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문법/한문 문법 기본 상식 64

[한문 문법 기본 상식 41] 접속사 '이(而)'의 특징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3. 5.
반응형

"而"는 한문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용법이 가장 원활한 접속사이다. 낱말과 구의 연결이 가능하며 또한 문장과도 연접이 가능하다. 

 

하나. "而"는 형용사, 동사 혹은 형용사성사조, 동사성사조 및 문장과 연결하는 접속사이다. 일반적으로 명사 혹은 명사성사조를 연결하지는 않는다. 

 

▷ 魏公無忌者, 魏昭王少子而魏安釐王異母弟也.
☞ 위나라의 공자 무기는 위 소왕의 막내아들이며, 위 안희왕의 이복동생이다.

 

둘. “而”와 연접하는 두 항은 어법상 다음 몇 가지 관계를 구성할 수 있다.

 

1) 병렬관계 

▷ 敏於事而慎於言.

☞ 일을 민첩히 하고, 말을 삼간다.

 

2) 수식관계: 앞항은 뒤항의 시간이나 방식이다. 

▷ 子路率爾而對.
☞ 자로가 경솔히 대답했다.

 

3) 순승관계: 뒤항은 앞 항에 대해 시간상에 있어서 순응성이 있고 또한 때로 앞항의 목적이나 결과이기도 하다.

▷ 倉廩實而知禮節, 衣食足而知榮辱.
☞ 곡식창고가 가득 차야만 예절을 알며, 의식이 풍족해야만 영욕을 알게 된다.

 

4) 전환관계: "而"는 연합구조나 복문에 사용되어, 두 가지 성질, 두 가지 행위, 두 가지 상황을 포함하는 전환관계를 표시한다. "却", "但是", "然而"로 해석할 수 있다.

▷ 子溫而厲, 威而不猛, 恭而安.
☞ 공자께서는 온화하면서도 엄숙하시며, 위엄이 있으면서도 사납지 않으시며, 공손하면서도 편안하셨다.

 

셋. "而"는 주술구조에 사용되어 전환관계를 나타낼 수 있다. 술어가 당연한 이치에 따라 해서는 안 되는, 원하지 않는, 혹은 출현할 수 없는데 출현한 상황임을 강조한다. "却"으로 해석할 수 있다.

 

▷ 人役而恥爲役, 猶弓人而恥爲弓, 矢人而恥爲矢也.
☞ 사람에게 사역되어 사역하는 것을 부끄러워하는 것은, 마치 활 만드는 사람이 활 만드는 것을 부끄러워하며, 화살 만드는 사람이 화살 만드는 것을 부끄러워함과 같은 것이다. 

이런 주술구조가 가정 分句(단문)에 사용될 때, "而"는 가정을 표시하며 "如果(만약~한다면)"으로 새긴다.

 

▷ 我有子弟, 子産誨之, 我有田疇, 子産殖之, 子産而死, 誰其嗣之. 

☞ 내 자식을 자신이 가르치고 우리들이 땅을 가지면 자산이 그것을 늘려주니, 자산이 죽는다면 누가 뒤를 이을 것인가?

* "子産而死"는 "자산은 죽지 말아야 하는데 결국 죽을 것이다(不該死却究會死去)"는 의미 가 함축되어 있다.

 

 

<출처: 한문 문법 기본상식 64 / 이종호 역 / 도서출판 지성인>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