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문 사전/사서(四書) 사전

[사자서(四子書) 한문 어휘 배우기 039] 녕(佞) / 녕(寧) / 농단(龍斷) / 뇌(餒) / 능(能)

by ഗൗതമബുദ്ധൻ 2023. 2. 19.
반응형

녕(佞) "말재주를 부리다"로 해석한다. 

 論語 公冶長』: 或曰 "雍也仁而不佞(흑자가 이르길 "옹은 어질지만 말재주를 부리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孟子 盡心下』: 惡莠恐其亂苗也, 惡恐其亂義也(가라지를 미워하는 것은 벼이삭을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고, 말재주를 미워하는 것은 義를 어지럽힐까 두려워서이다).

 

녕(寧)

 

1. 단문을 연결시키며, 선택관계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선택을 나타내는 접속사인 "여기(與其)"나 부정 부사인 "무(無)" 혹은 "불(不)"과 호응한다. “차라리 ......하는 것이 낫다"로 해석한다.

 論語 八佾』: 禮, 與其奢也, 儉(예는 사치하기보다는 차라리 검소해야 한다).

 

2.  "편안하다"로 해석한다.

 孟子 滕文公下』: 周公兼夷狄驅猛獸而百姓寧, 孔子成春秋而亂臣賊子懼(주공이 오랑캐를 아우르고 맹수를 몰아내자 백성들이 편안하였고, 공자가 『춘추』를 완성하자 나라를 어지럽히는 신하와 효도하지 않는 자들이 두려워하였다). 

 

농단(龍斷) "농단"의 의미로서 이익을 독점하는 것을 가리킨다. 

 

“농(龍)”은 "농(壟)"과 같으며, 간혹 "농(隴)”으로 적기도 한다. 원래는 평지에 높이 솟은 언덕이란 뜻인데, 전의(義)되어 "이익을 독점하다"는 뜻으로 쓰인다.

 孟子 公孫丑下』: 人亦孰不欲富貴, 而獨於富貴之中, 有私龍斷焉(사람이 또한 누구인들 부귀를 원하지 않으리오 만은 홀로 부귀한 가운데서도 사사로이 독점하는 자가 있다).

 

뇌(餒)

 

1. "굶주리다, 굶다"로 해석한다.

論語 衛靈公』: 耕也, 餒在其中矣, 學也, 祿在其中矣(농사를 지으면 굶주림이 그 안에 있을 수 있으나, 학문을 하면 녹봉이 그 속에 있다).

 孟子公孫丑上』: 其爲氣也, 配義與道, 無是也(그 기운 됨은 의와 도에 배합되어야 하니, 이것이 없으면 굶주리게 된다).

 

2. "기아, 배고픔, 굶주림" 등으로 해석한다.

 孟子 公孫丑上』: 不煖不飽, 謂之凍餒(따뜻하지 않고 배부르지 않은 것을 추위와 배고픔이라 한다).

 

3. "썩다, 부패하다" 등으로 해석한다.

 『論語 鄕黨』: 魚而肉敗, 不食(생선이 썩고 고기가 부패한 것을 먹지 않았다).

 

능(能)

 

1. "능력, 재량"으로 해석한다.

 論語 子罕』: 大宰問於子貢曰 “夫子聖者與, 何其多能也"(大宰가 子貢에게 묻기를 공자는 성인이신가? 어찌 그렇게 재능이 많은가?"라고 하였다).

 

2. 어떤 일을 할 능력이 있거나, 조건이 됨을 나타내며, “......할 수 있다"로 해석하거나, 경우에 따라 해석하지 않는다.

☞ 『論語 八佾』: 夏禮吾能言之, 杞不足徵也. 殷禮吾能言之, 宋不足徵徵也(하나라의 예를 내가 말할 수 있지만 [그 후손인] 기나라가 증험해 주지 못하고, 은나라의 예에 대해 내 능히 말할 수 있지만 [그 후손인] 송나라가 증험해 주지 못한다). 

 孟子 梁惠王上』: 古之人與民偕樂, 故能樂也(옛사람들은 백성들과 더불어 함께 즐겼기 때문에 능히 즐길
수 있습니다). 

 

3.  "유능하다"로 해석한다.

 孟子 公孫丑上』: 賢者在位. 者在職(현자가 지위에 있고, 유능한 사람이 직책에 있다).

반응형

댓글