의문형 어조사로 '~인가?' 이 문장에서 爲가 없다면, 猶不足與가 되어 '오히려 부족한가?'라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런데 이 문장은 孟子에게 묻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야 한다. 결국 '孟子 당신 생각에 그들이 부족하다고 여기는가'라는 문장이 된다. 

 

03-01-06 曰: “以齊王, 由反手也.” (이제왕 유반수야)

<맹자가> 말했다(曰): “제나라 왕으로(以齊王), <그렇게 하는 것은> 손을 뒤집는 것과(反手也) 같다(由).”

 

由反手也

 

 由(말미암을 유)는 '말미암다, 쓰다, 행하다, 길, 까닭, 오히려' 등의 뜻이 있다. 猶와 通用된다. 由反에서 由는 猶와 같고, 따라서 손을 뒤집듯이 쉽다는 말이다.

 

變所欲爲 易於反掌 安於泰山. (漢書)
(왕께서) 하고자 하는 바를 바꾸신다면, 이는 손바닥을 뒤집는 것보다 쉬울 것이며 편안하기로는 태산보다 든든하실 것입니다.)

 

03-01-071 曰: “若是(약시), 則弟子之惑滋甚(즉제자지혹자심). 且以文王之德(차이문왕지덕), 百年而後崩(백년이후붕), 猶未洽於天下(유미흡어천하); 武王ㆍ周公繼之(무왕주공계지), 然後大行(연후대행). 今言王若易然(금언왕약이연), 則文王不足法與(즉문왕부족법여)?”

<공손추가> 말했다(曰): “그와 같다면(若是, 則) 제자의(弟子之) 의혹이(惑) 더욱(滋) 심해집니다(甚). 비록(且) 문왕의(文王之) 덕으로도(以德), 백 년이(百年) 지나서(而後) 죽더라도(崩), 오히려(猶) 천하에(於天下) 흡족하지 않고(未洽); 무왕과(武王) 주공이(周公) 그것을 잇고(繼之), 나서야(然後) 크게(大) 행해졌습니다(行). 지금(今) 왕도가(王) 만약(若) 쉬운 것이 그렇다고(易然) 말한다면(言, 則) 문왕도(文王) 본받기에(法) 부족한가요(不足與)?”

 

* 滋(불을 자): 붇다, 증가하다, 늘다, 번식하다, 우거지다, 더욱

* 洽(흡족할 흡): 흡족하다(洽足), 넉넉하게 하다,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적시다.

* 法(법 법): 법(法), 방법(方法), '본받는다'라는 뜻. 法, 則., 刑 모두 '본받는다'라는 뜻을 가진다.

 

武王ㆍ周公繼之

 

 무왕과 주공이 그(之=文王) 뒤를 계승한 후에.

 

03-01-08 曰: “文王何可當也(문왕하가당야)? 由湯至於武丁(유탕지어무정), 賢聖之君六七作(현성지군육칠작). 天下歸殷久矣(천하귀은구의), 久則難變也(구즉난변야). 武丁朝諸侯有天下(무정조제후유천하), 猶運之掌也(유운지장야).

<맹자가> 말했다(曰): “문왕을(文王) 어찌(何) 감당할 수 있겠는가(可當也)? 탕왕부터(由湯) 무정에(於武丁) 이르기까지(至), 현명하고 성인인(賢聖之) 군주가(君) 육 칠명(六七) 일어났다(作). 천하가(天下) 은나라에(殷) 돌아간 것이(歸) 오래이니(久矣), 오래되면(久則) 변하기가 어렵다(難變也). 무정이(武丁) 제후에게(諸侯) 조회를 받고(朝) 천하를(天下) 가진 것이(有), 손바닥에서(掌) 그것을(之) 움직이는 것과 같았다(猶運也).

 

03-01-09 紂之去武丁未久也(주지거무정미구야), 其故家遺俗(기고가유속), 流風善政(유풍선정), 猶有存者(유유존자); 又有微子ㆍ微仲ㆍ王子比干ㆍ箕子ㆍ膠鬲皆賢人也(우유미자미중왕자비간기자교직개현인야), 相與輔相之(상여보상지), 故久而後失之也(고구이후실지야).

주왕이(紂之) 무정에게서(武丁) 떨어진 거리가(去) 오래지 않으니(未久也), 그(其) 옛집과(故家) 남은 풍속(遺俗), 유행한 풍속과(流風) 은혜로운 정치가(善政), 오히려(猶) 남은 것이(存者) 있었고(有); 또(又) 미자와, 미중, 왕자 비간, 기자, 교격(微子ㆍ微仲ㆍ王子比干ㆍ箕子ㆍ膠鬲) 있어(有) 모두(皆) 현인이고(賢人也), 서로(相) 함께(與) 그를(之) 도왔고(輔相), 그러므로(故) 오래된(久) 다음에야(而後) 그것을 잃었다(失之也).

 

* 去(갈거): 去는 동사로 시간적인 거리가 '~이다'를 나타낸다.

 - 舜禹益相去久遠 其子之賢不肖 皆天也.(孟子/萬章)

   (순임금과 우임금, 익의 서로 간의 (시간) 거리가 오래되고 먼 것과 그 아들의 현명함과 어리석음은 모두 천운이다.)

* 流風(유풍): 後世에까지 내려오는 임금의 덕망과 敎化를 말한다. 

* 尺地(척지): 四方 一尺의 극히 좁은 방을 말한다.

 

紂之去武丁未久也

 

之는 주격조사다. 去는 '~와 떨어진 정도(거리, 시간 등)가 ~이다.'라는 뜻을 가진 특수동사이다.

 

¶ 鄒魯相去又近. (孟子集註)
(노나라와 추나라의 서로 떨어진 거리 또한 가깝다. (여기서는 去는 지리적 거리를 말한다.))

 

尺地莫非其有也(척지막비기유야), 一民莫非其臣也(일민막비기신야), 然而文王猶方百里起(연이문왕유방백리기), 是以難也(시이난야).

한 치의 땅도(尺地) 그가 가진 것(其有) 아닌(非) 것이 없었고(莫也), 한 명의 백성도(一民) 그의 신하(其臣) 아닌(非也) 사람이 없었고(莫), 그렇지만(然而) 문왕은(文王) 오히려(猶) 사방(方) 백 리의 <땅에서>(百里) 일어났으니(起), 이 때문에(是以) 어려웠다(難也).

 

尺地莫非其有也

 

'莫非~'는 '~이 아닌 것이 없다' 또는 '모든 것이 ~이다'라는 뜻이다.

 

¶ 莫非命也. (명이 아닌 것이 없다. 즉 모든 것이 다 운수(運數)에 달려 있다.)

 * '명사+非~' 꼴이 되면 앞 문장은 부사어구가 되는 식으로 해석하면 자연스럽다. 즉 '어떤 명사라도 ~이 아닌 것이 없다' 또는 '~중에 ~이 아닌 것이 없다'라고 해석한다. 

 

03-01-10  齊人有言曰: 雖有智慧(수유지혜), 不如乘勢(불여승세); 雖有鎡基(수유자기), 不如待時(불여대시). 今時則易然也(금시즉이연야).

제나라에(齊人) <이런> 말이 있다(有言曰): 비록(雖) 지혜가(智慧) 있더라도(有), 세력을 타는(乘勢) 것만 못하고(不如); 비록(雖) 호미가(鎡基) 있더라도(有), 때를 기다리는(待時) 것만 못하다(不如). 지금이라면(今時則) 쉬운 것이(易) 그러하다(然也).

 

夏后之盛(하후은주시성)地未有過千里者也(지미유과천리자야)有其地矣(이제유기지의)雞鳴狗吠相聞(계명구폐상문)而達乎四境(이달호사경)有其民矣(이제유기민의)地不改辟矣(지불개벽의)民不改聚矣(민불개취의)行仁政而王(행인정이왕)莫之能禦也(막지능어야).

하나라와(夏后), 은나라(殷), 주나라의(周之) 융성한(盛) 때에도, 땅이(地) 천리를 넘는(過千里) 나라가(者) 있지 않았는데(未有而) 제나라는(齊) 그 땅을(其地) 가졌고(矣); 닭 울음소리와(雞鳴) 개 짖는 소리가(狗吠) 서로 들려서(相聞而) 나라 사방에(乎四境) 도달하는데(而) 제나라는(齊) 그런 백성을(其民) 가졌다(有矣). 땅을(地). 다시(改) 개간하지 않고(不辟矣), 백성을(民) 다시(改) 모으지 않고(不聚矣), 인정을(仁政) 행하고(而) 왕도를 실천하면(王), 그것을(之) 막을 수 있는(能禦) 사람이 없습니다(也).

 

* (짖을 폐): (개가) 짖다, 욕하다(辱).

* 改(고칠 개): 고치다, 고쳐지다, 바꾸다, 바뀌다, 만들다, 다시, 따로, 새삼스럽게, 不改: 다시 ~하지 않다(할 필요가 없다).

* 辟(비유할 비/임금 벽/열 벽/피할 피): 文脈에 따라譬, 避, 僻, 등으로 두루 쓰인다. 여기서는 闢의 意味로 쓰였으므로 '개간하다'라는 뜻이며 음은 '벽'이다. 

 

03-01-11 且王者之不作(차왕자지부작), 未有疏於此時者也(미유소어차시자야); 民之憔悴於虐政(민지추췌어학정), 未有甚於此時者也(미유심어차시자야). 飢者易爲食(기자역위식), 渴者易爲飮(갈자역위음).

또한(且) 왕도가(王者之) 일어나지 않는 것이(不作), 이때보다(於此時) 먼 것이(疏者) 있지 않고(未有也); 백성이(民之) 학정에(於虐政) 고생한 것이(憔悴), 지금보다(於此時) 심한 것이(甚者) 있지 않다(未有也). 굶주린 사람에게는(飢者) <그를> 위해 먹이는 것이(爲食) 쉽고(易), 목마른 사람에게는(渴者) <그를> 위해 마시게 하는 것이(爲飮) 쉽다(易).

 

* 且(차): 또, 게다가.

* 虐(모질 학): 모질다, 혹독하다, 해치다, 해롭게 하다.
* 樵(파리할 초 / 마를 췌.)
* 樵卒(초췌): 지쳐 바싹 말라 있음.

 

未有疏於此時者也

 

 ~於此時에서 於는 비교의 대상을 수반하는 개사로 여기서는 '이때보다 ~하다'라는 뜻이다. <형용사+於> 형태는 대개 비교를 나타내며 해석은 주로 '~보다 (더) 형용사 하다/~과(비교하여) 형용사 하다'이다.

 

飢者易爲食

 

☞ 여기서 다음에 대명사 (飢渴)가 생략되었다고 볼 수도 있다. 즉 '굶주린 자는 그를 위해(그에게) 먹이는 것이 쉽고, 목마른 자는 그를 위해 마시게 하는 것이 쉽다.' 즉 '굶주리고 목마른 백성들을 만족시키는 것은 어렵지 않다'라는 의미이다. 또 '爲+동사' 꼴로 '동사하게 되다' 즉 '굶주린 자는 쉽게 먹게 되고, 목마른 자는 쉬이 물을 마시게 되다.' 즉 '그들을 만족시키는 것은 쉽다.'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도 있다.

 

03-01-12 孔子曰: ‘德之流行, 速於置郵而傳命.’ (덕지유행 속어치우이전명)

공자가(孔子) 말했다(曰): ‘덕의(德之) 유행이(流行), 역을 설치해서(置郵而) 명령을 전하는 것보다(於傳命) 빠르다(速).’

 

03-01-13 當今之時(당금지시), 萬乘之國行仁政(만승지국행인정), 民之悅之(민지열지), 猶解倒懸也(유해도현야). 故事半古之人(고사반고지인), 功必倍之(공필배지), 惟此時爲然(유차시위연).”

지금(今之) 시대를(時) 만나(當), 만승의(萬乘之) 나라가(國) 인정을(仁政) 행한다면(行), 백성이(民之) 그것을 기뻐하고(悅之), 거구로 매달린 것을(倒懸) 풀어주는(解) 것처럼 한다(猶也). 그러므로(故) 일이(事) 옛사람의(古之人) 반이라도(半), 공은(功) 반드시(必) 두 배가 될 것이니(倍之), 오직(惟) 지금 시대가(此時) 그렇다(爲然).”

 

* 倒(넘어질 도): 넘어지다, 거꾸로 되다, 뒤집다, 도산하다, 망하다. 몸의 상태가 나쁘다.
* (매달 현): 달다, 매달다, 달아매다, (상을) 걸다, 멀다, 멀리 떨어지다, 동떨어지다.
* 倒懸(도현): 거꾸로 매달림. 곧 고통을 말함.

 

故事半古之人

 

☞  여기서 半은 목적어를 가지는 동사로 쓰여 '~의 절반이다/절반이 되다.'라는 풀이로 된다. 뒤의 倍도 '~의 두 배이다.', '~의 배가 되다'는 의미로 활용된다.

 

¶ 五尺五寸 得一丈一尺. (孫子算經)

(오척 오촌을 두 배 하면 일 장 일 척을 얻는다.)

 

 

<출처: 맹자로 문리 나기, 임옥균, 학고사 / 맹자의 문법적 이해, 한상국, 한국학술정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