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96 ] 비약(辟若) / 비여(辟如) / 비(譬) / 비지(譬之) / 빈(賓) / 빈객(賓客) / 빈(擯) / 빈축(頻顣)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3. 3.
반응형

비약(辟若) "비유하다"로 해석한다.

 有爲者辟若井, 掘九軔而不及泉, 猶為棄井也(하고자 하는 바가 있는 자는 우물을 파는 것에 비유되니. 우물을 아홉 길을 팠더라도 샘물에 미치지 못하면 오히려 우물을 버리는 꼴이 되는 것이다).

 

비여(辟如) "비유하다"로 해석한다.

 中庸』: 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군자의 도란 비유하자면 멀리 가려면 반드시 가까운 곳에서부터 걸어
가야 하는 것과 같다).

 

비(譬) "비유하다"로 해석한다.

 論語 雍也』: 能近取, 可謂仁之方也已(가까운 곳에서 비유를 취할 수 있으면 仁을 실천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論語 爲政』: 譬如北辰居其所, 而衆星共之(비유하자면 북극성은 그 자리에 머물러 있고 모든 별들이 그를 둘러싸는 것과 같다).

 孟子 萬章下』: 智譬則巧地, 聖譬則力也(智는 비유하자면 영명하고도 교묘한 것이며, 聖은 비유하자면 [몸 안의] 힘과 같은 것이다).

 

비지() "비유하다"로 해석한다.

 『論語 子張』: 譬之官牆, 賜之牆也及肩, 闚見室家之好(궁실의 담에 비유하면 나(賜)의 담은 어깨에 미치므로 집안의 좋은 것들을 엿볼 수 있다).

 

빈(賓) "손님"으로 해석한다.

 『論語 鄕黨』: 賓退, 必復命曰, 不顧矣(손님이 물러나면 반드시 을 보고하여 말하길 "손님이 돌아보지 않고 나가셨습니다."라고 하였다).

 孟子 萬章下』: 舜尙見帝, 帝館甥於貳室, 亦饗舜, 迭爲賓主, 是天子而友匹夫也(이 올라가 堯임금을 뵈었는데, 堯임금은 사위인 순을 별궁에 머물게 하고, 어떤 때에는 순을 향연에 불러 번갈아 손님과 주인이 되셨으니, 이는 천자로서 필부와 벗한 것이다).

 

빈객(客) 각 나라를 오고가던 사신 즉, "외빈(外)"을 나타낸다.

 『論語 公冶長』: 赤也, 束帶立於朝, 可使與賓客言也, 不知其仁也(적은 띠를 메고 조정에 서서 외빈과 대화를 나누도록 할 수 있지만 그가 어진지는 알지 못한다).

 

빈축(顣) 이마를 찌푸리면서 불쾌해 하는 모습을 형용한 말이다.

 孟子 滕文公下』: 他日歸, 則有饋其兄生鵝者, 己頻顧曰 “惡用是鶂鶂者爲哉"(훗날 집으로 돌아가 보니, 그 형에게 살아 있는 거위를 선물한 자가 있었다. 그는 이마를 찌푸리면서 말하길 "꽥꽥 소리나는 것을 어디에 쓰겠는가?"라고 하였다).

 

빈(擯) "손님을 접대하다"로 해석한다. 

☞ 『論語 鄕黨』: 君召使檳(임금이 불러 나라의 손님을 접대하게 하다).

 

빈(殯) 여기서는 장사지내기 전에 시신을 관에 넣어 일정한 곳에 안치하는 일을 나타내며, “빈소를 차리다"로 해석한다.

 『論語 鄕黨』: 朋友死, 無所歸, 曰 "於我"(친구가 죽어서 돌아갈 곳이 없으면 말하길 "우리 집에 빈소를 차려라."라고 하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